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 통합검색(5,314)
  • 리포트(4,344)
  • 자기소개서(808)
  • 방송통신대(99)
  • 시험자료(44)
  • 논문(7)
  • 기업보고서(6)
  • 이력서(2)
  • ppt테마(2)
  • 서식(1)
  • 노하우(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현대자동차 부품구" 검색결과 2,701-2,720 / 5,314건

  • 현대자동차 쏘나타의 장수제품 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전략
    에 기업은 장수 제품으로 인해 기업의 효율성은 증가한다.장수 제품의 개념,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의 소나타가 많은 매출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와 자동차 산업에 장수제품 ... 하였다. EF 쏘나타는 현대 자동차 자체에서 개발한 V6 현대 델타엔진이 탑재 된 최초의 자동차이다.2001년에는 EF쏘나타 후속차종 뉴EF쏘나타를 시판 하였고 인도, 중국 공장 ... 한 이유로 품질경영 성과로 인한 제값받기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YF쏘나타를 보면 F24 GDi' 출시를 계기로 현대자동차는 품질에 대한 자부심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같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04.08
  • 자동차산업 분석 및 전망
    자동차메이커로 키우겠다는 신념의 매개체이기도 했다. 특히 현대자동차는 중국 승용차시장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아반떼XD 및 중형차시장의 절대강자인 쏘나타 판매를 통한 현대차 ... 들의 요구에 적극 부은하기 위해 중고급 승용차인 「NF 쏘나타」를 출시하였으며, 이로써 현대자동차는 「EF 쏘나타」,「아반떼 XD」,「투싼」과 함께 중고급 모델을 추가하여 모델 다양 ... 를, 르노가 닛산과 삼성차, 그리고 98년 현대차가 기아차를 인수한 것이 좋은 예이다.이러한 기업의 행동 결과 대중 브랜드들 사이의 M&A는 성공적이었던 데 반해, 프리미엄 브랜드
    리포트 | 2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10.08
  • SK가스 기업보고서
    SK가스 기업보고서이름 :Ⅰ. 회사 개요1. 회사 요약SK가스는 LPG수입산업의 합리화를 위해 1985년 12월 20일에 설립되었고 본사는 서울시 중구 을지로에 있다. 회사사업을 위해 근거가 되는 법률로는 액화석유가스의 완전관리 및 사업법과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석유 및 석유대체 연료 사업법 등이 있다.1997년 8월에 주식을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회사로서, 액화석유가스 (LPG)의 수입, 저장, 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LPG트레이딩 역량을 축적 해 나간 결과 수출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7%를 차지하는 등 글로벌 LPG트레이딩 으로도 사업영역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LPG를 원료로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PDH(Propane Dehydrogenation) 사업에 진출하여, 석유화학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성장성 확보는 물론 LPG 사업과의 시너지창출을 통한 기존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최근 신규사업으로는 PDH란 프로판(LPG)을 원료로 하여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프로필렌은 자동부품, 수지, 전자 제품류, 섬유 등의 기초 원료로 최근 관련산업의 성장 으로 인해 지속적 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울산지역에 27만톤 규모의 LPG 저장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약 3만평 규모의 사업부지와 부두 등 주요 인프라를 그룹 관계사와 공유 할 수 있어 투자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Shale gas로 인한 국제 LPG가격의 안정화가 실현 되면 프로판을 주 원료로 하는 PDH 공정의 경쟁력이 한 단계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 60만톤 규모의 PDH 공장은 2013년 설계, 2014년 착공을 거쳐 2016년에 완공될 예정이다.2. 사업 현황LPG (Liqui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는 프로판 (Propane)과 부탄 (Butane)으로나누어지며, 편리성과 청정성 그리고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에너지이다.LPG는 정유공장에서 원유를 정제할 때와 석유화학공장에서 부산물로 일스(주)와 E1(주), 양사가 수입하고 있다. 신규업체가 진출하기 위해서는 사업초기에 견고 한 지층구조를 가진 지하암반내에 대용량의 저장시설(Cavern) 또는 대용량의 지상저장시설 을 건설하는 등 초기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진입장벽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LPG는 국내 총1차 에너지 수요의 약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3년 3분기말 기준 용도별 수요는 수송용(48.9%), 석유화학용(23.2%), 가정상업용(17.3%), 산업용(8.7%), 열조/도시가스용(1.9%)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다.LPG는 서민 대중연료이므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도입 초기부터 2000년까지 전기, 수도,가스사업에 적용되는 공공요금 관리방식에 의해 정부 최고판매가격 고시제도로 관리 되었다.(석유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23조) 그러나, 2001년부터는 상기 고시제도가 폐지됨에따라 국제가격의 변동요인이 탄력적으로 국내판매가격에 반영되는 가격자유화가 시행되었다. 동 제도하에서는 기존의 정부 고시가제도에서와 달리 LPG도입비 상승/하락 요인을 탄력 적으로 판매가에 반영할 수 있다.LPG는 일반유류와 비슷한 계절적인 수요편차가 있어, 통상적으로 난방용 수요가 많은 동절기의 소비량이 하절기보다 늘어나는 수요패턴을 가지고 있으나, 자동차용 수요와 석유화학용 수요 증가로 동하절기 수요격차가 많이 줄었다.수도권과 중남부권의 대부분의 도시가스사는 LNG를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지역의 도시가 스 사에서 LPG를 도시가스로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나 장기적으로 LNG로 전환할 계획이다.SK가스의 경우 도시가스용 LPG 공급은 종료되었으나, LNG열량조절용 수요의 개발로 향후 지속적인 LPG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3년 3분기 누적 국내 LPG 수요는 전년동기 대비 -4.7%(300천톤) 감소하여, 지난 '13년 1분기 -15.7%(363천톤) 및 2분기 -9.4% (393천톤 )에 이어 수요감소 추세는 완화되고 있다.열량범위제의 시행으로 인한 열조/도시가스용 수요가 전년대비 -79.2%(14천톤) 증가하였다.'13년 3분기만 살펴보면 가정상업용 수요는 -9.4%(28천톤), 수송용은 -3.7%(40천톤), 산업용 -1.4%(2천톤), 열조/도시가스용 -74.6%(-58천톤) 감소한 반면 석유화학용은 +16.8%(81천 톤) 증가하여, 3분기 총수요는 -2.2%(47천톤)을 나타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Ⅱ. 사업 내용SK가스는 LPG수입산업의 합리화를 위해 1985년 설립된 LPG수입, 저장, 판매회사로 대부분의 LPG를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등 중동지역으로부터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수입 및 SPOT거래처로부터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업체, 산업체, LPG충전소등에 공급하고 있다. 1988년부터 울산에 270,000톤 규모의 LPG저장기지를 보유하고 전국에 걸쳐 LPG를 공급해왔으며, 1999년 7월에는 경기도 평택에 136,000톤 규모의 프로판가스 저장시설과 40,000톤 규모의 부탄가스 저장시설을 완공하여 LPG최대 수요처인 경인지역 으로의 원활한 LPG공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2007년 6월에 평택기지 부탄저장탱크를 증설 하여 저장용량을 2만톤 증가시켰다.국내매출은 일반용(가정상업용,운수용,산업용 등)과 석유화학용(석유화학업체의 원료용)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2013년도 3분기 일반용 매출은 18,969억원, 석유화학용 매출은5,642억원이다.다음은 LPG성장의 주축이 되고 있는 자동차용 LPG공급과 LPG해외수출, 석유화학용 LPG공 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자동차용 LPG수요개발은 Autogas란 차량연료로 사용되는 LPG를 가리키는 것으로, 대도시 환경오염문제 해결에 적합한 연료이다. 정부에서는 1972년 택시에 Autogas사용을 허가한 이래 장애인 승용차, 관공서 차량, 승합차, 화물차로 사용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청정성, 경제 성, 안전성 및 공급안정성이 입증됨에 따라 국내 저공해자동차 연료로써 보급확대 정책을 시행중이다.