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e), ‘월터스토프’(Nicholas Wolterstorff) 등의 경우 예술작품을 추상적 유형 내지 보편자로 분류한 이론가들이다. 반면 ‘마골리스’(Joseph Margolis ... 예술 작품의 존재(요약문)1. 현대적 논의예술작품은 어떤 종류의 존재자라고 할 수 있을까? 다양한 예술작품 속에서 어떤 통일성을 발견해서 이 물음에 답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 에 가깝다. 오늘날 영미 분석미학에서 예술 작품에 관한 논의는 크게 2가지로 대별된다. 개별적 예술 작품을 어떻게 확인 및 재확인 하는가 하는 '수적동일성'(numerical
고 있다. 실제로 조셉 마골리스는 “실재는 불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흐름인가?”라는 중심 주제를 통해 해석은 ‘마치 생산 활동과 같다’라고 주장한다. 그로 인해 주어지 ... 을 다루는 것이 아닌 오히려 예술가의 창작물로 봤다.니체가 예술을 그렇게 보았다면, 데리다는 문학을 그렇게 보았다. 데리다는 철학자들의 작품을 문학적 방식의 틀 가운데서 읽고 그 철학자
는 오랜만의 해후로 가슴이 설랜다. 밍코트가의 가장격인 밍코트 부인(Mrs. Mingott: 미리암 마골리스 분)의 용단으로 약혼발표를 거쳐 결혼으로 발전하는 동안, 뉴랜드는 자유분방 ... 처럼 화려한 보석보다는 꽃이나 리본으로 장식하며 머리를 단정히 빗어 올린 모습도 인물의 캐릭터를 잘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반해 예술과 자유를 사랑하는 엘렌은 주로 빨강
마골리스가 믿기로는, 예술은 끝없이 제작될 것이며 내러티브로서의 예술사 역시 계속될 것이다. 물론 우연한 어떤 이유로 예술 제작 자체가 멈출지도 모르지만, 그 이유가 무엇이든 그것 ... 으며, 그때 예술의 역사가 끝이 난다고 보는 점에서 예술의 역사주의적 실재론과 본질주의를 함께 견지하고 있다. 반면에 마골리스는 예술을 텍스트 또는 내러티브 자체로 보며, 텍스트 ... 예술의 미래와 대중문화의 내러티브목 차1. 들어가는 말2. 예술의 미래3. 예술과 문화의 지평 융합: 예술의 문화화와 문화의 예술화4. 대중문화 내러티브의 사례: 키치의 내러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