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록, 일사, 소언, 군서, 가사, 별전, 잡기, 지리서, 도읍부 등 십종으로 분류하였다. 『사통』은 육가 이체를 논하고, 정사 이외의 십조의 기록을 논함에 있어서도 최초의 역사 ... 가지 사서가 발전한 것은 『수서』 경적지의 표목에 의해서도 알 수 있지만, 『사통』에도 역시 정사 이외의 기록의 발전에 주의하였다. 『사통』의 잡술편에는 정사 이외의 것을 편기 ... , 즉 육가 등의 종류로부터 점차로 분파된 것을 주로 하고 기록의 발전을 역사적으로 생각하였다. 사부 발전의 결과로서 각종 목적으로 다수의 서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제목 : 유지기의『史通』-目次-I.머리말II.본말1.劉知幾(661-721)2.『史通』i)『史通』의 내용상의 特徵ii)『사통』이 중국역사학에 끼친 영향Ⅲ.맺음말劉知幾의 『史通 ... 은 모든 사서의 品類 변천은 이들 육가의 범위 해에서 이루어 진것이라 본 것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기전, 편년 두 체로 서술된 사서를 ‘正史’로 총칭하고, 정사 이외의 각종 사서 ... 는 당시까지 전해져 오던 사서중 단대사 기전체인 『漢書』의 저술을 강조한데서 기인한 것이다.○ 사통의 논법(기전체)유지기는 「본기」편에서 “본기는 만물의 강령을 세우고 만물을 총괄
『좌전』과 『춘추』 이가가 있을 뿐이다.[『사통』「육가」]라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다음에 말할 이체이다.편년과 기전 두 차례로 말하자면 둘 다 유지기 이전에 가장 유행하던 사체 ... 역사학개론 report유지기의 史通과 두우의 通典목차Ⅰ. 유지기1. 유지기의 생애2. 사통의 성립3. 사통의 공헌4. 유지기의 영향Ⅱ. 두우1. 두우의 생애2. 통전의 성립3 ... 의 재능은 쓰임을 얻었으나 자신의 의지는 펼칠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였으며, 이에 『사통』 내외 합계 49편을 저술했다. 때는 바로 경룡 4년 2월이었다. 후에 벼슬을 옮겨 태자좌서자
劉知畿의 역사학사통유지기(劉知幾 661∼721)의 자는 원래 자현(子玄)인데 뒤에 당 현종(玄宗)의 이름자(이융기(李隆基)를 피해 행(行)이 되었다. 그는 당 서주(徐州) 팽 ... 성(彭城)(지금의 강소성 서주시)사람이다. 그의 대표작 『사통史通』은 중국고대사학의 제1차 계통을 총괄하였다.사마천에서 시작하여 반고를 거쳐 순열 등의 노력으로 중국역사학의 계통 ... 하였다. 유지기 『사통』의 출현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상황의 필연적인 산물이다.유지기가 사찬한 『사통』은 그의 가정적 배경, 본인의 경력 및 그의 역사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유지기
1. 서론유지기의 사통은 역사이론에 관하여 논한 책으로 중국 최초의 사학사라고 할 수 있다. 사통의 출현은 중국 역사학이 번영의 단계로 진입하였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삼국위진남 ... 북조시기에 중국역사학은 하나의 독립적 학문분야로 발전하였지만 당대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역사학 이론을 전문적으로 다룬 저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통의 출현으로 인하여 중국 고대 ... 의 역사학은 비로소 완전한 의의를 갖춘 역사학으로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통은 당 이후 역사학의 발전을 추진하는 원동력이었고 사서편찬 작업과 역사학 연구에 큰 공헌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