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제시하고 있다.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은 항목을 24개로 분류하여 평어를 설명하고 있다. 그가 분류한 평어는 雄渾, 沖澹, 纖 , 沈着, 高古, 典雅, 洗鍊, 勁健, 綺麗, 自然 ... 는 사공도의 24칙을 기준으로 하되 좀 더 변화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사공도와 같이 시의 품격을 3품으로 나누었다. 상품과 차품에 대해서는 대개 중국의 비평용어 ... , 含蓄, 豪放, 精神, 縝密, 疎野, 淸奇, 委曲, 實境, 悲慨, 形容, 超詣, 飄逸, 流動 이다. 사공도는 각 항목을 사언십이구의 시로써 형상화하여 설명하고 있다.우리나라
)이었다. 겸재가 사공도의 시론을 그림으로 표현한 “사공도시품첩‘중의 한 작품이다. ”시품“은 시를 쓸 때 갖춰져야 할 품격을 24가지로 요약한것이다. 정선은 시품의 각항마다 그 ... 있고만상은 곁에 있다.앞으로는 세 천체 부르고뒤로는 봉황새 끌어온다.새벽에 여섯 마리 큰 바다 거북 채찍질하여부상에서 발 씻는다. 사공도시품첩중 호방,그 당시 겸재의 그림이 얼마나 ... 문인화의 품위를 갖추고 있었는지 보여주는 자료이다. 시에는 시품이라 해서 시의 품격을 논하는 기준이 있는데 당대의 문인들이 겸재 그림의 품격을시품에 비유해 그로 표현했다고 한다
21.齊心 22.矜嚴 23. 藏출 24.神悟25.卽景 26.勇改 27.著我 28.戒偏 29. 割忍 30.求友31.拔萃 32.滅迹속시품 안에 원매는 시를 지을 때의 자신의 詩觀 ... ,정리가 된다.본고에서는 문학작품 속에 표현된 성령을 알아보고자 양만리와 공안파, 원매로 이어지는 성령설의 내원을 살펴보고 그들이 주장한 성령이란 개념을 정리자 격인 원매의 《속시품 ... 를 논한 글을 많이 지었는데, 그 중 은 사공도가 시의 묘경(妙境)을 표방한 데 그쳐 시를 짓는 데의 고심을 써 내기 위해서 지었다고 한다.은 총 32수로 되어 있다.1.崇意 2.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