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풍속, 수단의 누에르족의 불임 여성을 남성과 동일시 여기는 것, 나이지리아 요루바족의 부유한 여자들이 아내를 얻는 것 등의 예를 들며 처녀나 동성 부부를 위한 다양한 수정 ... 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이다.이를 바탕으로 인간 사회에는 ‘친자관계 규칙’이 필연적으로 생긴다.쉽게 이야기하면, 현시대에서는 민법상 혼인관계 정도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작가
♠목 차♠♠해설♠지은이에 대해♠서문제1장 소에 대한 관심제2장 생태환경제3장 시간과 공간제4장 정치체계제5장 출계체계제6장 연배체계♠맺음말해설는 누에르족 3부작 중 첫 번 ... 째로 1940년에 출반된 이래 사회인류학에서 가장 중요한 고전이 되었다. 에번스-프리처드의 누에르족 3부작은 (1940), (1956. (1951)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 여러 번에 걸쳐 ... 자료수집과 분석의 한계를 고백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이후 모든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누에르족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소다. 그들은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