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685)
  • 리포트(498)
  • 논문(148)
  • 방송통신대(18)
  • 시험자료(17)
  • 자기소개서(4)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율곡학파" 검색결과 141-160 / 685건

  • 巍巖 李柬의 정치적 입장과 호락논쟁 (Yi Kan’s Political Stance and the Ho-Rak Debate)
    과 다르지 않았다.이간은 율곡 이이로부터 내려오는 율곡학파의 학통을 수호하여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異說을 강하게 배척하고 이단을 경계하는 태도로 드러났다. 異說
    논문 | 2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5 | 수정일 2025.06.09
  • 조선시대 『소학』 주석사에서의 『소학질서』의 위상 (Seongho YiIk’s “Sohakjilseo”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Sohak” in Joseon.)
    적으로 중국에서 『소학집성』이나 『소학집설』 등의 주석서들이 수입되었고, 율곡 이이에 이르러 조선의 대표적인 『소학』 주석서인 『소학제가집주』가 찬술되었다. 이후 정권의 중심에 있었던 우암 ... 송시열 중심의 노론계 학자들에 의해 율곡의 주석서를 계승하는 노력이 이루어졌고, 이들은 주로 새로운 학설을 가하기보다 이전의 해석을 수용하는 자세를 취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 ... 성호를 중심으로 한 근기남인계 학자들에 이르러 『소학』의 주석사에 변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주자를 계승하면서도 때로는 주자를 비판하기도 하였고, 퇴계학파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퇴계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30 | 수정일 2025.07.05
  • 성호와 청대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MA Contrastive Study of SeongHo and ChoungDai’s Sadan Chiljeong)
    본 논문은 같은 퇴계학파의 일원이요 생몰연대도 거의 일치하는 성호와 청대의 사단칠정론을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두 사람의 이론적 차이를 분명히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두 사람 ... 은 모두 사단과 칠정을 별개의 정으로 분명히 구분해보려고 한다. 이것은 율곡이 ‘정은 하나인데 리만을 가리켜 말한 것은 사단이요 이기를 겸하여 전체를 말한 것은 칠정이다’라고 보는 것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08 | 수정일 2025.07.11
  • 한능검 핵심 키워드 정리집 (최소시간, 최대효율)
    , 흥선대원군 의해 철폐)조선 성리학자퇴계 이황 – 도산서원, 성학십도, 예안 향약, 일본성리학에 영향, 주자서절요율곡 이이 – 강릉 오죽헌, 격몽요결, 동호문답, 성학집요, 자운서원 ... 순수비 고증조선 실학파 중상학파유형원 – 균전론 (신분에 따른 토지차등분배), 반계서당, 반계수록박지원 – 수레 및 선박이용, 양반전, 연암, 열하일기, 허생전, 호질유수원
    시험자료 | 2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1.12.09
  • 直堂 申鉉國의 학문과 春秋大義 (Jick-Dang Shin Hyeon-gook’s Learning and Chunchu-Dae-Eui(春秋大義))
    (晦堂) 윤응선(尹膺善: 1854∼1924)과 함께 ‘삼당(三堂)’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는 율곡학파 낙론계 성리학의 계통을 이은 정통 보수유림이었다. 자신이 살았던 시기를 난세 ... 직당 신현국(1869∼1949)은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 1834∼1910)를 대표로 하는 ‘의당학파(毅堂學派)’의 정맥(正脈)을 이은 유학자다. 스승 박세화, 동문 회당 ... 하게 다시 세우려는 데 그 의의가 있었다. 실로 학파와 당색을 초월하는 절체절명의 대명제였다.신현국의 일생은 ‘수사선도(守死善道)’로 일관되었다. 죽음으로써 유학을 지키려 한 데서 그
    논문 | 25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31 | 수정일 2025.06.05
