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카토슈의 연구 프로그램의 평가 문제- 과학자는 어떤 연구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하는가? -연구 프로그램의 등장 배경라카토슈는 칼 포퍼의 반증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토마스 ... 들을 포함하는 구조들에 주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라카토슈가 보기에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론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쿤의 이론을 수용하게 되면 과학활동은 비합리적이게 된다는 것이 ... 어있다. 즉, 공통의 잣대인 ‘공약’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라카토슈는 포퍼의 반증주의는 간과하고 있지만 쿤은 주목하고 있는 이론의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측면을 강조하면서도, 쿤
→일존성O- 역사적으로 반증사례가 나타나도 폐기되지 않은 경우O발전된지식반증가능성↑한 이론(일반적·포괄적)라카토스의연구 프로그램이론견고한 핵기본적 가정의 개념체계/거부·수정X/본질 ... 적 특성보호대보충하는 보조자료/ 수정·보완O⇒견고한 핵 반증에서 보호반증주의와 비교반증주의는 반증 출현시 바로 폐기라카토스는 바로 폐기X/보호대 수정혁명적쿤의 과학 혁명과학 이론 ... ? STS)- 과학의 역사는 누적적, 혁명적, 발전적 특징O- 과학은 국제적인 함의를 가짐2. 과학의 본성 ? 학습 중요성(R)(p.216)과학의 본성학습 중요성실리적일상생활 문제
지만 국소적 반례가 아닌 반례는 2번의 전면적 반례이면서 국소적 반례로 바뀌게 되는거지.여기서 라카토스가 제시하는 수학적 발견의 원리 하나가 바로 '허위성의 재전달 원리(the ... 는 함의는, 증명과 반박이 결국 이어져 있다. 반박을 통해서 증명이 개선되기 때문이다.3. 전면적 반례이지만 국소적 반례가 아닌 반례 : 보조정리는 상관없이 전체 증명을 반박
것이다. 2절에서는 라카토스(Lakatos)의 준경험주의 수리철학에 대하여, 3절에서는 구성주의 수리철학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그리하여 각각의 수리철학이 수학적 지식의 성격 ... 하므반박의 논리에 의해 추측이 끊임없이 개선되는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성장한다는 사실을 밝혀 내었다. 라카토스는 만들어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의 완전한 확실성을 입증할 수 없으며 다만 ... 한 추측이라는 이런 관점은 오류주의 수리철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라카토스의 책「수학적 발견의 논리」의 앞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교사: 우리는 지난 시간에 다면체에 관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