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30)
  • 리포트(281)
  • 시험자료(41)
  • 방송통신대(4)
  • 논문(3)
  • 서식(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너라불규칙용언" 검색결과 281-300 / 330건

  • [국어학] 품사분류
    -하다 /막다, 사다,차 다② 러 불규칙:이르다(至), 푸르다, 누르다, 노르다(黃)/치르다, 들르다③ 거라 불규칙:-가다 /사다, 차다, 타다, 울다④ 너라 불규칙:-오다 /웃 ... 형.(관형사형, 명사형)3) 활용의 불규칙1> 규칙 ; 모습이 바뀌지 않거나, 바뀌어도 일반적인 음운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모음 조화 : '-아/-어'의 교체㈁축약 : 보 + 아 ... 없이 탈락하며 '으'는 모음 과 만날 때 꼭 탈락한다.2>불규칙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 불규칙적인 것.㈀어간이 바뀌는 불규칙 /(규칙)① ㅅ 불규칙: 짓
    리포트 | 2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2.01
  • [언어학] 음운의법칙
    모음 조화가 적용되는 경우① 용언의 어간과 어미에서 : 어간의 끝 음절의 모음이 'ㅏ, ㅗ'이면 '-아' 계종의 어미가 선택되고 그 밖의 모음(ㅓ, ㅕ, ㅜ, ㅡ, ㅣ)이면 'ㅓ ... , , ?, ?, ?, ?, , ㅭ겹받침에서 뒤의 자음이 발음되는 것 → ?, , ?불규칙한 것 → 밟-, 넓-, 읽-받침대표음예ㄱ, ㄲ, ㅋㄱ벽[벽], 밖[박], 부엌[부억]ㄷ, ㅅ, ㅆ, ㅈ, ㅊ ... ], 앉[안]ㄹㄱ, ㄹㅂ첫째 자음이나 둘째 자음이 남음닭[닥], 읽고[일꼬], 넓다[널따], 넓죽하다[넙쭈카다]ㄹㅁ, ㄹㅍ둘째 자음이 남음앎[암], ?자음동화(1) 자음 동화의 뜻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12.05
  • [국어교육] 음운의변동
    , ㄷ, ㄹ, ㅁ, ㅂ, ㅇ’의 7개의 자음만이 변별되는 음운현상으로 받침규칙이라고도 한다.음절말에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등의 장애음은 불파음화에 의하여‘ㅂ, ㅍ, ㅃ ... 다]→[가법따]2) 겹자음의발음① 겹자음은 'ㄳ, ㄵ, ㄻ, ㄿ, ㄽ, ㄾ, ㅄ, ㄺ, ㄼ, ㄶ, ㅀ‘의 11가지.② 불규칙적 겹자음은 'ㄺ, ㄼ, ㄶ, ㅀ’의 4가지.ex) ┌읽 ... 고→[일꼬] ┌ 넓다→[널따]└읽지→[익찌] └밟다→밥따]③ 앞소리가 나는 겹자음은 'ㄳ', 'ㄵ', 'ㄽ, ㄾ', 'ㅄ'의 5가지.?????ex) 몫→[목], 앉고→[안꼬], 값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4.10.18
  • [선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 분포에 따른 분류 중 넓은 분포 부분(중세국어의 선어말 어미 포함)
    는 어미의 불규칙활용으로 다루어지는데, 어미 불규칙활용에는 이 외에도 ‘거라, 너라’가 있다. ‘여’를 형태론적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은 공시적 설명으로는 더 이상 설명이 불가능함을 뜻 ... -가 존귀한 인물이 주어의 위치에 나타났을때 이에 호응하여 그 용언의 어간에 -시-가 나타난다고 봄그러나 -시-가 나타나는 경우를 면밀히 살펴보면 -시-가 정확하게 문장의 주어 ... 신다”, “비가 오신다” 같은 예의 불가해성도 해결된다고 할 수 있다.** 중세국어의 선어말 어미 -시-존경법의 지표는 ‘-시-’이고 이는 중세국어나 현대국어를 막론하고 변함이 없다. 존경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11.09
  • [인문어학]국어 조어법 (파생법, 합성법, 한자어 조어법)
    성용사 형성법은 ‘분명(分明), 총명(聰明)’과 같은 한자어에서 많이 발견된다. ‘슬기롭다’의 ‘-롭-’은 명사뿐만 아니라 관형사 어근에도 붙고(새롭다), 불규칙적인 어근 아래 ... 뿐만 아니라 형용사와 의태어 및 불규칙적 어근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3)(나)③의 예들은 모두 의태어에 ‘-하다’가 붙음으로써 형용사가 된 것이다. 의성?의태어에 ‘-거리-’가 붙 ... , 날래, 끝내, 하나씩(2)a 의 보기들은 용언 곧 주로 동사가 명사로 파생된 것이다. 이 접미파생어는 비교적 생산성이 높다. (2)b 에서는 동사 형성의 예인데 의성어나 의태어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6.25
