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공구허지설’에 의해 도덕적 진실성을 추구하는 작품이 나타나자, 이런 것이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이런 것을 소설이라고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되어 마침내 「小說」이란 말 ... 되어야 한다고 조동일은 설명하고 있다.소설은 인생의 진실을 다루는 산문으로 된 이야기라고 하거나, 가공구허지설에 입각해 진실성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등의 견해는 장르 체계 내에서 소설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소설의 허구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각도에서 명확한 말로 표현되는 것은 만와옹(晩窩翁)을 만나면서 부터였다. 만와옹은 자기 작품 를 ‘가공구허지설’에서 나온 ... 것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이 ‘가공구허’란 분명 허구성에 대한 다른 표현이라 풀이할 수 있다. 이것은 소설 인식의 변모라는 차원에서 중요하게 이해된다.2). 표현적 맥락① 구성 ... 을 꾸미는 것, 즉 가공의 것이라는 허구성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반면 일찍이 김시습은 허구의 긍정적 가치를 인식하였는데 김시습은 전등신화를 읽고이와 같이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