  • 樂齋의 救國 抗爭과 講學 活動 (A study of a save-the-nation drive's strife and an exposition activity of NakJae(樂齋))
    의 정통을 계승하였지만 율곡의 문집을 읽고 율곡 학파와도 활발하게 교유하였다. 또 퇴계학파의 주된 연구 분야인 성리학 연구를 충실하게 수행하였지만 교조적 학자들과는 달리 다양한 분야 ... 가장 절친했던 인물로는 旅軒 張顯光 · 槐軒 郭再謙 · 慕堂 孫處訥 등을 꼽을 수 있다. 낙재는 향리에서 명리를 추구하지 않았지만,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낙재는 퇴계 학파
    논문 | 3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4 | 수정일 2025.06.28
  •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A study on the traditional “Study(學)"concept and correlation of LiXue(理學) and XinXue(心學) in Toegye and Yulgok's the study of being Sage(聖學))
    조선 유학에 관한 분석은 철저히 조선 유학 혹은 주자학, 도학 등의 학문 자체 논리에 입각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다.전통적인 학문분류 개념인 이학, 심학, 도학, 성학 등은 학파 ... 해야 한다고 본다.조선 유학을 대표하는 퇴계와 율곡의 성학 혹은 도학 체계는 이러한 구조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다. 理氣의 互發 속에서 尊理의 당위를 강조하는 퇴계 ... 의 『성학십도』는 이학과 심학을 이원적으로 배치하면서도 心學, 즉 敬을 중심으로 일관시키고 있는 반면 一途說을 주장하는 율곡의 『성학집요』는 成己成物이라는 일원적 도학의 당위성 속에서 閑
    논문 | 45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9 | 수정일 2025.06.26
  • 全齋 任憲晦의 性理學 硏究 (A Study on Yim Heon-hoy's Neo-Confucianism)
    율곡학파인 陶菴 李縡계열의 학맥을 계승하였고, 이른바 洛論계열의 정맥을 잇고 있다. 그는 梅山 洪直弼의 문인이며 그의 문하에 艮齋 田愚가 있다. 그는 주자, 율곡의 입장을 따라 ... 하고서는 性을 말할 수 없다 하였다. 끝으로 그는 학문의 목표를 道의 실현 내지 聖人 됨에 두었다. 이를 위해 주자, 율곡의 말대로 居敬, 窮理, 力行이 필요하다 하였다. 구체 ... 해명에 주력한데 있다. 그가 19세기 격동의 시대를 살면서 화서학파나 개화파와는 달리 현실참여나 時務논의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것은 그의 문인 田愚에게서 볼 수 있듯이, 自靖義理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2 | 수정일 2025.06.27
  • 頤齋 黃胤錫의 學風과 性理學 (Lije Hwang Yunseok's Academic Tradition and Confucianism)
    적인 문헌이다. 본고는 이를 중심으로 그의 학풍과 성리학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는 기호학파의 非師承 율곡 계열인 陶庵 李縡의 문인인 金元行에게서 수업을 받았다. 그의 학풍 ... 과 주자학에 대한 尊信이 철저했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바 있다. 그의 성리학은 기본적으로 율곡의 학설을 좇고 있다. 理氣二元의 존재관, 理發의 부정, 氣發理乘一途說 등이 그것이다. 다만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2 | 수정일 2025.05.26
  • 重峰 趙憲의 義理精神과 務實精神 (The spirit of righteousness and practicality of Jo Hoen(趙憲; 1544-1592))
    栗이라고 할 정도로 율곡을 본받고자 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여러 측면에서 당시 한국도학자들의 현실인식과 대처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첫째, 중봉은 성리학 ... 정신은 隱峰 安邦俊(1573-1654)과 淸陰 金尙憲(1570-1652), 尤庵 宋時烈(1607-1689) 등 도학파로 계승되었으며, 그의 개혁사상과 중국을 배우자는 사상은 經世致
    논문 | 2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8 | 수정일 2025.07.04
  • 율곡학과 화서학파 (Yulgok Studies and Wha-seo School)