  • [국문학]현행 맞춤법의 원리 (표음주의와 표의주의)
    해서는 여러 형태를 기억해야 하는 부담이 따라 읽기에 불편하다. 그래서 ‘듣어→들어, 잇으니→이으니’와 같은 불규칙 용언의 어형 변화 불규칙형(不規則形)이나 ‘묻엄→무덤, 깜아귀 ... )를 너 무 무리하게 적용하지 않겠다는 뜻이다.예외) ‘소리나는 대로’의 예외: ‘ㅅ'표기- ‘첫, 사뭇, 예, 덧저고리, 빗나가다’ 등, 한자음 표 기-계(桂),혜(惠) 등‘어법 ... 다. 가령, ‘없-’처럼 어형 변화가 규칙적(規則的)인 것은 굴절변화가 ‘업-, 엄-, 없-’(업다, 엄니, 업서)의 여러 이형태를 가질지라도 그 형태음소론적 변화가 규칙적이므로 기본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9.14
  • [국어문법론] 문법론 기말고사
    '로 바뀐다.⇒가+아라>가거라, 자+아라>자거라, 자라+아라>자라거라,★규칙 용언 : 타다, 사다 등▶/너라/ 불규칙: 명령형 어미 '-아라/ -어라'가 '-너라'로 바뀐다.⇒오 ... 었다. 약함. 보조동사이므로)◆형용사그러한('그렇게 생긴'의 의미이니 평가적이라고 할 수 있음. 그러나 지시형용사이므로 가리키는 의미는 형식적임)5. 불규칙 용언규칙 용언과 대비 ... 하여 예를 보이고 설명하시오.규칙 활용 : 활용할 때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변하지 않거나, 모습의 변화가 국어의 보편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되는 경우를 말한다.불규칙 활용
    시험자료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2.06.28 | 수정일 2015.06.10
  • 중세국어 助詞의 形態와 用法
    로 모습을 드러낸 것으로 1550년 경 인선왕후 어필(두드러기가 불의예 도다 오르니)을 들기도 한다.? 이들 외에도 특이한 주격조사의 형태가 나타난다. 그 형태와 특징, 용례는 다음 ... 은 ‘ㄹ’만이 표기되지만 ‘?/을’이 결합되면서 약모음 ‘?/으’가 강모음을 만나서 탈락한 것이다. 이것은 중세어와 현대어에 널리 통용되는 규칙이다.⑤ 부사격 조사? 처소 부사격 조사 ... ?로으로자격으로나그내로 밥 머구믄함께와/와로/과사?과 다?, 문자와로 서르비교오곤/두고녀산이 여기도곤널라와 시름한자식에게 지나고즘승에 갓가오릴고성이 동부?시니어마님 ?티이라와/라와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2.18 | 수정일 2018.02.01
  • [국어문법]음운론 총정리 서브노트
    로는이→새, 너+의→네, 보+이다→뵈다, 보이어→보여, 오+아서→와서(2) 탈락(脫落) : 형태소 결합과정에서 어떤 음운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예로는 'ㅅ'불규칙 ... 어미 '-어/-아' 앞에서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해 어간의 일부인 '으'소리를 떨어뜨림2) 'ㄹ'탈락 : 'ㄹ'받침을 가진 말이 불규칙 용언이 되려면, '느'와 '-ㄴ, -ㄹ, -ㅂ ... , 'ㅎ'불규칙 등에서 나타나는 음운의 변동이 대표적이며 이 밖에도 '으'와 'ㄹ'의 탈락 등을 들 수 있다1) '으'탈락 : '으'를 가진 어간 '쓰, 뜨, 따르'가 모음으로 된
    리포트 | 3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12.28
  • [국어 문법] 제7차 교육과정에 맞춘 문법 정리
    고기 , 추상적인 것⇒추상화 : 진실, 허위 등의 개념어)ⅵ 창조성 : 유한의 매체를 무한히 사용 (개방적 체계, 이산조합 체계)② 체계 / 구조ⅰ 체계 : 언어는 일정한 규칙 ... 모음과 자음의 유형을 구분하는 자음체계에 의한 교수/학습ⅲ 사잇소리현상(불규칙적,수의적 , 앞 음절을 빨리 끝닫고, 뒤 음절의 첫 소리를 된소리로 발음)㉠ 합성어에서 - 울림소리 ... 과 인용조사의 기능 (어말어미 -다, -라 뒤)(술 닉닷 말 어제 듣고, 乃至랏 말도)ⅴ 사잇소리 현상의 논의점㉠ 음운론적인 조건 때문에 개입되는 현상은 아니다. (군불, 산불[산
    리포트 | 1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3.06.09
  • [국어문법]형태론 총정리 서브노트
