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간보와 오선보(1) 정간보정간보(井間譜)는 종이에 네모난 칸[井間]을 세로로 이어 그리고, 그 속에 율명의 첫 글자를 한자로 적어 기보하는 것으로 조선 세종 때 창안되었다. 한 ... 칸이 박자의 단위가 되어 흔히 한 박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 안에 율명의 첫 글자를 적어 음의 높이를 표시된다.정간보에서 음의 높이는 정간 안에 쓰여진 문자로 나타낸다. 문자 ... 보의 한 정간이 한 박일 때, 그 보다 긴 음은 정간의 수, 그 보다 짧은 음은 정간 속에 쓰여진 율명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즉 한 정간에 율명 하나가 있으면 그 음은 한 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