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사집(湛然居士集)》(14권)과, 서역에 종군했을 때의 견문기인 《서유록(西遊錄)》 등이 있다. 아들 주(鑄)도 세조 쿠빌라이를 섬겨 고관이 되었는데, 특히 시인으로 유명 ... 다. 군정(軍政)과 민정(民政)을 분리하여 군·관(軍官)이 민정을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세제(稅制)를 정비하여 몽골제국의 경제적 기초를 확립하였다.시인으로서도 뛰어나 문집 《담연
13세기 경 원나라(몽고) 태조 때 야율초재는 그의 문집인 『담연거사집』에서 “여민황앙덕 만국희관광(黎民歡仰德 萬國喜觀光)”이라는 시구를 썼다. 이 시의 내용은 백성은 덕 ... 을 살피며 체류한지 6년이란 뜻으로 해석된다.그 후 고려말 우왕 10년(1385)에는 이숭인의 중국 북경여행기를 그의 친구인 삼봉 정도전이 『관광집』으로 제목을 붙임으로써, 최초로 관광
뜨겁게 안아야 할 이 땅의 가엾은 중생들이었다. 원효가 과부가 되어 있는 요석궁의 공주와 짧은 인연으로 아들 설총을 낳고, 스스로 승복을 벗어 던진 채 소성거사(小姓居士)라 자처 ... 적 풍모는 無碍行(무애행) 으로 표출되고 있다. 13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그에 관한 일화를 보면 요석공주와의 파격적인 결혼이라든가, 표주박을 두드리면서 시장의 주막집 ... 아전의 『기신론』연구로는 지개의 『一心二門大義』(1권), 담연의 『起信論疏』(권상), 혜원(523-592)의 『起信論義疏』(기신론의소)(1권) 등이 현존하고 있지만, 그들에게서
거사 집간방鼻內生瘡?코 안에 창이 생김(密陀僧、香白芷等分。爲末。蠟燭油調塗之。《簡便方》)밀타승 향백지 같은 분량을 가루낸다. 밀랍촉기름으로 섞어서 바른다. 간편방鼻? 赤?) ?주사비와 ... 각각 작은 잔으로 한 잔이 되게 달여 따뜻하게 복용하여 잠시에 담연을 토출하면 오묘하다. 성혜방消渴?水?소갈로 물을 마심(神效丸?用密陀僧二兩。?末,湯浸蒸?丸梧子大。)신효환은 밀타 ... 。《集簡方》)장수로 깨끗이 씻어서 기름으로 밀타승을 섞어서 바른다. 4g을 뜨겁게 찐 떡 한 개를 사용하여 절개하여 친 가루를 낀다. 집간방香口去臭?향기로 입냄새를 제거한다.(密陀僧
은 속어로 털이라는 뜻이며 따라서 誓幢은 '새털'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그의 어머니가 그를 임신하고 달이 찼을 때 집 근처의 밤나무 밑을 지나다가 갑자기 해산하게 되어 창황중에 남편 ... 로 보아야 할 것이다.또 스스로 소성거사라 칭한 것은 실계하였기 때문에 속죄의 한 방법으로서였다기보다는 오히려 대중교화의 방편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는 대중교화의 선구자인 혜공 ... 는 대중교화의 행각을 마친 뒤에는 다시 소성거사 아닌 원효는 화상으로 돌아가 穴寺에서 생애를 마쳤다.2.시대적 배경元曉의 생존기간인 眞平王 39년(617)에서 神文王(686)을 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