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동국사략과 민제인이 지은 동국사략도 있습니다.현채가 지은 동국사략근대에 역사 교과서로 많이 활용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은 표제음주동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은 근대 ... 동국사략의 종류고려시대 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국사략에는 조선 태종때 편찬된 동국사략과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이 있습니다.이외에 조선전기에 유희령이 지 ... 에 역사 교과서로도 많이 활용이 되었습니다.●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조선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사라고도 할 수
『동국사략』은 중종반정 공신의 한 사람인 이우,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박상, 을사사화 때 유배당한 유희령, 그리고 역시 을사사화 때 윤임파의 하나인 민제인 등이 각각 지은 것 ... 이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지금 전하는 것은 박상과 민제인의 저서뿐이다.박상의 『동국사략』은 『동국통감』의 1/10 정도밖에 되지 않는 간략한 통사이지만, 내용면에서는 많은 차이 ... 의 『동국사략』처럼 성리학적 명분론이 강하게 투영된 사서도 아니고, 세조가 의도했던 탈성리학적 사서도 아닌 그 중간형태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신화와 전설 들을 세주로써 상세
쓰여 졌지만 지금 전하는 것은 박상과 민제인의 저서뿐이다. 박상의 『동국사략』은 간략한 통사지만 통일신라의 역사적의의를 높이 평가하고, 고조선과 고구려의 중심지를 한반도로 잡 ... 와 신비주의 ? 여러국가들의 난립으로 그 계통을 잡는 것이 어려웠다. 태종때 권근 등에 의해 『동국사략』이 나타났는데 이는 성리학이 깊이 투영된 사서로 불교나 신화 등을 강도 높 ... 실현하는 진보세력이 사림(士林)이였다. 이들의 왕도정치 구현의 정치의식을 바탕으로 역사를 이해하려는 목적아래 쓰여진 책은 『동국사략』이다. 그동안 『동국사략』은 많은 이들에 의해
게 되어 이후의 《동국통감》 등에서 삼국을 대등하게 서술하는 방식으로 극복되었다.그 밖에 같은 이름의 책이 여러 권 있는데, 이우(李) ·박상(朴祥) ·유희령(柳希齡) ·민제인(閔齊 ... 한국사학의 이해보고서담당교수 : 김철웅학과 : 제 3공학부학번 :성명 :동국사략 [東國史略]권근(權近:1352~1409) 등이 편찬한 한국의 역사서.먼저 이 역사서에 대해 조사 ... 자 흥미로운 부분이 많아서 좋은 공부가 됐다.동국사략은 권근(權近:1352~1409) 등이 편찬한 한국의 역사서로써 6권 2책 또는 3책으로 되어있다(자료마다 2책이라 표시한것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