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9헛된 바에 홀려 도리를 그르치지 마라한유의 「논불골표」로 보는 그의 곧은 신념(信念)201603977 전주상1. 서론당대의 문인이자 관료인 한유(韓愈 768 ... ~824)의「논불골표(論佛骨表)」는 당 헌종(唐 憲宗)원화(元和) 14년(819), 황제가 붕상(鳳翔) 법문사(法門寺)에 가서 부처의 뼈를 모셔오는 것을 명하자 형부시랑(刑部侍郞 ... 보도록 한다. 이어나갈 글에서는 한유의 생애와 문학관, 그의 배불(排佛) 및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고「논불골표(論佛骨表)」의 단락과 글에 담긴 의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2. 한유
문사(法門寺)의 불사리를 장안으로 모셔다 공양하려 한 것에 당시 형부시랑(刑部侍郞)으로 있던 한유(韓愈)가 「논불골표(論佛骨表)」를 지어 간언한 것에 격노하여 그를 조주자사(潮州刺史 ... )一地域名稱,宋在蘇北和江淮設淮南東路和淮南西路,淮南東路又稱淮左,淮南西路稱淮右。이 때 회서등의 곳이 지킬 사람이 없어서 배도가 표를 올려 회서등의 곳을 지키게 해달라고 빌었다.帝許之
)을 조정에 들여놓으려 하자 論佛骨表(논불골표)/간영불골표(諫迎佛骨表) 를 써서 이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이로 인하여 헌종의 노여움을 사 사형에 처할 운명이었으나, 주위 사람들의 도움 ... 도록 명했다. 만일 듣지 않는다면 명사수를 시켜 모두 죽여 버리겠다는 으름장이었다. 論佛骨表(논불골표) : 유교철학을 재편성함으로써 불교에 대항하려고 하는 의도가 엿보이는 점에서 주목 ... 된다.韓愈(한유)와 憲宗(헌종)한유는 불교를 강하게 배척하였는데 헌종이 佛骨(부처의 사리)을 조정에 들여놓으려 하자 論佛骨表(논불골표)/간영불골표(諫迎佛骨表) 를 써서 이를 신랄
)人(창려(하북성)인)으로 自稱(자칭). 形部侍郞(형부시랑)때에 論佛骨表(론불골표)를 올려 皇帝(황제)가 佛骨(불골)을 長安(장안)으로 모셔오는 것을 反對(반대)하다가 潮州刺史 ... )으로 좌천되었다. 이듬해 소환되어 주로 국자감에 근무하였으며, 817년 오원제(吳元濟)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형부시랑(刑部侍郞)이 되었다. 819년 헌종(憲宗)이 불골(佛骨)을 모신 것 ... 한 충신)에 比喩(비유)하고 人物(인물)의 發見(발견), 拔擢(발탁), 登 用(등용)의 法(법)을 論(논)한 것이다.� {{{{{, {{{{{{�세유백낙, 연후유천리마� 천리마상유, 이백낙불상유�세상에 백락과 같은 사람이 있은 후에야, 천리마가 있게 된다.
- 「논불골표 論佛骨表」,「원도 原道」,「사설 師說」,「진학해 進學解」 등은 논리가 정연하고 문장이 유려하다.우언 전기 - 「모영전 毛潁傳」, 「송궁문 送窮文」, 「잡설 雜說 ... ) 정론류 政論類1) 가의 賈誼의 「과진론 過秦論」과진론은 진나라의 정치 득실을 따져 당시의 통치자들을 풍자한 것으로, 거침없고, 날카로운 필치의 명문이다.2) 조조 晁錯의 「논귀속 ... 소 論貴粟疏」논귀속소는 중농 정책과 농민 생활의 안정을 역설하면서 생산 의욕을 볻돋워야 함을 주장한 글이다.3) 환관 桓寬의 「염철론 鹽鐵論」염철론은 한나라 소제 때에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