한편, 기존 휘발유차량의 LPG 연료전환에 따른 세수감소 등의 사감안한 LPG가격이 휘발유와 경유 대비 저렴해지게 되어 신규 Autogas 수요 창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한편, SK가스는 친환경적이며 뛰어난 성능을 갖춘 차세대 LPG 자동차의 보급을위해 기술 개발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저공해 LPG 차량에 대한 정부지원책 확보를 위한 정책개발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LPG업계가 집중화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주)E1과 공동으로 환경부가 인가한 사단법인 대한 LPG산업환경협회(현 사단인 대한LPG협회)를 2003년 9월에 설립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Autogas 경쟁력 확보 에 주력함으로써 꾸준한 수요증가를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도 기술개발 및 정책개발을 효과 적으로 수행하여 지속적인 Autogas 수요 창출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다.다음으로 LPG 차량의 배기가스 및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의 경우 오늘날 대기환경 악화의 주요인으로 자동차가 지목되는 이유는 환경 오염물질의 84%가 자동차 배기가스 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연결기업은 정부와 긴밀한 협의하에 자동차회사, 부품회사, 그리고 자동차 관련 연구기관 및 대학 등이 합동으로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LPG 차량의 성능을 개선하고 배기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현재 한국은 LPG 차량 세계 1위 국가로서 양적 팽창에 걸맞게 LPG 차량의 질적수준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SK가스 국내 LPG 자동차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 형 LPG 자동차의 출력 및 연비를 대폭 개선하고 배기가스를 획기적으로 저감할수 있는 LPLi (Liquid Phase LPG Injection - 전자제어식 액상 LPG 분사방식) 차량의 조기개발 및 보급을 위하여 자동차사, 부품사 및 관련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2001년 8월부터 환경부의 지원을 받는 국책과제로 LPLi자동차 기반기술 연구 과제를 진행 하였으며 2003년 5월 성공적으로 연구개발을 완료 하였다. Li)시스템의 기반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이러한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초저공해 LPG차량의 실질적인 상용화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2004년 12월부터 환경부 Eco-STAR Project, 현대자동차 "(S)ULEV수준 LPLi승용/승합제작차 개발"실용화 과제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GM대우와는 "(S)ULEV수준기체분사LPG 승용차 개발" 과제에 공동으로 참여하였고, 2009년 6월1일부터 2011년 5월31일까지 환경부 Eco-STAR Project인 SULEV 만족 LPG 자동차 핵심부품기술 개발에도참여하였다.2006년 4월경부터 시판중인 현대 LPLi엔진을 탑재한 기아 뉴카렌스LPG차량은 이러한 일련의 연구개발 노력의 중간성과물로써 기존의 카렌스Ⅱ 믹서차량에 비해 연비성능(8.1㎞/ℓ)은약15.5%, 출력성능(136마력)은 약 10.6% 향상되었을뿐 만 아니라 겨울철 냉시동성 문제도완전히 해소되었다.SK가스의 선진형 LPG자동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투자는 LPG차량의 친환경성(저공해성) 향상뿐만 아니라 LPG차량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존 LPG믹서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 해소 및 부정적 이미지를 쇄신하게 되어 향후 지속적인 LPG차량의 확대보급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또한 운행차량의 배출가스 저감을 목적으로 2000년 계명대가 실시한 저공해 LPG 청소차 개조연구를 바탕으로 2001년 대구시 청소차 100여대를 개조하여 운행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서울시를 비롯한 관심있는 지자체에 적극적으로 홍보 활동을 벌였으며, 그 결과 2003년 하반기에 서울시가 경유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저감을 통해 시대기환경 을 개선할 목적으로 관내에서 운행중인 경유청소차 및 마을버스 130대를 LPG연료 차량으로 개조하여 운행하였다. 또한, 2004년에는 환경부 및 서울시 등 수도권 지자체에서 운행중인관용 경유차량 1,233대를 저공해 LPG차량으로 개조하였고, 2005년에는 수도권지역의 민간경유차량 6,557대를, 2006년에는 2다.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1.17
  •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과정 및 발전방안
    하였다. 그 결과 1976년 현대자동차는 최초의 고유모델 ‘포니’를 출시하고 연산 5만대의 종합자동차 공장을 완성하여 처음으로 일관 생산 공장을 구축하였다. 1976~86년은 자립 ... 었다. 외국모델의 단순조립으로는 기술자립이 불가능하고, 대량생산 및 수출산업화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현대자동차는 자본금의 24배에 달하는 개발비용이 소요되는 고유모델 개발에 착수 ... 있다.3) 부품업체의 경쟁력 향상정부의 지속적인 부품산업육성정책에 힘입어 국내 자동부품산업의 기술 및 품질 수준이 크게 향상되어 완성차 경쟁력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 낮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01.12
  • 태성 금속의 중국진출 실패사례
    은 대우에 납품내부 환경 분석 :경쟁사 분석 :현대 모비스 생산제품 섀시 모듈, 프론트엔드 모듈, 운전석 모듈, 램프, 브레이크 등 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의 자기업으로 현대자동차의 중국 ... 수준이 따라가지 못했음외부 환경 분석 : 중국 자동부품 산업태성 금속 생산제품 :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섀시모듈(Chassis Module), 특징 : 자동차 개발 초기 단계 ... 진출 분석 :진출 방법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Aliminum diecasting)이라는 자동부품 공장을 중국에 설립하려고 했음 중국 내에 현지인과 합작하여 공장설립을 결정
    리포트 | 3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07.21
  • 세계로 뛰어드는 현대자동차
    경영조직론세계로 뛰어드는현대 자동차- 조직구조 변화 및 세계진출 전략과 성과목차 TOC \o "1-3" \h \z \u Hyperlink \l "_Toc263082336" 1.서론 PAGEREF _Toc263082336 \h 3 Hyperlink \l "_Toc263082337" 1.1.기업선정 이유와 분석방향 제시 PAGEREF _Toc263082337 \h 3 Hyperlink \l "_Toc263082338" 1.2.현대자동차 기업소개3 Hyperlink \l "_Toc263082339" 2.본론 PAGEREF _Toc263082339 \h 5 Hyperlink \l "_Toc263082340" 2.1.국내•외 자동차시장의 현황 PAGEREF _Toc263082340 \h 5 Hyperlink \l "_Toc263082341" 2.2.현대 자동차의 해외시장 진출 계기7 Hyperlink \l "_Toc263082342" 2.3.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진출 과정 (2000년 이후)9 Hyperlink \l "_Toc263082343" 2.4.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전략13 Hyperlink \l "_Toc263082344" 2.5.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성과17 Hyperlink \l "_Toc263082345" 3.결론19 Hyperlink \l "_Toc263082346" 4.참고문헌 PAGEREF _Toc263082346 \h 20서론기업선정 이유와 분석방향 제시우리나라는 전쟁 이후부터 근 60년간 전 세계에서 전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엄청난 압축 성장을 이루었다. 이렇게 압축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원동력을 살펴 보자면, 정부에서 든든한 지원을 받은 대기업 중심의 발전전략이 주요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대기업들의 정부에서 제공하는 각 종 특혜를 누리면서 한국 경제의 주축으로 빠른 성장을 거듭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급속한 성장을 이루던 한국 경제에 제동이 걸린 사건이 있었다. 바로 IMF금융위기였다. IMF금융위기로 인해서 정부에 특혜를 누리며 부문별 하적자를 기록했다. 포드 사 또한 SUV와 픽업트럭의 생산과 판매에 치중했었는데 GM과 경쟁하듯이 경쟁업체의 브랜드를 인수해 확대하는데 비용만 초래하고 판매 증대에 실패 하였고, 소형차를 비롯한 승용차 개발을 소홀히 함으로 판매가 급감해 미국시장 점유율이 16.8%로 하락하였다.