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로 이루어진 기호학파(畿湖學派)와 대립, 동서 당쟁은 이 두 학파의 대립과도 관련되었으며 그의 학설은 임진왜란 후 일본에 소개되어 그곳 유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스스로 도산서원 ... )으로 밀려난 영남퇴계학파, 근기지방(近畿地方)에서 세력을 결집한 기호(畿湖) 퇴계학파로 나누어진다. 이현일(李玄逸)과 그 제자들을 중심으로 결집된 영남퇴계학파는 사단과 칠정, 인심 ... 의는 정파를 이루어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서인(西人)과 상호견제하면서 붕당정국(朋黨政局)을 이끌어 나갔으나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 이후 정계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영남(嶺南
하였다. 위로는 이이(李珥)와 김장생(金長生)의 학문을 이어받아 송시열(宋時烈)에게 전해주어 기호학파(畿湖學派)를 형성시켰으며 예학(禮學)을 체계화하였다. 고종 20년(1883 ... 長生) · 정엽(鄭葉8 등에 의해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루어 이황의 제자들인 영남학파와 조선시대 유학계의 쌍벽을 이루었다.그는 19세에 성혼(成渾)과 도의(道義)의 교분을 맺 ... )∼선잡의(奉先雜儀)》는 도학의 실천적 규범인 예서를 제시한 것으로 조선 후기 예학파의 선구가 되고 있다. 이이(李珥)는 그에 대하여 그가 을사사화에 곧은 말로 항거하여 절개를 지키
한 관심을 가졌던 학자들은 기호(畿湖)의 양반학자 또는 전라도 지역의 학자들로 모두가 재야(在野)학자였다.2) 이용후생학파 利用厚生學派조선후기의 실학자 중 상공업이나 기술도입론에 특히 ... 관심을 가졌던 학파. 조선후기에 들어와서 서울에 있어서는 정부의 금압(禁壓) 하에서도 일반 자유 상인과 도고상인(都賈商人)의 활동이 공인(貢人)의 대두와 더불어 점차 활발해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