    의 타나는 형태 변동이 불규칙 활용인지 아닌지 각 항목별로 구체적인 증거를 들어 설명하고, 불규칙 활용에 대해 정의 하시오. 그리고 이 정의를 적용하여 (5)의 예를 설명하시오 ... 다?비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에서 벗어난 합성어(용언의 어근 + 명사) 예) 묵밭(묵은 밭), 늦더위(늦은 더위), 부슬비, 날뛰다, 굳세다※참고 - 우리말 ... 하여 보고 각각 보조사의 의미 차이를 모둠별로 설명하여 보자.- 브루투스 너마저!☞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냄, 하나 남은 마지막임을 뜻한다.- 브루투스 너
    리포트 | 4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12.28
  • 형태소와 단어와의 관계
    규칙적인 교체이다. 용언불규칙 활용은 대부분이 불규칙 교체의 예가 된다.┌ 필연성 ┌ 자동적 교체│ └ 비자동적 교체교 체 ┝ 음운/형태 ┌ 음운적으로 조건된 것(음운론 ... 을 수 없다. 이 교체의 조건은 음운이 아니라 ‘오-’(來)라는 형태 자체가 교체의 조건이 되는 것으로 형태적으로 조건된 교체에 속한다.이외에도 교체를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 로 나누기도 하는데 동일한 조건에서 늘 같은 방식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을 규칙적 교체라고 하며, 그렇지 않은 것을 불규칙 교체라 한다. 자동적 교체는 필연적으로 교체되는 것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1.08
  • [국어학] 국어의 음운 규칙
    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어미의 변격에 해당하는 어휘로서 '~거라'와'~너라'를 선택하는 용언은 순전히 형태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음운론적 논의의 여지가 없으므로 제외된다.어간 ... 다.'ㄹ' 및 'ㅡ' 탈락 규칙용언의 활용에 나타나는 이러한 변이 현상은 예외가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형태 정보로서 어간이라는 어휘적 정보와 형태소 경계 표시라는 어휘 구조 정보가 필요 ... 여 무리하게 음운론적 동기의 규칙을 설정하려고 하는 것은 자칫 언어 직관을 도외시한 잘못된 귀결에 이를 위험이 있다. 형태 음운 규칙에 의존하게 될 이들 용언의 변이는 다음과 같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0.30
  • [문법] 7차문법교과서요약&국어문법론강의(이익섭)와 비교
    .시 끝소리 규칙국어에서 음절의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은‘ㄱ,ㄴ,ㄷ,ㄹ,ㅁ,ㅂ,ㅇ’일곱 개뿐이다. 따라서 이 일곱소리 이외의 자음이 오면 이 중 하나로 바꾸어 발음한다. 이러한 음운 ... 의 교체 현상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고 한다. 가령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낟, 낫, 낮, 낯, 낱’과 같은 단어들을 읽어보라고 하면 다 똑같이 [낟]이라고 발음한다. 그러나 모음 ... 끼리, 음성제목이 무엇이더라.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미는 성상관형사세 사람이 연필 다섯 자루를― 수량이나 순서라는 수 개념을 나타내는 수관형사용언이나 문장을 수식하는 것을 본래의 기능
    리포트 | 4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3.11.20
  • [중세국어] 석보상절 해제
    ⇒ 초성의 'ㄹ'이 종성의 'ㄹ'로 바뀌는 현상(설측음화는 '링/르' 불규칙 용언에 보조적 연결어미(아/어)가 붙을 때 나타남)듣짜·힝:사링·밑業·업障·쟝·이·스러·디·여(평성 ... , ㄹ'일 때 각각 실현되는 것이다.'싶, 짜, 힝'은 위의 형태가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어미 앞에서 'ㅂ'불규칙활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싶-'이 모음어미나 매개모음 ... /z/ 또는 /s/소멸시기 : 임진왜란 이후(16세기 말엽)변천과정 : ㅅ>ㅿ> (표준어에서) ㅅ>ㅿ>ㅅ (방언에서)① 명사 예) 밑힝>밑잎>밑음>마음② 'ㅅ'불규칙 용언 예) 낫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2.01