포드의 부실 원인은 자동차제조보다는 금융이나 A/S, 차량 렌트사업 등에 경영역량은 집중한 데서도 찾을 수 있다. 그 결과 포드는 비용 품질, 납기와 유연성 등 자동차 사업에서의 기본역량이 저하되고 빈번한 구조조정 계획의 발표로 냉소적인 기업문화가 조성되면서 추락하고 있다.크라이슬러 또한 대규모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수요감소 폭이 가장 큰 대형 픽업과 SUV를 주력으로 하고 있어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에 GM과 크라이슬러는 강력한 구조조정을 전제로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 지원을 받는 수모를 경험했고, 이후 상황이 악화되면서 각각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구미 자동차산업의 쇠퇴와 동북아 자동차산업의 부상자동차의 발명과 수요를 주도해 온 미국과 유럽자동차 산업의 위상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는 반면 일본과 한국 자동차산업의 양적-질적 성장은 계속되어왔다. 미국의 빅3는 북미시장에서 판매가 부진해서 생산능력을 대폭 축소하고 있고, 서유럽의 자동차업체들은 근로시간의 단축과 생산성 저하로 비용이 급증하여 동구와 중국 등 신흥개도국에 대한 직접투자를 확대하고 있다.한편 세계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일본과 한국의 완성차업체들은 해외 완성차 조립공장과 엔진 등 주요 부품의 생산공장 건설을 확대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현대자동차의 터키 및 인도에 현지공장을 설립하면서 글로벌 생선거점 확보전략은 2000년대에도 중국, ,미국, 유럽 등지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일본업체들은 선진국시장뿐 아니라 우리 완성차업체들이 선점하였던 신흥 개도국 시장에 대한 진출을 강화하고 있어 한일 자동차업체간 세계시장에서 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이러한 세계자동차 시장의 전체적0년 9월에 현대자동차는 중국 베이징에서 소형승용차 합자회사의 지분 20%를 추가적으로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총 50%의 지분으로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문희수, 2000; 한국경제신문, 2000.09.06) 이 현지공장에서는 프라이드와 중국독자모델인 1천cc급 소복성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현대자동차는 기업의 해외시장 계획의 일환으로 2010년 중국시장을 전략적 생산기지로 활용할 계획을 모색하였다.2003년에는 총 3000만 달러를 투자해 컨셉트카 및 양산차 개발등을 담당할 미국 디자인센터를 준공하였다. 이 디자인센터에는 미국 현지인을 포함한 총 100여명의 자동차 디자이너와 엔지니어, 자동차 모델 제작자들이 근무하게 되었는데, 이 센터는 2005년 가동된 앨라배마 공장과 주행시험장 등과 함께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출에 기반이 되었다.같은 해 9월에는 유럽 기술연구소를 준공하여 현지화 역량 강화를 통한 해외 현지경영에 나섰다. 이 ‘유럽 R&D 센터’ 의 개관은 유럽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연구개발 거점의 의미를 가지고 준공되었는데 이로써 국내 연구거점인 남양종합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미국 기술연구소, 일본 기술연구소와의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완성되었다. 각각의 연구소는 시장특성에 맞는 현지화 모델 개발에 주력하였고 이는 고객만족과 품질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되었다.2004년 현대자동차는 모스크바 모터쇼 전시와 함께 러시아 시장 공략에 나섰다. 당시 현대자동차는 같은 해 5월 3천596대, 6월 4천736대, 7월 5천10대의 월간 판매 기록으로 그 동안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던 도요타를 추월, 러시아 현지 수입차 시장에서 1위 자리를 굳혀나가고 있었다(한기천, 2004; 연합뉴스, 2004.08.26) 현대자동차가 러시아시장을 공략한 것은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동유럽 지역의 체계적 공략을 위한 것이었다. 현대자동차는 러시아와 유럽시장을 목표로 투싼 등의 SUV모델을 중점적으로 현지 공략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2005년 5월에는 총, 미국 현지 생산 제품의 개발 과정에서 도요타와 혼다의 경쟁 차종을 능가하기 위해 제품의 성능 개선과 함께 차량 크기와 고급스러운 실내인테리어 개선으로 보다 더 적극적으로 미국 고객 니즈를 반영함으로써 상품의 미국 시장 적응력을 제고하였다.인도시장 진출에서 알 수 있는 점 또한 시장 현지화 전략을 띤 제품 차별화를 들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97년 9000억 원을 투입, 엔진, 트랜스미션 등 연산 12만대 규모의 생산시설과 2.8㎞의 주행시험장 등 연구시설을 갖춘 자족형 종합자동차공장을 건설했다. 현대자동차는 인도에서 98년10월부터 ‘상트로’를 판매하기 시작하여, 2년 만에 12개 경쟁업체를 제치고 인도 내 2위 업체로 급부상하는 신화를 만들었다. 그 신화의 중요 요인에는 현지 소비자들의 기호를 고려한 디자인과 고온 다습한 인도기후에 맞게 에어컨 기능을 강화하고 전기배선의 내수성을 보완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큰 성과 이후, 2003년 9월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 뉴상트로를 선보였다. 뉴상트로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입실론(Epsilon) 엔진을 탑재했으며 더욱 넓어진 실내공간과 유럽스타일의 디자인, 안전성, 편의성 등으로 출시 전부터 인도 현지언론의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표2] 현대 상트로와 마루티 젠의 기술특성 비교현대 상트로마루티 젠-최신 기술(MPFI엔진)-최신 유행 스타일링(Tail Boy)-강력한 에어컨 성능-비교적 강력한 가속 성능-낡은 기술(Carburator엔진)-구형 스타일링(Conventional)-뒷좌석 공간이 넉넉치 못함-비교적 낮은 마력(출처: naver 블로그- 현대차, 2010, 상트로와 마루티 젠의 기술특성 비교, HMI)조직/관리 경쟁력 제고A. 조직/관리 제고생산과정에서 양국간 문화 차이로 어려움을 겪었던 인도시장의 조직경영 전략을 살펴보면, 허약한 사람, 경제사정이 어려운 사람, 채식 위주의 식습관으로 체력이 약한 사람이 다수를 차지해 자연히 결근율이 높았고, 시한준수의식도 결여돼 있었다. 또한 카스트제도 영향으로 형 해외 직접 투자 실시현대자동차의 미국 현지 생산 준비과정에서 생산 기술을 중심으로 현대자동차 고유의 전략이 관찰된다. 미국현지의 높은 임금 비용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 공장의 생산성 목표를 국내 최고 수준의 아산 공장보다 높게 책정하고 벤치마킹, 최신 제조 설비의 구매, 현지의 선진 생산기술 회사와 기술 개발 등을 통해 미국 공장 건설 과정에서 생산기술을 향상시켰다.또한 미국시장에서 에어컨, 자동주행장치, CD플레이어와 같은 선택사양을 필수화하여 자동차 기본가격은 경쟁 차보다 비싸지만 선택사양을 장착하는 경우 오히려 일본 차보다 싸게 하는 패키징 전략으로 한국 차의 우수한 제품성능을 소비자에게 전할 수 있었다. 이는 현대의 기술능력과 제품개발역량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높은 정보통신기술도 제품성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성과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성과 중 인도와 중국시장으로의 진출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대 자동차는 인도산업 역사에서 최단기간인 17개월 만에 공장을 완공하였으며, 인도 자동차산업 역사에서 양산 후 19개월 만에 10만대 생산 돌파, 32개월 만에 20만대 생산 돌파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1999년 11월부터 판매하기 시작한 액센트는 중형차 부문에서 포드의 아이콘과 판매 1위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였는데 그 결과 현대자동차는 2000년 매출액 4억 5천만 달러와 매출액 대비 이익률 6.2%를 기록함으로써 흑자경영 방향을 조기에 달성하게 되었다. 이것은 10개 이상의 세계 이상의 세계 유수 자동차업체들이 진출하여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에 후발주자로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룩한 성과라 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경쟁업체들과 마찬가지로 시장을 탐색하기 위하여 2-3만대의 소규모 합작투자 방식으로 진출하고자 하였는데 ‘하려면 제대로 하라’는 최고경영자의 지시에 따라 대규모 투자를 하는 방향으로 투자계획을 바꾸고 합작파트너를 찾아 투자비율과 조건을 협상하였지만 예상 파트너들이 무리하게 51% 이상의 지분
    리포트 | 2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6.09
  • 현대자동차,기업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 로 높은 수준이라고 할수 있다 . 국내 기업 시가총액 3 위 Part 1 ● ● Part3 ● ● Part2 ● ● Part4 ● ● ● 결론 재무제표 분 석 15/21현대자동차 외국인 ... 현대자동차 기업조사목차 Contents 서론 Part 1 - 제품개발 - 마케팅 Part 2 - 생산과정 - 완성차 물류 프로세스 Part 3 - 재무제표 분석 - 주가 움직임 ... 금속품인 주물 생산 단조 공정 열처리 공정 기계가공 공정 엔진조립 공정 금속재료의 조직을 균일화 시킴 열을 가하여 부품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임 절삭을 통해 필요한 표면성질을 가진
