하였 다. 이를 통해 시와 회화의 경계를 없애고 시화합일의 단계로 더 나아가게 되었다.4. 추사 김정희와 세한도제화시가 그림의 화면 위에 글로 쓰여지는 이상 시(詩)?서(書)?화(畵 ... 제화시(題畵詩)와 동양 예술문화의 융합「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박상환1. 머리말2. 제화시의 역사3. 제화시의 내용과 기능4. 추사 김정희와 세한도5. 맺음말1. 머리말제화 ... 를 ‘제화시’, 그림의 동기가 되었던 시를 ‘화제시’라고하기도 한다.그림이 선과 색을 통해서 마음속 풍경을 드러낸다면 시는 문자를 통해서 그와 같은 일은 한다. 회화는 화가가 표현
는 조형적인 아름다움에 몰입했다. 붓에 먹을 묻혀 툭툭 찍어 내리듯 표현된 매화 등걸은 오랜 세월을 절치부심하며 기다려온 용의 비늘처럼 까칠하다. 용의 비늘을 뜯어내어 만든 듯한 제화시 ... 아 그린 또 다른 세한도이다. 권돈인은 이 세한도를 그리면서 송 죽 매의 세한삼우에 돌과 집을 곁들여 보다 인간미 넘치는 소재로 바꾸었다.권돈인의 세한도는 화폭 안에 밝힌 대로《세한삼우 ... 를 심어놓고 20년 동안 도시에 내려가지 않고 살았다 한다. 결혼도 하지 않은 그는 매화를 아내 삼고 학을 자식 삼아 매화를 감상하며 시를 읊었다. 어쩌다 손님이라도 오는 날이면 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