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에 관해서 이야기 한다. 이순원의 소설 “얼굴”에서는 주인공 김주호라는 은행원은 계엄군으로서 광주에 투입되었던 과거를 갖고 있다. 지금 김주호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과거 ... 어서 은행에서 사람들이 자신을 알아볼까 안경도 쓰고 모든 비디오도 확인해 보고 큰 노력을 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김주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내가 아니라 나라의 부름을 받고 입대 ... 한 운이 없어 차출된 익명의 공수부대 출신 속에서 진짜 자신과 집단무의식 속에서의 짐승 같은 행동에 대해서 갈등하는 김주호는 자기 행동에 대해서 다른 사람도 그렇게 하리라 생각
광주민주화운동의 재조명- 이순원의 단편소설, 「얼굴」에 관하여1. 작가소개이순원(1957~) 1957년 강릉에서 태어나 강원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에 단편 ... . 작품세계-“타락하고 훼손된 삶의 풍경을 차분하게 응시하는 작가의 시선”이순원은 80년대 후반 무렵부터 대두되는 젊은 작가군 가운데서도 가장 주목받는 소설가 중의 한명이었다. 그 ... 동이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90년대 한국의 사회상을 그린 등 빛깔을 달리하는 여러 층위의 작품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순원 문학의 특징은 타락하고 훼손된 삶의 풍경을 차분
광주민주화운동의 희생자들...이순원의 얼굴이란 이 소설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공수부대에 차출돼 광주 진압에 투입됐던 한 군인이 10여년의 시간이 흐른 뒤에 고통 속 ... 의 시선으로 가해자라고 생각하던 사람이 또 다른 피해자였음을 말하고 있다.이 작품의 김주호란 인물은 고등학교 졸업 후 군에 입대하게 되는데 논산훈련소에서 줄을 잘못 서서 공수부대 ... 만 그 어떤 자료에도 또 다른 희생자에 대한 말은 없다. 또 다른 희생자란 김주호란 인물처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공수부대원으로 차출되어 명령에 따라 총칼을 휘둘렀던 군인들이
이 소설은 이순원의 [얼굴]이란 작품입니다. 논산훈련소에서 공수부대에 차출돼 광주에 투입됐던 병사가「광주」관련 tv 특집과 다큐멘터리 테이프를 수십차례 거듭 틀며 자기 얼굴이 있 ... 의 여타 작품의 경우처럼 광주 현장의 피해자의 시선에서 다루지 않고 거꾸로 가해자의 시선에서 다루었습니다.이 작품의 내용을 보면 김주호 란 인물이 나옵니다 .그는 고등학교 졸업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