    리포트 | 2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06.17
  • 타타최종발표
    적 투자 , 중형차 다각화 - 공격적 M A 를 통한 다각화 마루티스즈키 현대자동차 타타모터스 주요 전략 전국의 공급망을 활용한 전략제휴 공격적인 투자를 통한 대규모 생산라인 , 중형차 ... 리더 ( 약 48%) 의 이점 활용 - 저원가 전략 - 현지화와 차별화 전략 ( 고급 소형차 ) 마루티스즈키 현대자동차 타타모터스 시장점유율 약 48% 약 18% 약 13% 소형차 ... 라 유통과 서비스 모델까지 혁신  공급업체에 구체적 제안요청서를 보내는 대신 공급업체가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부품 모듈제공 . 이후 이 부품들을 조립 . 대형 생산공장
    리포트 | 18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2.06.11
  • 2014년 상반기 현대다이모스 합격 자기소개서
    았지만 이러한 도전정신의 성적은 A+라고 생각합니다.도전정신과 학업결과의 시너지효과를 이루어내 도전과 열정을 가지고 현대다이모스에서 성장하고 싶습니다.7. 현대자동차그룹의 5대 핵심 ... 는 아이]학창 시절 우연히 형이 다루던 과학 상자를 보게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의 부품,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무엇인가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고정 자세로 오랜 시간을 몰두 ... 2014년 상반기 현대다이모스 자기소개서1. 귀하의 평소 생활신조와 직장관은 무엇입니까?[끊음없는 도전]저는 항상 변화를 추구하고 도전해왔습니다. 그 중 가장 큰 도전은 학군장교
    자기소개서 | 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4.06.07 | 수정일 2018.07.31
  • 국내 자동차 물류기업의 발전 전략 - 글로비스 중심사례 -
    글로비스는 현대자동차의 수직계열화 기업들의 물류영역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모기업의 안정적인 물량 확보가 가능하다. 현대글로비스의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오는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 을 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어 벌크선 사업부문은 안정적인 성장을 시현할 것으로 예상한다.자료: 현대글로비스1.4 해외물류 (기타물류)자료: 현대글로비스기타 해외물류사업부문은 자동부품 ... 현대 글로비스 재무 분석 및 선행연구3제 1절 현대 글로비스 전반적인 재무 분석31. 재무상태표32. 포괄손익계산서43. 재무비율분석63.1 안정성 지표63.2 수익성 지표63
    리포트 | 26페이지 | 10,000원 | 등록일 2016.05.15 | 수정일 2022.02.21
  • 현대자동차 산업론
    한국의 자동차 산업과 현대자동차자동차 산업의 특성 1. 대표적인 조립 및 종합공업 2. 산업파급효과가 큰 최종수요적 제조업 3. 규모의 경제효과가 큰 산업 4. 국민경제적 산업 ... 브랜드 개발 - 이민자 시장 적극 개척 W-T 전략 - 현지 생산 확대 - 제품 안전 기준에 맞춘 지속적인 기술 개발 노력현대자동차의 주요동향 1. 고급차로 북미 시장 공략 2 ... 대체 2009 년 전망 2009 년의 수출 영향 요인현대 자동차 현황 현대자동차의 연도별 생산 및 판매 추이 단위 : 만대 경영실적현대의 해외 공장 판매 실적 2005 2006
    리포트 | 2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5.13
  • 현대자동차 자기소개서
    자동차 였습니다. 포니1로 시작하여 현재의 NF소나타 까지 아버지는 언제나 차를 바꾸실 때 Brochure를 저에게 보여주며 의견을 물어보시곤 했습니다. 그리고 항상 현대자동차 ... 1. 지원동기와 현대자동차 인턴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점에 대해 서술하여 주십시오. (10라인 500자 이내)- 현대자동차와 함께한 인생 -살아오면서 본 아버지의 차는 모두 현대 ... 사, 자동부품생산업체, 금형업체간의 선, 후 공정에 대하여 명확히 분석할 수 있었고 “협업”이라는 단어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귀사에 입사하여 실제 자동차 한
    자기소개서 | 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05.03
  • 현대자동차의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현대자동차북미시장 마케팅전략교수님0조목 차Ⅰ. 서 론Ⅱ. 현대자동차의 북미 시장 경쟁 환경 분석1. 현대자동차 기업 소개2. 현대자동차 연혁3. 현대자동차가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5대 전략4. 현대자동차의 미국 시장 진출 역사5. 한국 자동차 산업의 특성6. 한미 자동차 교역 현황7. 북미시장 진출 환경 분석1) 현대자동차의 외부 환경 분석2) 현대자동차의 내부 환경 분석8. 현대자동차의 SWOT분석9. 현대자동차의 STP분석10. 현대자동차의 4P분석Ⅲ. 결 론 : 현대자동차의 북미 시장 마케팅 전략 제안1. SWOT 분석을 통한 현대자동차의 향후 전략2. 기타 주요 마케팅 전략 제안3. 맺는 글 : 현대자동차, 도요타를 뛰어넘기 위하여!Ⅰ. 서 론자동차는 우리나라 수출품 중 수출액 1위를 차지하는 품목으로, 한국자동차공업협회의 2006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 자동차산업의 무역흑자는 373억 달러로 한국 전체 무역 흑자(161억 달러)의 무려 228%에 이르렀다.) 1986년 한국의 첫 독자모델인 ‘포니’의 수출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한국경제의 중심축으로써 성장원동력이 되고 있는 자동차 산업. 이 자동차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현대·기아 자동차 그룹(이하 현대차)이 한국시장을 넘어 세계시장을 향한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최근 많은 한국 기업들이 해외로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그들 중 상당수의 기업들이 해외 사업 분야에서 어느 정도의 실적을 보여 주고 있다. 실제로 삼성이나 현대자동차와 같은 기업들은 이미 국내 기업이라고 하기에는 사업규모나 그들이 보여주는 비전, 영향력 측면에서 충분한 글로벌화가 진행되었다고 생각한다.현대자동차는 대표적인 2차 제조 생산업체의 선두주자로서 2차 산업의 대표격인 자동차 산업의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바탕으로 해외시장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시설투자와 고정비용이 많이 드는 자동차 산업에서 국내에서 독보적인 선두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시장 규모 자체가 제한적인 국내시장에서의 한계로 인해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전략은 기업의 생 또한 다양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 소비자, 종업원, 협력업체들과 비전을 나누고 함께 성장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실천해오고 있다.(5) 글로벌 경영혁신 추진급속하게 변화하는 지금, 지속적인 개선, 대량생산, 경직된 조직, 국내생산 등의 경영 패러다임만으로는 더 이상 글로벌 시대에 살아남지 못한다고 파악하고, 고객중심의 글로벌 프로세스를 확립하여 변화에 적응하고 혁신하는 기업으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 현대자동차의 미국 시장 진출 역사현대 자동차가 1970년대 포니엑셀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자동차를 미국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초기에는 현대자동차의 지명도가 매우 낮았기 때문에 중저가 가격전략으로 시장에 진출을 하였고, 그 결과 아직도 미국인들은 현대자동차를 단지, ‘싼 자동차’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해서 현대차는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이미지 제고를 위한 노력을 펼쳤다. 광고전략 역시 “Cars that make sense” 를 중심으로 저가격을 소구하면서 소구전략을 시도하였다.이러한 전략에도 불구하고 포니, 엑셀 뒤에 진출한 소나타나 스쿠프의 경우에 고품질의 소비자를 유인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그러나 인도시장의 성공에 힘입어 2005년부터 미국 알라바마주에 현지 자동차 생산시설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여 현재는 미국시장에서 현대차는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있다.5. 한국 자동차 산업의 특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 자동차 산업은 50년도 되지 않은 짧은 역사를 가진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능력을 가진 명실 공히 자동차 산업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한국이 자동차 분야에서 단기간에 세계에 각인될만한 생산능력과 브랜드 파워를 보여줄 수 있었던 이유는 경제개발계획에 입각해 1차 산업에서 2차 산업으로 그 중점산업이 이동하던, 1980년대 이후의 한국경제의 ‘집중 전략’에 기인하였다.