    으로 다가왔다. 이에 대한 유학적 가치의 담지자들이 보인 반응 가운데 주요한 것이 바로 화서학파를 중심한 위정척사운동이었다. 율곡이 과중한 국사로 인하여 치명하였다고 할 수 있고, 중봉 ... 율곡의 주요 관심사가 유학적 이상의 나라를 구현하는 것, 소인의 무리를 물리치고군자들이 다스리는 나라를 건립하는 것이었다면, 제자 사계 김장생의 관심은 왜란으로헝클어진 인륜 ... had different colors, shapes and fragrance. (사)율곡학회 율곡학연구 곽신환
    논문 | 35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8 | 수정일 2025.06.2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율곡 이이의 생애와 활동
    율곡 이이의 생애와 활동20150208 송유진Ⅰ. 머리말Ⅱ. 본론1)율곡의 생애2)율곡의 활동① 기호학파② 이기론③ 개혁사상Ⅲ. 맺음말Ⅳ. 참고문헌Ⅰ. 머리말율곡 이이(栗谷 李珥 ... 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율곡의 생애를 먼저 살펴본 뒤, 기호학파의 형성, 이기론의 완성, 그리고 그의 개혁사상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Ⅱ. 본론1)율곡의 생애율곡은 1553년(중종 ... 1536-1584, 이하 율곡이라 칭한다)는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어 조선의 성리학자 중에 가장 먼저 손꼽히는 인물이다. 그를 떠올릴 때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율곡을 지폐에 나오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7.01.07
  • 조선조 실학자들은 성리논쟁을 해결하였는가? -성호와 다산의 경우- (Did Shilhak School in Chosun Dynasty make a settlement of Sung-li Debate? -in case of Sung-ho and Da-san-)
    이어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 사이에서 논쟁이 재연되어 일종의 철학적 주제로 등장하였다. 그후 율곡과 퇴계의 제자들이 학파를 형성하여 스승의 학설을 이데올로기로 삼아 상대방 학설 ... 와 율곡의 학설이 각각 성립되는 고유의 논리를 갖추고 있어 모두 옳다고 평가하였다. 실학적 관점을 가진 성호는 우주론과 도덕론을 연속적으로 보는 성리학의 유기체적 우주론을 버리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9 | 수정일 2025.06.27
  • 穌齋 盧守愼의 人心道心 사상 (Noh Soo-shin’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이 글에서 논자는 穌齋 盧守愼을 한국 도학파의 한 계승자로서 조명하였다. 靜庵 趙光祖 이래로 道學者들은 성균관 교육체계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성리학 공부에 있 ... 았다. 퇴계와 소재 사이의 대립을 한국 도학파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려 한 입장과 도학의 전통 위에 관학의 전통까지 통합시키려 한 입장 간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소재 ... 의 人心道心說은 율곡이 그 방향을 일부 계승하고 동시에 조금 더 원만한 방식으로 발전시킨 뒤로는 성리학의 발전사에서 그다지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학자들 중
    논문 | 2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7 | 수정일 2025.06.04
  •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사칠신편(四七新編)』에 나타난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연구 (A Study on the Siduanqiqinglun(四端七情論) in the Siqixinbian(『四七新編』) of the SungHo(星湖) Yi Yik(李瀷))
    다.이익의 『사칠신편』은 정시한(丁時翰)의 『사칠변증(四七辨證)』에 이어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정리한 것이다. 이후 성호학파에서는 신후담의 『사칠동이변』이 이익의 『사칠신편』의 입장 ... 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기도 하였다. 또, 정약용(丁若鏞)이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을 통합하려고도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은 성호학파 내부에서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이해하기 ... Siduanqiqinglun(四端七情論) inside Seongho School(星湖學派). (사)율곡학회 율곡학연구 서근식
