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종 때에 편찬된 동국통감조선 성종때에 편찬된 동국통감은 고대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해 놓은 편년체 역사서 입니다.성종때에 편찬된 동국통감세조때에 편찬하기 시작예종 ... 을 거쳐서 성종때에 완성모두 56권 28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국통감은 원래 세조때에 편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세조시기에 완성을 보지 못한 가운데 성종때에 와서 완성이 되게 ... 됩니다.편년체 역사서인 동국통감은 외기와 삼국기, 신라기, 고려기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동국통감의 구성모두 56권 28책으로 구성외기---단군조선에서 삼한까지를 기술한 부분삼국기
과 다음 달 예종이 죽음으로서 또다시 중단되었다. 결국 성종 5년 신숙주의 건의로 작업이 재개되어 『삼국사절요』와 함께 『동국통감』구편이 완성되었으며, 이후 16년 최보와 서거정 ... 의 사론 첨가로 『신편동국통감』이 완성되었다.)『신편동국통감』은 구편의 내용을 보충하여 사론을 첨가하여 완성된 것이지만, 저술한 편찬자와 성격이 미묘하게 바뀌게 된다. 구편은 훈구 ... 년(성종 15년) 11월에 서거정의 지휘하에 처음 만들어졌는데, 이것을 『구편동국통감(舊編東國通鑑)』이라 하고, 이것을 사림 세력들이 사론을 첨가하여 1485년(성종 16년) 7월
으로 작업이 중지되었고, 14년 9월에 세조가 죽음으로 완성되지 못했다.2. 성종대- 1483년(성종 14) : 서거정이 동국통감 편찬을 제기.- 1484년(성종 15) : 《구편 ... 동국통감》완성. 성종이 다시 편찬하도록 지시.- 1485년(성종 16) : 사론을 더 첨입하여 《신편동국통감(新編東國通鑑)》완성.3. 《구편동국통감》과 《신편동국통감》비교{구편동국 ... 동국통감(1485) · 동국여지승람(1531)Ⅰ. 동국통감(1) 편찬목적 및 배경1.《삼국사기》와 《고려사》에서 빠진 부분을 여러 사서에서 채집 · 보충, 그것들을 올 바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