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 통합검색(397)
  • 리포트(339)
  • 시험자료(29)
  • 논문(24)
  • 방송통신대(5)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훈몽자회』" 검색결과 381-397 / 397건

  • [국문과] 현행 국어 맞춤법의 원리와 원칙정리와 북한 표기법과의 차이점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2) 제 2장 자모남한에서는 훈몽자회에서의 명칭에 의거해서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과 같이 부르지만, 북한에서는 "ㅣ으"소리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0.22
  • [식품] 한국의전통 발효식품과 미생물과의 관계(장)
    뜻이 달라져서 말장(며주)이라 하고 《훈몽자회》(1625)에서는 ‘장’ 자체를 일반적으로 감장(甘醬), 간장[醬油]이라 하였고, 또 액즙 상태의 것만을 가리키기도 하였다.한국
    리포트 | 1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5.20
  • [화랑제도] 화랑제도
    은 화랑도의 유풍은 거의 사라지고 오로지 노래와 춤을 즐기는 화랑도의 가무조합적(歌舞組合的) 기능만이 남았다. 그리하여 화랑이라고 하면 〈대명률직해 大明律直解〉를 비롯해 〈훈몽자회 訓蒙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5.14
  • 훈민정음제자원리
    었다. 「훈몽자회」에 제시된 '諺文 字母 俗所謂反切二十七字'는 이 체계를 보여 주고 있다.한편 'ㅇ'은 15세기 중엽의 문헌들에서는 초성으로 자주 쓰였으나 그 예가 점차 줄어 16세기 초엽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5.10
  • [한국교육사] 한국교육사
    약화교육목적전인양성 (문자해독을 통해)교육과목훈몽자회, 천자문, 동몽선습, 사자소학.교육대상평민이상(농민만○)의 자녀. 어민× 상민× 수공업인×교육방법개별교수 : 능력별 속도 내용
    리포트 | 1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0.16
  • [생물] 나비에 대하여
    【 나 비 】(1) 나비의 유래"나비"라는 말은 처음 나불 나불 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함.1481년 두시언해에는 "나비" 또는 "나뵈"로 1527년 훈몽자회"에는 "나뵈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1.20
  • [남북] 남북 언어 차이점2
    이 66년 "규범집"이라고 할 수 있다. "규범집"은 87년에 개정되었지만 큰 변화는 없다.2. 맞춤법의 차이● 자모의 명칭과 순서남한에서는 훈몽자회에서의 명칭에 의거해서 "기역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0.10.15
  • 꼭두각시놀음
    을 갖게 되는 것이 바로 괴뢰며 인형이다. 바로 이 인형을 무대 위에 나오게 하여 움직이게 하면서 놀이하는 것이 인형극이다.최세진은 『훈몽자회』에서 인형극을 환술(幻術)이라는 말
    리포트 | 1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6.03
  • [명심보감] 조선시대 초학교재로서의『明心寶鑑』연구
    단권의 『유합』에는 1518자밖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서 李 基文(1993)은 『訓蒙字會硏究』에서 『유합』을 『천자문』, 『훈몽자회』와 비교하면 서, 초학 교재로 간주
    리포트 | 63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1.12.01
  • 북한말과 우리말의 차이
    1. 맞춤법의 차이1) 자모의 명칭과 순서남한에서는 훈몽자회에서의 명칭에 의거해서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과 같이 부르지만, 북한에서는 'ㅣ, 으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0.24
  • [국어서브노트] 국어서브노트
    다.(3) 훈몽자회(최세진)a) 성격 +- 아동들에게 기초적인 한자를 가르치기 위하여 편찬한 직자교본+- 그 체제는 범례 + 본문 의 순서로 엮어져 있다.b) 내용 +- 자모의 명명
    시험자료 | 8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03.09.21
  • 한국의 도자기
    는 자기도 있다사기: 우리나라의 경우 자기를 돌가루인 사토로 만들기 때문에 자기를 사기라고도 부른다.즉, 자기=사기'훈몽자회'에서는 자기를 우리말로 사기그릇이라고 함'오주연문장전산고
    리포트 | 1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6.09
  • 후세중세국어
    을 언해하였으나 최세진의 사성통해는 신숙주의 사성통고를 개찬한 것으로 한글에 의한 중국음 표기를 보여주는 점에서 중요 국어 단어도 460 남짓 실려 있다. 최세진이 편찬한 훈몽지회 ... 였다.둘째 표기법은 동음을 기초로 한 것이었다. 16세기의 모든 문헌의 한자음은 이표기법으로 되어 있는데 훈용자회는 이 표기법의 좋은 편람이라고 할 수 있다.제5절 음운훈민정음 체계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10.13
  • 한국의 전통 美 `부채'
    부채를 갖추고"라고 번역하였다. 또 박통사언해 에서도 `타선자'를 "부채질 하였노라" 고 번역하였다. 그리고 조선 중종때 최세진이 언해한 훈몽자회 와 한호의 천자문 에서도 `扇' 자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3.31
  • [언어] 남북한 맞춤법의 차이
    *남한 북한 맞춤법의 차이1. 자모의 명칭과 순서북한에서는 ≪ㅣ으≫소리를 이용해서 ≪기윽, 니은, 디으ㄷ, 리을, 미음, 비읍, 시읏≫처럼 규칙적으로 부르지만 남조선에서는 훈몽 ... 자회에서의 명칭에 의거한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이 사용된다. 또 ≪그, 느, 드, 르…≫처럼 부르는 방법은 남조선에 없다. 된소리는 ≪쌍≫을 앞에 붙여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0.04
  • 남북한의 언어차이
    되어 온 모양이다. 그 집대성이 66년 "규범집"이라고 할 수 있다. "규범집"은 87년에 개정되었지만 큰 변화는 없다.2. 맞춤법의 차이2.1 자모의 명칭과 순서남한에서는 훈몽자회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0.11.26
  • [국문학] 중세국어문법(박병채와 이숭녕 학설비교)
    :훈민정음언해 금삼:금강경삼가해두:두시언해 용비:용비어천가 원:원각경언해노걸:노걸대언해 월석:월인석보 육조:육조법보단경언해석보:석보상절 월인:월인천강지곡 훈자:훈몽자회2.규정1. ㄱ
    시험자료 | 1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3.05.19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