이 도산 위기에 처해있다.미국자동차 브랜드는 기본적으로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미국 내에서 국민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와 대중성, 구입 후 부품 교체의 편의성으로 미국 소비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그러나 기업 규모 면에서는 세계 최고의 자동차 업체이지만, 낮은 생산성과 비교적 낮은 기술력으로 경쟁력이 많이 약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 결과 미국 소비자에게도 과거만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고연비 차량으로 차종구성을 경쟁적으로 교체하면서 수십억 달러를 쏟아 붓고 있고(GM의 현금 지출이 한 달에 10억 달러로 추정) 실제적으로는 신모델 중 다수가 빠르면 2년 뒤에야 출시될 예정이다. 특히 트럭과 스포츠다목적차량의 비중에 다른 글로벌 메이커에 비해 높아 고유가 시대에 취약성을 드러낸다.③ 유럽차군BMW, Benz, 아우디를 비롯하여 유럽차는 미국 내에서 고급자동차의 이미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내에서 최고급차의 이미지를 독보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영화나 각종 매체 등을 통해 최고급, 최첨단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오랜 자동차기술의 역사와 첨단기술의 결합, 세련된 디자인으로 일본의 럭셔리카 브랜드의 도전 속에서도 미국 내 고급자동차의 대명사로 자리 잡고 있다유럽차는 세련된 디자인과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약 100년 전 다임러와 벤츠를 시작으로 한 유럽자동차는 변함없는 이미지로 유명하다. 각 브랜드의 엠블렘이 대표적으로 회자되고 있을 만큼 고객들의 머릿속에 강하게 자리 잡고 있고 벤츠는 중후한 이미지, BMW는 세련된 이미지, 폭스바겐은 대중적이면서도 깔끔한 디자인, 또한 미국인들의 유럽에 대한 상대적 선호와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의 PPL 광고를 통해 고급이미지를 구축하였고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그러나 유럽차의 약점은 미국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고, 일본차 브랜드에 비해서 내구성이 약한 편이라는 것(Strengths)① 강력한 리더십현대는 다른 기업과는 구별되는 매우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닌 최고경영자를 중심으로 독특한 기업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하면 된다는' 불굴의 의지와 뚝심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신화를 현대는 종종 이루고 있다.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은 기업 구성원들에게는 물론 기업자체 생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리더의 리더십 형태는 각각 장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어느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현대와 같이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닌 리더십을 갖고 있는 기업은 기업이 어려움에 처해있거나, 빠른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할 위기 상황에서 기업의 힘을 하나로 모아 구성원들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과거 성장위주의 시대와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는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리더십은 구성원들을 수동적이고 창조적이지 못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으므로 다양성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강력한 리더쉽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변화 속에서 의사결정의 신속성을 높여 세계적인 속에 현대자동차 브랜드를 단기간에 알리는데 기여했고 2차 제조산업에서의 이러한 신속한 의사결정은 현재도 충분히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데에 현대자동차에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② 기술개발현대자동차는 배기량 2500cc의 경량, 고성능 V-6DOHC델타(δ)엔진을 독자 개발하여 EF소나타에 탑재하였다. 현대자동차는 세계 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배기가스 규제 대응과 성능은 물론 경제성이 뛰어난 엔진에 대한 소비자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난 '93년 5월부터 總1,000억원을 투자하여 5년여에 걸친 연구개발과 신차테스트를 통해 델타엔진을 독자 개발하였다. 자연흡기방식(Natural Aspiration)방식의 24밸브 DOHC V型 6기통 엔진인 델타엔진2.5는 성능면에서 최고출력 192마력에 최대토 오크가 25.0 kg.m로 국내 동급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최정상급의高성능 엔진으로 델타엔진을 향후 출시될 중형차 후으로 세계에서 불티나게 팔리는 소형차들은 사실은 GM대우에서 공급하고 있다 마티즌, 젠트라, 라세티가 시보레 뷰익등의 이름으로 팔리고 있다. GM대우는 올 판매목를 200만대로 자고 있다. 결국 GM의 글로벌 판매에서 4대중 1대는 GM대우가 만드는 것이다. 이처럼 경제적 불황은 소형차 전문업체인 GM대우에게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사례로 볼 때 현대자동차의 미국 시장에서의 경기불황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② 북미 소비자들의 신뢰 확보현대차의 '10년/10만 마일 warranty' 전략은 지금까지도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의 판매실적 증가를 위한 지나치게 모험적인 마케팅 플랜이라는 비판적인 시각이 있는 반면 실질적 비용부담에 비해 효과가 훨씬 큰 성공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긍정적 시각이 맞서고 있는 실정이다.하지만 여러 요인들로 미루어 볼 때 후자 쪽이 우세하다. 첫째, 이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현대차는 획기적인 브랜드이미지 개선에 성공했다. 일단 판매량 증대 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는 것이다. 최근 다른 업체들도 warranty기간의 연장을 도입하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점도 이를 반증하고 있다. 둘째, 현대차에 대한 warrnty claim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셋째, warranty 확대에 따른 실질 비용은 그리 크지 않다. 최초 구매자에게만 적용되고 미국 소비자들의 평균 대체주기가 4.8년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현대차는 판매보증충당금 전입액을 통해 회사가 추정하는 미래의 비용을 현재의 비용으로 이미 계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매출액대비 판매보증충당금 전입액의 비율이 warranty 확대가 도입되기 이전인 지난 98년에는 2.0%에 머물렀으나 2001년 상반기에는 3.8%까지 상승했다.지금 현대차의 북미시장 내 모든 광고의 마무리는 한결같이 ‘America’s Best Warranty’로 끝난다. 이는 현대차의 품질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며 최근 북미시장의 판매증가는 이에 대해 미국 소비자가 신뢰한 결과다.③ 빅3왔다.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2.05
  • 다국적 기업의 현황과 해외 진출 전략
    , 건설, 전자 등 뭄바이 : 물류, 무역업, 전자 등 첸나이 : 제조업 (현대자동차 및 협력 업체)진출 특징 : 대기업 위주 제조업투자(열악한 인프라, 행정 불투명성에 기인)인 도 ... (진출기업수 : 340여개사)투자건수 및 금액 : 302건, 16.7억불업종별 비중첸나이 28%뉴델리 55%뭄바이 14%자동차 78%석유화학 6%금속 6%전자5%현대자동차 등LG ... (가전) 삼성(가전, 휴대폰)LG(휴대폰)투자기업수 기준오리사포스코현대자동차 : 시장점유율 18%, 4위삼성 10억불 + LG 18억불 + 현대차 16.5억불 등 총40억불 투자 진행
    리포트 | 32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10.09.09
  • 현대자동차 투자분석 보고서(애널리스트 양식)
