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고 비판, 이것은 후에 다산에게 영향을 주어 아학편(兒學 編) 2천자문으로 열매를 맺게 됨.(3) 정약용(丁若鏞:1762-1836)영조 38년 서울 근교의 마현(馬峴:양주군 와부면 ... 자허생전」등 9편의 소설을 써서 사회의 불합리를 날카롭게 풍자.1777년 홍국영의 미움을 사 황해도 금천의 연암협에 들어가 황무지 개간, 목축, 농민 문제 연구.1780년 청
천자문을 수록한 아학편을 저술하였다. 아학편은 실제로 그의 후손과 제자들의 후손들에게 처음 교육을 시킨 아동 한자교습서로서 이천자로 구성되어 있고 그의 실학사상과 교육사상을 담 ... 은 상징체계로서 교재를 저술하였음을 암시 하고 있다.천자문과 비교하여 아학편은 그 자구의 배열이 보다 논리적이고 자연스러우며 우리 일상생활과 긴밀하게 관계된 가운데 전개되어 있어서 천자 ... 문은 문자를 처음 배우는 아동을 위한 초학 입문서였다면 아학편은 문자 지도의 내용 및 문자 교육 방법의 개혁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높이 평가할 수 있겠다.아학편의 체계와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