  • [음운론] 음운변동규칙 총론
    다펴어펴펴었다폈다다만, 'ㅅ'불규칙 용언의 어간에서 'ㅅ'이 줄어진 경우에는 '아/어'가 줄어지지 않는 게 원칙이다.(낫다) 나아, 나아서, 나아도, 나아야, 나았다(젓다) 저어 ... 이 어두에 올 경우에는 'ㄴ' 음을 발음하지 않는 관습이 생김으로써 이것이 굳어져 음운규칙이 된 것이다.@한글 맞춤법 제 10항 -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 (홀소리 어울림) : 양성 모음 'ㅏ, ㅗ'는 양성모음끼리, 그 밖의 음성 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을 모음 조화라 한다. 모음 조화는 용언의 활용과 의성어와 의태어 내부
    리포트 | 2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3.06.17
  • [국어 조사]국어학 조사
    다.(예) - 나는 왕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니까 어디든 마음대로 갈 수가 있다.- 나는 왕이므로 아무데도 갈 수가 없습니다.위의 예처럼 서술격 조사 이다 는 용언과 마 ... -할 일도 없는데 영화구경이나 가자.이라도, 라도불택-어려운 때일수록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한다.이든지, 든지선택-그는 두부든지 생선이든지 다 잘 먹는다.아나마, 나마불만-고물 자가 ...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2. 문장상의 조사의 특징탈락은 조사가 선택적으로 탈락하여 쓰이는 경우이다.(1) 너는 내일 뭘 할래 ? → 너 내일 뭘 할래?(2) 나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4.07.21
  • [방언학] 경남 방언 부사 연구
    -기 가 된 것이다.1 용언에서 파생ㄱ 형용사에서어간 + 이, 히 : 가마이, 간지렁이, 겐강시리, 꼭닥시리, 그래, 기여이, 나그재기, 나라이, 낸 내끼, 말키, 너푸시, 넘사시리, 단디 ... 를 세워 규칙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려워 그 성과가 적다. 그래서 지금의 연구 성과들은 어휘 수집 정도이고, 어형에 대한 분석, 기능 등의 연구가 거의 되어 있지 않다.이번 발표는 경남 ... )꾸무적꾸무적그단새(그단에,그새)그래(글키)기여이거중(기중)나그재기나라이난주게내거리내나내끼내끼내두(도)록낸내끼(난내끼)너까아너푸시(너부시)넘사시리넙푼다담시리다부다북다북단디이단방에(담
    리포트 | 15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04.07.10 | 수정일 2018.06.08
  • [국어 문법] 현대 국어 대우법 연구
    으로 보인다. 따라서 객체 존대 역시 문법적 규칙 뿐 아니라 화용론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①청자와의 관련성16) 철수야, 너 그것 할아버지께 갖다 드렸니?17 ... 와 같-'의 호응을 기대할 수 없다.8) a. 형님한테 쥐가 잡히셨다.b. 형님이 쥐를 잡으셨다.a에서 내면 주어가 '형님'이지만, '형님'에 대한 존대 표현은 불가능하다.그러나 '시 ... '의 용법에서 주어가 존대 인물일 때 꼭 용언에 '시'가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주체가 화자보다 낮을 때도 쓰이거나 주체가 화자보다 존위자일 때에도 '시'가 삽입
    리포트 | 1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26
  • 형태소
    두 형태가 의미는 같고 음운현상이 상이한 경우 형태론적 조건에 의한 상보적 분포 를 이룰 때예) 이리 오너라/-너라/는 /-어라/, /-아라/와 동일한 의미/-너라/는 동사어간 ... +- 접두사 : 올벼, 짓밟다| 접미사 : 돼지들, 먹이+- 접요사 : 국어에 없음*파생접사의 기능어기의 실질적 의미 분화어기와의 배합 불규칙분포상의 제약 극심품사의 전성 가능어기 ... }*굴절접사의 기능명사나 대명사의 격변화와 같은 체언의 곡용을 나타냄용언어기의 문법적 기능 분화용언 어기와의 배합 규칙적분포가 광범위, 즉 어간의 대치 자유용언어기의 문법범주, 즉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5.29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