    2011년은 전세계적인 소비 회복과 일본 대지진이라는 특수에 힘입어 작년과 비슷한 매출 증가를 보일 것을 예상된다. 따라서 2011년의 매출 증가율은 2010년과 같은 15%로, PER은 시장평균보다 높은 11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현재 각종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중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등 세계적으로 물가상승의 국면에 놓여 있기 때문에 2012년부터는 세계 경제가 부정적일 것으로전망된다. 특히 2011년 말 일본 자동차 업체의 정상화가 완료되면서 현대자동차는 적잖은 타격을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산업은 경기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기 때문에 2012년 부터는 매출이 소폭 감소될 것이며 이에 따라 2012년 -8%, 2013년 -5%로, PER은 시장평균치보다 낮은 9.2와8.5로 추정하였다.그 결과 2011년의 목표 주가는 287,691원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가격(238,500)에서 연말까지는소폭의 상승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품업체 파업으로 인한 변수가 나타나고있고 내년부터의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2011년 2/4분기가 끝나가는 지금 시점에서 지금까지의상승 기조가 어느 정도 힘을 잃었다는 판단 아래 투자의견으로 SELL을 제시한다.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06.22
  • SL 공급사슬관리
    에선 제조업체인 현대자동차와 동반 진출하였다.→ SL과 독일 HELLA, 중국 북경찯등유한공사의 합작 회사인 북경헬라(BHL)가 51:49 로 지분을 참여하여 북경삼립차등유한공사(이하 ... :50의 합작투자로 (주)에스엘 성산이라는 자동차용 LAMP류 전문 생산업체 설립→ GM 미국내 독점적 부품 생산 공장인 SL TENNESSEE 공장을 요청, 설립함→ 운송비, 리드 ... 하여 운송비 절감, 리 드타임 감소 및 품질 대응이 가능해 GM과 공조체제 강화- 중국→ 상해기차그룹의 자동부품 전문 자회사인 상해회중과 60:40의 지분으로 참여한 상 해삼립회중
    리포트 | 2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5.25 | 수정일 2014.05.29
  • 유성기업 파업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유성기업,유성기업파산,기업파산,노조,노동조합
    고 있는 현대자동차 노사도 6 년 전 주간 2 교대 전환에 대해 원칙적 합의를 한 바 있다 . 하지만 말뿐이다 . 정부는 불문곡직하고 합법 파업을 강제해산부터 했다 . 노사 모두 ... 발생 우려”되므로 “ 현대차 / 기아차 시행 전 ‘ 선 ( 先 ) 시행’ 노사합의 방지” 를 주문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 유성기업㈜ 쟁의행위 대응요령’이라는 또다른 대외비 ... 차그룹 의 이해가 걸린 주간연속 2 교대제의 선시행 합의를 무산시킬 목적으로 실질적 지배자인 현대차의 개입하에 단행된 공격적 직장폐쇄 로서 노동법상 허용되지 않는 불법쟁의행위이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9.04
  • 도요타와 현대자동차의 경영전략
    글로벌 기업의 경영전략 비교현대자동차와 TOYOTA자동차의 수직계열화 - 비재무적 부분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 / 19경영성과의 변화 국가별 생산량 8. 생산방식 현대자동차의 과제 과제 이렇게 된다면 개선할 점발표 목적 기업의 위상 3. 기업의 소개 TOYOTA 기업분석(SWOT) 하청구조 하청구조의 변화 경영전략 HYUNDAI 기업분석(SWOT) 하청구조 생산구조의 변화 경영전략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2 / 19글로벌기업의 연혁TOYOTA와 현대자동차 기업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경영전략비교TOYOTA와 현대자동차 기업의 하청구조와 변화 방식 경영전략방법을 비교를 통하여 차이점을 확인한다시장변화 예상글로벌 기업의 전략변화를 통하여 현대자동차의 미래 경영전략을 예상한다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2009년 생산,판매기준Business Week 발표, Lexus 96위Fortune 선정2009년 생산,판매기준Business Week 발표, 삼성전자 19위Fortune 선정3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99020002009토요타 자동차공업㈜ 설립 1937크라운 미국수출/ 미국 토요타 자동차판매㈜ 설립 1957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설립 1977토요타/ GM제휴회사 미국생산 개시 1984렉서스 브랜드 미국 내 출시 1989영국공장 생산 개시 1992한국 토요타 자동차㈜ 설립 2000프리우스 하이브리드카 출시 1997중국 천진 토요타 자동차(유) 생산개시 2002토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세계 2007 누적판매량 1백만대 달성 2007전세계 자동차 생산량 / 판매량 1위 달성 20091967 현대자동차㈜ 설립1968 코티나 양산 개시1976 에콰도르 포니 6대 수출1983 캐나다 현지 법인 설립1985 미국 현지 법인 설립, 1986 엑셀, 미국 첫 수출1998 기아 자동차 인수 인도공장 준공2002 중국 현지 생산모델 엘란트라 출시2007 체코 유럽공장 착공, 브라질공장 준공2009 제니시스 '북미 올해의 차' 선정2005 글로벌 100대 브랜드 진입1991 전기자동차 개발4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5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차하청하청하청2차3차4차30%70%TOYOTA70%30%G.M◈ 부품 내부화비율6 / 19TO HYUNDAI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부품 외부화 비율 70%부품 내부화 비율 30%TOYOTA의 부품공급 비중7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수직적 통합 아웃소싱 전략전자부품 전문생산공장 건설자동차에 전자부품이 많이 사용 되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함하청업체로부터 기술교류부품업체 스스로의 기술혁신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계열 외 업체에서도 조달품질, 가격, 기술면에서 경쟁력을 가진 부품생산업체에서도 조달부품생산 내부화 비율 높임내부에서 부품을 생산ㆍ조달하는 수직적 통합의 비율을 높임8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9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30%70%TOYOTA80%HYUNDAI20%◈ 부품 내부화비율부품 내부화 비율 20%부품 외부화 비율 80%1차1차2차기타2차1차 공급회사 355업체(종업원 18만명)2차 공급회사 2,200업체(종업원 12만명)기타 공급회사 700여 곳(종업원 9만명)기타기타1차10 / 19TO TOYOTA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글로벌 톱5' 진입 목표 수립 ○ 우수하청업체를 선정 해외 메이저 업체와 제휴 ○ 글로벌 부품업체 육성 하청업체 - 하청기업 VE제안제도 도입자동차 독자 개발 시작 ○ 100ppm운동 ○ 부품공용화 ○ 게스트 엔지니어링 ○ 부품업체별 연구소 설립지원 ○ 영세업체 지급보증 ○ 가치공학(VE) 하청업체 - 제품개발능력 요구해외제휴선에게 부품설계도면 입수 후 생산 하청업체 - 도면으로 정확히 생산하는 생산기술이 중요~1980년 대1990년 대2000년 대 ~11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수직적 통합부품하청업체 육성부품업체의 기술 및 경쟁력을 확보 하여 모기업으로의 기술 피드백 요구부품전문회사 개설현대모비스: 부품판매사업, 수출, 모듈부품제조등 국내 최대회사네비게이션 전장 부문회사 개설현대오토넷 인수: 네비게이션 등 자동차 오디오부문 부품제조12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3 / 19TOYOTA: 1998(3위), 2003(3위), 2008(1위)HYUNDAI: 1998(15위), 2003(9위), 2008(5위) (KIA MOTOR 생산량포함)TOYOTA5.2백만대HYUNDAI1998년2003년2008년(현재)6.2백만대9.2백만대0.9백만대2.7백만대4.1백만대10 9 8 7 6 5 4 3 2 1세계자동차공업협회- 생산통계 참조생산량 및 순위 변화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4 / 19TOYOTA China 551,424 India 54,251 Japan 4,911,861 Korea - Thailand573,363 Etc 530,639TOYOTA USA 1,117,409 Etc 489,937TOYOTA South Africa 179,167TOYOTA E.U 561,686TOYOTA Turkey 126,596 Australia 141,447HYUNDAI USA 236, 915HYUNDAI China 298,288 India 475,352 Japan - Korea 1,673,580HYUNDAI E.U 12,042HYUNDAI Turkey 80,960HYUNDAI -2008년 TOTAL 생산량 HYUNDAI: 2,777,137 전세계시장의 6% 세계자동차공업협회 TOYOTA: 9,237,780 전세계시장의 13%E.UAfricaAsiaEtcAmericaJIT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5 / 19도요타 린생산방식(TPS)의 추진 이미지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6 / 191970년대 TOYOTA도 미국시장에선 싸구려 소리들어 1990년대 렉서스란 고급이미지 만들어초기엔 싸구려 소리 들어1937년 창업하여 세계시장 판매/생산 1위를 달성하기까지 무려 80년의 시간이 걸려세계시장 1위까지 80년 걸려1970년대 TOYOTA도 미국시장에선 싸구려 소리들어 1990년대 렉서스란 고급이미지 만들어1955년 이후 단1건의 노사분규도 없음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8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19 / 19Hyundai Toyota Management strategy{nameOfApplication=Show}