    논문 | 3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11 | 수정일 2025.07.19
  • 근대기 청원ㆍ보은지역 함종어씨가의 도학정신 및 현실 대응 (The Spirit of Moral Philosophy and Practical Responses of the Hamjong Eo Clan in the Cheongwon and Boeun Regions During Modern Era)
    본 논문은 구한말 및 일제강점기에 함종어씨(咸從魚氏) 가문 인사들의 학술 사상과 애국 활동을 고찰한 것이다. 함종어씨 인사들은 이항로(李恒老)의 도학을 계승하고 화서학파의 항일 ... 항일 인사들은 이항로-김평묵-유중교를 이은 화서학파의 학문과 시대정신을 계승하고, 유인석(柳麟錫)의 항일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함종어씨가는 ‘존화양이’(尊華攘夷)ㆍ‘위정척사’(衛正 ... 으로, 유인석의 항일의거 과정에서 나타난 화서학파 문인간의 연대와 분열 양상을 엿볼 수 있다. 어윤석은 김평묵과 유중교를 존경하면서, 유중교의 성리학설을 비판한 전우(田愚), 유기일(柳
    논문 | 3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3 | 수정일 2025.06.06
  • 19세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 -정약용, 심대윤, 이진상을 중심으로- (The Diversity of the Study on Three Ritual Booksand Documental Archaeology Influencein Late Joseon Dynasty)
    라고 할 수 있다.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리예학의 맥락을 잘 보여주는 인물로 한주 이진상을 거론하였다. 한주는 당대 家禮書의 총집류로 평가받는 퇴계학파의 『상변통고』와 율곡학파
    논문 | 3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2 | 수정일 2025.06.05
  • 聽松 成守琛의 道學精神과 務實學風 (Cheongsong Seong, Soo-chim's DoHak (道學) spirit and the academic tradition of Musil(務實))
    한 己卯名賢이 희생되자, 그는 出仕를 포기하고 재야에서 山林處士로 생애를 보냈다. 퇴계, 율곡이 성리의 이론에 밝고 경세에 적극적이었다면, 聽松과 南冥 曹植은 실천을 중시하고 은둔 ... 자신은 아들인 우계나 율곡에 비해 유학사적인 위상이 낮다 하더라도 成渾에게 미친 영향은 甚大하였다. 또 위로는 鄭夢周-吉再-金叔滋-金宗直-金宏弼. 鄭汝昌-趙光祖로 이어지는 여말 의리 ... 학파 내지 도학의 道統에 닿아있고, 아래로는 아들인 成渾을 중심으로-尹煌-尹宣擧-尹拯으로 이어진 牛溪學派를 낳았다는 점에서 그의 위상을 가볍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Seong
    논문 | 27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7 | 수정일 2025.06.04
  • 魯西 尹宣擧의 務實思想 (Idea of Musil of Noseo, Yunseongeo)
    율곡학파와 친밀한 교유를 하였고, 남인계열의 權諰, 尹鑴와도 친밀한 관계였다. 尹宣擧는 성리학과 예학, 역학에 밝았는데, 성리의 이론적 탐구보다는 도학적 실천을 중시하였다. 그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3 | 수정일 2025.05.26
  • 瑞巖 金熙鎭의 학문과 사상 (SeoAm(瑞巖) KimHeeJin(金熙鎭)‘s learning and thought)
    려고 한 것인데 다만 선행 연구가 없으므로 극히 초보적인 연구만을 진행하였다.서암은 西坪 金基尙을 통해 율곡을 유학의 정맥으로 알게 되었고 悳泉 成璣運과 陽齋 權純命의 인도로 간재학 ... 으로 들어갔다. 다만 덕천, 양재에게 배웠기에 간재학파의 2파중 敎學을 더욱 중시하는 학맥을 이었다.서암은 간재 이래의 명덕심설을 견지하고 松潭 李柏淳의 명덕성론을 비판하였다. 서암
    논문 | 2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5 | 수정일 2025.06.09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