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漢字音을 빌어 표기하고, 맨 끝단은 중국어음(中國語音)에 대한 당시 국어음을 유사한 한자로 표기하고 있다. ... 子(郁李)-訓讀字 만으로 표기된 것: 精朽草/솝서근플(黃芩)-音假字 만으로 표기된 것: 道羅次/도랒(桔梗)-訓假字와 音假字가 混用된 것: 加火左只/더블자기이러한 표기법은 삼국시대 ... )들을 한자의 음(音)과 훈 (訓)을 빌어서 기록해 놓은 것으로서 우리 고대 국어사 연구에 더없는 귀중한 자료의 하 나이다.▶硏究의 必要性借字表記 鄕名의 완전한 解讀에는 무엇보다도 借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