    리포트 | 20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12.02
  • [경영전략]현대자동차 가치사슬분석을 통한 핵심역량과 그에 따른 미래산업의 이론과 실체
    현대자동차 미래 산업의이론과 실체목차 1. 목적2. 현대차의 가치사슬 분석3. 현대차의 핵심역량 도출4. 현대차의 기업문화 분석보고서5. 조직구조(사업구조)6. 결론 및 시사점1. 목적 : 기후변화와 천연자원 고갈 등과 같은 글로벌 환경 이슈는 인류의 삶은 물론 자동차산업을 포함한 산업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는 이러한 환경 이슈를 장기적이고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연구과제로 인식, 보다 혁신적인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내부적, 외부적인관점 두 양상의 초점을 두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는 현대자동차의 가치사슬(Value Chain)분석을 통해서 향후 성장 방향에 대한 목표에 따른 핵심역량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기업문화, 조직구조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에 근거를 살펴 봄으로써 현대차의 글로벌 경영 현장의 현 주소를 알아본다.2. 현대자동차의 가치사슬분석 : 다른기업과 차별화되는 요소 찾기.대리점 지원 &고객서비스판매 &마케팅생산구매재고원자재(in-bound logistics)기술연구, 개발, 디자인Porter`s value chain보조 활동 주 활동기술연구, 개발, 디자인LPG모델의 하이브리드카대리점 지원 & 고객서비스현대 자동차의 주력 차종인 제네시스 오너들을 초청하여 아래와 같은 고객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이밖에도 재즈공연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또 준비 중이다.제네시스 고객 초청 건강세미나현대자동차는 30일 서울대병원 강남검진센터에서 최고급 승용차 제네시스 고객 40명을 초청,'제네시스 전문가 초청 건강세미나'를 연다.이 세미나에서는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의 이동호 교수가 나와 '음식과 위장을 바로 알면 장수가 보인다'는 주제로 강연하고 고객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3. 핵심역량 도출: 차별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한 신사업, 신제품 등 조사기술연구, 개발, 디자인기능별 분야핵심역량전략적 중요도벤치마킹 결과주요사유R&D친환경차 개발매우중요경쟁열위(기술력 부족, 자금난, 시장점유율, 정부지원, 가격 제2도약의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는 움직임이 회사 곳곳에서 확산되고 있다. (전략적 중요도)현대ㆍ기아차가 국내업체론 유일하게 하이브리드카와 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일본 도요타는 전세계 하이브리드카 시장의 80%를 점유하며 후발 주자들을 멀찌감치 따돌린 채 독주하고 있다. 뒤를 이어 혼다, GM, 포드 등도 다양한 차종의 하이브리드카를 내놓고 있다.(경쟁열위)LPG하이브리드는 가솔린 모델보다 연료비 절감 효과가 큰 만큼 수요 확대에 유리하고 도요타 등 해외 자동차 메이커들이 뛰어들지 않은 시장이어서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다. 또한 LPG에선 현대차가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독자 영역 구축이 수월한 편이기 때문에 (경쟁우위)현대차 관계자는 "LPG하이브리드카가 가솔린 하이브리드에 비해 연료비 절감 효과가 높아 시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도요타가 가솔린 하이브리드에서 글로벌 최강자라면,LPG 에서는 현대차의 기술이 세계 최고여서 독자 개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핵심역량)◆친환경차 R&D 지원하이브리드카와 수소전지차 등 친환경차 산업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정부가 이 분야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아 R&D 자금 지원 등 적극적인 육성과 민ㆍ관ㆍ학 협력단의 공동 개발 추진 그리고 친환경차 관련 인프라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경쟁열위)유영면 지식경제부 미래형자동차사업단장은 "도요타에 비해 하이브리드카 부문의 기술 경쟁력은 대략 85% 수준에 있다고 본다"며 "관련 부품 분야만 떼어놓고 보면 그보다 한참 뒤처져 있다"고 말했다. (경쟁열위)현대차 관계자는 "상당수 부품을 국산화했지만 모터와 배터리, 변환기 등의 경우 일본에서 원재료를 사오지 않고서는 만들기 어렵다"며 "금액 기준으로 30% 정도는 수입 부품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자동차의 경우 완성차 업체와 부품 업체가 폐쇄적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게 일반적"이라며 "당장은 일다. (경쟁열위)하이브리드카의 성능을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린다고 하더라도 가격 경쟁력에서 뒤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연구인력 확보와 영세 부품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R&D(연구개발) 자금 지원도 절실하다.(경쟁열위)4. 기업문화: 현대차의 기업 구성원들에게 공유된 특유한 가치, 기대, 믿음들의 집합조직문화 : 현대차 ‘사람 문화’ '규정이나 절차보다는 상황에 맞춰 일을 하는 것이 좋다'(동의 비율 41%, 평균 27.9%), '혈연.지연 등은 자연스러운 것이므로 인정돼야 한다'(동의 비율 42%, 평균 37%)는 생각현대차그룹 기업문화는 선 굵은 추진력과 끈끈한 응집력이 특징이다.서울 양재동 사옥에서 있었던 2007년 판매 촉진대회."우리는 어려울수록 강력한 결집력을 발휘했다. 이것이 우리 특유의 조직 문화다."2007년 초 현대차그룹 신년사에서 정몽구 회장이 앞으로 예상되는 어려운 경영 환경을 이겨내자며 한 말이다. 현대차그룹 임직원들도 자신들의 독특한 '결집 문화'를 일종의 자산으로 여기고 있다. 중앙일보와 아주대팀의 기업문화 조사에서 현대차그룹은 강한 집합주의 성향을 보여줬다. 비공식적 관계를 비교적 중시하는 끈끈함과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단순명쾌함도 현대차그룹 기업문화의 특징이다. 그러나 이런 기업문화는 시스템보다는 사람에 기대는 측면이 많아 일관성과 신뢰성이 부족하고,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조사는 현대차와 기아차 임직원 28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① '관계 중시'의 문화현대차그룹 임직원의 집합주의 성향은 삼성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히 현대차는 조사 대상 8개 기업 중 가장 높은 집합주의 성향을 보여줬고, 기아차도 이에 못지 않았다. 집합주의 성향을 묻는 5개의 문항에서 현대차그룹은 모두 4대 그룹 평균치를 넘어섰다. (상사 지시에 복종하는 것이 의무이고, 상사는 부하를 가족처럼 감싸줘야 하며, 회사는 제2의 가정이고, 동료의 공통적인 의견에 따르며, 음식점에서는 일행의 주문에 따르는 경향이 많은 편이다.)② 외향적, 감성적, 당당한, 심장이 강한, 남을 잘 믿는, 단순한, 대범한 유형에 가깝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특히 '단순한'(8점 척도에서 4.48, 평균 3.67)과 '대범한'(4.86, 평균 4.41) 성격에서 다른 그룹과 확연히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런 '우뇌형' 문화 속에서도 성과중심적 태도는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다. '우리 조직은 결과를 중시하고 경쟁적'이라는 문항에 삼성그룹 다음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다. 형식에 상관없이 실질을 추구하는 강한 추진력의 문화가 흐르고 있는 것이다.③ 일관성있는 '시스템' 필요현대차그룹의 한 신입사원은 "다른 회사에서도 선배들이 '야, 인마'라고 부르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다른 회사 신입사원이 회사에서 '○○씨'라고 불린다는 말에 문화적 차이를 느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실수했을 때는 큰 소리로 '깨지지만' 대신 나중에 따로 불러 위로해줄 때는 인간미를 느낀다"고 말했다. 공식적인 규정과 절차에 얽매이기보다는 상황과 관계를 중시하는 조직 문화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런 사람 중심의 문화는 자칫 시스템 면에서 약점을 드러낸다. 개인의 리더십에 기대는 측면이 많다보니 조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현대차와 기아차 간의 문화적 통합도 과제다. 기아차가 그룹에 인수된 지 8년이 지났지만, 현대차와 기아차 사이엔 미묘한 문화 차이가 여전히 보인다. 가령 '회사의 발전이 곧 나의 발전'이라는 등 조직 애착도에서 현대차는 4.05(전체 평균 3.93)로 높았지만, 기아차는 3.78로 낮은 편이었다.④ 총수 카리스마 → 시스템 경영 (달라지는 현대차 문화)"이봐, 해보기나 했어?"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계열사 사장들에게 가장 자주 했다는 말이다. 현장과 실행을 중시하는 이런 선 굵은 경영철학은 오늘날 현대차 기업문화에도 그대로 살아있다. 정몽구 회장의 트레이드마크인 '품질경영'도 그 스스로 끊임없이 현장을 챙기고 채근하는 '현장 경영'이 뒷받침하고 있다. 