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구별 단계로 린네의 계층분류에서 목과 속의 중간에 있는 계급명이다. 명명시에는 기준속명의 어간에 동물에는 -idae, 식물과 세균에는 -aceae를 붙여서 나타낸다.(출처: 두산백과 ... 으로 처지지 않는다..·2. 小穗는 單性花로 구성된 2형. 잎은 길이 1m정도, 나비 2~3cm5. Zizania 줄속·2. 소수는 兩性花로 구성된 단형. 잎은 길이 25cm ... ··3은 까락이 있다. 쌍으로 된 소수는 자루가 있다. 산방상 원추화서이다73. Miscanthus 억새속······17. 외영(겉껍질)은 까락이 없다. 쌍으로 된 소수는 자루가 없
날’과 쌍관항을 이루는 ‘옛날’이라는 뜻의 시간개념도 포함되나 가치개념이 더 강함③ 한국적 특수성에 의해 의미가 변용되어 사용④ ‘현대’와 대립되는 ‘옛날의 시가문학’을 가리킨다는 ... //시대; 16,17c7.4.1. 문학적 분류와 하위 장르1) 시조의 분류와 엇시조의 문제점①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단시조, 중시조, 장시조///단형, 중형, 장형시조②종장의 ... 첫 구를 제외한 나머지 초.중.종당의 어느 한 구가 늘어간 형식인 엇시조는 평시조의 운율적 역동성 상실과 평시조가 지녀야할 파격의 미학을 봉쇄하는 결과 초래예) 藥山東臺 여즈러진 바여줌)
- 가 락카 로 발음한다. ex) 가려고 한다 → 갈락칸다-주로 단형의 부정법을 취한다. ex) 좋지 않다, 걱정스럽지 않다 →ex) 안좋다, 안걱정스럽다-서술형으로 말할 것을 의문 ... 는디, 그란디 , -니까 → 비쌍깨, 그랑깨, 간당깨로 (-ㅇ깨, -ㅇ깨로)-표준어의 -요 에 해당하는 -라우 나, -래요 에 해당하는 -라요 , -야ex) 입었어라우 , 좋 ... (일곱), 니발(이발), 니론(이론), 낭심(양심), 노리(요리)- ㄷ 변칙활용이 없다. ㄷ 변칙동사의 어간말음 ㄷ 이 모음 앞에서도 ㄹ 로 바뀌지 않고 그대로 ㄷ 을 유지. ex
만 아니라, 형태상으로 어간에 해당하는 말이독자적으로는 아무런 의미나 내용이 없으나 이 접미사와 결합하여 전혀 의미나 성질이 다른 특수한 용어를 파생시키는 조어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 ... . 정말카노, 니라카는 사람’? ‘-려고 하-’가 ‘락카’로 발음한다. 예) ‘가려고 한다’ → ‘갈락칸다’? 주로 단형의 부정법을 취한다. 예) ‘좋지 않다, 걱정스럽지 않다’ →‘안 ... ’‘-니까 →비쌍깨, 그랑깨, 간당깨로’(-ㅇ깨,-ㅇ깨로)? 표준어의 ‘-요’에 해당하는 ‘-라우’나, ‘-래요’에 해당하는 ‘-라요’, ‘-야’예) ‘입었어라우’,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