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의 관계가 중요한데, 심리학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경험이나 사람들이 갖고 있는 하나님 이미지는 다룰 수 있어도 기독교에서 말하는 계시된 하나님을 말 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 ... 에는 율법 학자가 많았다, 그 자신도 어렸을 때 이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 심리학과 사회학 및 철학을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배우고 1923년 같은 대학에서 학위를 획득 ... ?프롬은 1 장에서 비약적인 과학과 문명의 발달 속에서 인간은 과연 행복한가? 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이 질문에 대해서 우리는 자신들이 행복하다는 신념에 집착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인간중심상담1. 로저스의 생애Carl Rogers(1902-1987)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변자로서, 반세기 동안 발달시켜온 자신의 사상들을 잘 반영하는 삶을 살았다. 그 ... 았다. 1939년에 '로체스터 생활지도소'에서 1년간 소장으로 있다가 1940~ 1945년까지 임상 심리학 교수로 있었다. 1957년부터는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교수 ... 은 유복하였으며 기독교적인 신앙과 근면의 덕을 중시하였다. 그의 부모는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살게 되면 자녀들에게 정직한 노동의 가치와 기독교인의 원리를 좀더 많이 키워줄 수 있
필요한 규칙들을 규명해 내고자 한다. 그런 다음에 이 철학자는 문장들의 구조를 통해서 의미와 무의미의 문제를 제기한다( 위와 같은 책, 234-235).11) 심리학과 정신병리학 ... -Emotionalen)에 의해서 지배되는 인간이라고 보는 삶의 철학(Lebensphilosophie)과 새로운 심리학(die neue Psychologie)에 뿌리 박고 있 ... 을 통하여 나타나는 현대 인의 전반적 의식구조에 미친 영향이나 또는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이 구상하는 새로운 인간상과 관련시 켜 볼 때 그 의의는 크다. 프로이드의 무의식의 세계
면서 교육 문필가였던 그는 유태 어린이 고아원 원장으로 일하면서, 어린이를 사랑하고 이해하고 돌보는 데 헌신적인 길을 걸었던 인물이다. 깊은 통찰을 통해서 시도한 심리학과 교육적 노력 ... 은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 중시하고, 개성존중과 함께 사회성, 역사성 중시하였으며, 정의적, 국민적, 역사적 색채가 강하며 낭만주의의 경향을 띈다.2.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1) 삼육 ... 의 발달단계 고려해서 알맞게 가르침3 아동이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스스로 사고하는 주체가 되도록 유의.4 아동의 욕구/충동/흥미/감정 중시. 인식에 기초 두어 인간성 조화, 통합
하고,주의 심리학과 지식에 대한 진보주의 이론을 통해 자신의 경험주의적 이론체제를 확립하였다. 그의 관점은 유기체의 진화이론, 인간의 도덕적 발전가능성에 대한 신념, 그리고 이상 ... 를 인정함으로써 설령 사실에 어긋나는 신앙이라 할지라도 모든 사람에게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믿을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는 일이며, 그리고 가령 지금 몇 시입니까? 라는 질문을 받 ... 고, 오늘하기 위한 실험적인 가설(假說)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관념은 상황을 바꾸기 위한 도구로 취급되었다.이 밖에 제임스의 영향을 받고 자아와 사회와의 관련을 논하여 이론사회학(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