정 회장의 좌우런 실행력과 추진력 때문이었다는 평이다.기아차 인수 초기, 정 회장은 한 달에 한 번꼴로 화성.소하리.광주(光州) 공장을 찾아가 라인 구석구석을 점검했다. 하지만 현대차의 문화는 최근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투박함'에서 '소프트.세련'으로, '사람'에서 '시스템'으로 무게 중심이 조금씩 옮겨가고 있다.이런 변화의 계기는 그룹의 글로벌 전략과 지난해 있었던 '비자금 사태'였다. 매출의 80% 가까이 수출에서 올리고, 미국.유럽.인도 등에 현지공장을 잇달아 세우는 상황에서 과거의 기업문화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비자금 사태로 홍역을 앓은 이후 정 회장은 직원들에게 보내는 서신을 통해 '투명하고 신뢰받는 경영시스템'을 수립하겠다고 다짐했다. 한마디로 총수의 카리스마에 의존하는 기업 문화에서 벗어나 예측 가능한 '시스템 경영'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다. 지난해 9월 혁신과 시스템을 중시하는 경영자로 평가받는 박정인 현대모비스 고문을 그룹 기획총괄담당 부회장으로 다시 부른 것도 이런 변화의 신호탄이라는 해석이다. 현재 노사간에 갈등을 빚고 있는 연말 성과급 문제도 기존 현대차 문화에 익숙한 노조와 새로운 문화를 정립하려는 경영진 사이의 '문화적 충돌'이라는 시각도 있다.⑤ 임원직의 자기평가 ("저돌적이지만 단순무식 아니다")현대차 그룹의 기업문화를 설문 조사한 뒤 그 결과를 가지고 임직원들과 집단 인터뷰를 했다. 이들은 "회사 내에서 실제 일하면서 느끼는 분위기와 외부에서 우리 회사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는 조금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현대차 문화가 '저돌적'이긴 하지만 세밀함은 부족한 것 아닌가."제조업체 직원은 단순하고 직선적 성격이 장점으로 작용할 때가 있다. 저돌적으로 밀어붙여야 해결되는 상황이 많다. 하지만 '단순무식'은 결코 아니다. 행동은 단순하지만 속으로 상황을 따지고 치밀하게 계산한다."(현대차 이종건 차장)-집합주의적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옛날에 한번은 형님을 여의고 회사 일을 나갔다가 집안에서 '회사에 양자 보낸 X'이라는 욕까지
    리포트 | 11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8.05.21
  • A+ 현대자동차
    차 례Ⅰ. 서론1Ⅱ. 본론21. 현대자동차의 사명 22. 성공적인 CEO 요건에 입각한 정몽구회장의 평가2(1) 세계화 마인드를 가진 경영인2(2)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실무능력4(3) 나무를 보지 않고 숲을 보는 능력53. 가치사슬 관점에서 본 현대자동차의 활동 분석5(1) 주활동51) 물류투입 활동62) 운영활동63) 물류 산출활동74) 마케팅과 판매활동105) 서비스 활동13(2) 보조활동131) 구매132) 기술개발 활동143) 인적자원관리 활동144) 기업의 하부구조184. 현대자동차의 조직 구조 유형과 이의 근거19(1) 발생단계 - 1960년대 창업시기 경영체제 정착과 기구 확대 19(2) 성장단계 - 현대 신화의 서막 20(3) 성숙단계 21(4) 97년도 22(5) 재건과 혁신 22(6) 2003년도235. 현대자동차 CEO의 리더쉽 유형과 이의 변화 이유23(1) 카리스마적 리더십 또는 이상적 영향 24(2) 영감적 동기유발24(3) 지적 자극24(4) 개별적 배려 측면256. 현대자동차의 IT(IS)의 전략적 활용(이를 통한 경쟁우위 성과) 26(1) ERP26(2) SCM27(3) CRM28(4) GM대우와의 비교 30(5) 경쟁우위 성과317. 현대자동차의 인센티브 시스템32(1) 인센티브 시스템32(2) 현대자동차의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328. 현대자동차의 핵심역량과 R&D 전략 35(1) 현대자동차의 핵심역량35(2) R & D 37Ⅲ. 결론40출처41Ⅰ. 서론한국 기업사에서 ‘현대’라는 이름이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 급변하는 세계경제질서의 구조 속에서 각 국은 개별국가 경제발전 및 국민 후생증대를 위해 치열한 경제전을 치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의 기업들은 그들의 국가에만 국한시키지 않는 범세계적인 경쟁이 불가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세계 각지에 자회사(子會社)?지사?합병회사?공장 등을 확보하고, 생산?판매활동을 국제적 규모로 수행하는 다국적 기업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다국적기업은 국제 직접투자의 한 특수한 형태로기하지 않았다. INI스틸을 통해 한보철강 당진공장 인수를 성공시키고, 이곳에 일관제철소를 짓겠다고 선언했다. 아버지보다 더 일찍 일어나고 더 많은 곳을 다니고 더 깊은 생각을 하자고 그는 결심했다. 그런 노력 덕분에 외환위기 직후 적자였던 현대차를 맡은 지 1년 만에 4000억 원대 흑자를 기록했고, 해마다 기록을 경신했다. 환차익(換差益)을 감안해도 대단한 수치다. 현대차는 2004년 국내외에 167만7818대를 팔아 1조7846억 원에 이르는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4년 연속 순이익 1조원을 넘어섰고 조만간 순이익 2조원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기아차도 2005년 3월 수출 500만대 기록을 달성하는 등 현대차에 못지않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오자 그룹 안팎에서는 정 회장을 ‘전략가형 CEO’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단순히 부하를 몰아붙이는 데서 벗어나 장기 비전을 세우고 향후 이슈를 예측하여 이를 추진력 있게 실행하는 스타일로 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차 측은 “품질경영, 현장경영, 뚝심경영 등 세 가지가 정몽구 회장의 경영철학 요체”라고 말한다. 정 회장은 이를 통해 ‘지옥의 카레이스보다도 더 치열하다’는 자동차 산업에서 세계 톱5로의 진입 가능성을 노크하고 있다.3. 가치사슬 관점에서 본 현대자동차의 활동 분석그림 현대자동차의 Value Chain(1) 주활동1) 물류투입 활동현대자동차의 80%이상이 협력업체를 비롯한 부품공급업체로부터 자재를 공급받아 조립된다.* LG화학: 범퍼, 인테리어, 플라스틱, 연료탱크* 대원강업: 서스펜션용 스프링, 스테빌라이저, 시트 등* 성우하이텍: 차체 부품* 세원 물산: 차체 부품* 세종공업: 머플러, 크로스멤버 등 섀시부품* 인지컨트롤스: 자동차의 Cooling system, Engine management system, Fuel system 주요 부품* 통일중공업: 트랜스미션, 액셀* 평화산업: 호스 등 고무제품, 인슐레이터 엔진 마운팅 등 방진제품* 평화정공: 도어 랫치 모듈 등 무빙시스템* 여가에 대한 욕구가 강했다. 그와 더불어 집을 구입하기 전이라도 차를 먼저 사야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20대 59.7%, 30대 65.4%로 기성세대에 비해 많아 2030은 미래를 준비하기보다 현재의 만족을 위해 소비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Life Style의 성향을 나타내는 2030은 TV광고에 관심이 많고, 제품 구매시 광고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2030은 이른바 감성세대로 통한다. TV광고 자체를 재미있는 볼거리로 여기는 등 TV 광고에 대해 호감도가 높으며, 이러한 광고에 대한 높은 호감도는 제품 이미지 제고, 구매욕구 자극, 제품 선택의 판단 기준 제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와 TV를 많이 보는 2030을 위한 마케팅 기법이 바로 PPL마케팅이다. PPL(Product Placement) 마케팅이란 영화나 드라마에 기업의 제품을 소품이나 배경으로 등장시켜 소비자들에게 의식, 무의식적으로 자사제품을 광고하는 것을 말하다. 이러한 간접광고는 감성세대인 2030을 주요 타겟으로 하고 있다. 매력적인 PPL 마케팅은 특히 영화나 드라마가 크게 히트했을 경우에 엄청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PPL 마케팅은 단순히 매체에 등장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자사 제품의 광고에 등장시키는 방법으로 영화와 제품을 동시에 광고하여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광고효과를 증대시키는 win-win 마케팅 전략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렇게 이벤트나 촉진활동을 공동으로 수행하면서 영화의 이미지나 제품이미지를 연관시키는 전략은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PPL마케팅은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자동차 역시 에쿠스의 고객층을 이러한 PPL 마케팅 전략을 구사함으로써,?2030세대를 공략할 필요성이 있다.* 비교 광고자사 제품의 광고를 할 때 경쟁회사의 실명과 상품 이름을 구체적으로 거명하면서 자기 회사 제품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직접 비교 광고가 가능해지면서 상호 경쟁관계에 있는 315만 명의 회원을 둔 중견카드사로 성장했다. 전년에 비해 40~50만 명이 증사한 것이다. 신용불량 문제로 신규회원 모집이 어려운 상황에서 현대카드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현대 자동차를 구입할 때 50만원을 할인해 주는 마케팅에 힘입은 바가 크다.현대캐피탈과 현대카드의 순기능은 수평 계열화 전략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현대 자동차 경영진의 신념을 부추겼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의 기획총괄본부에 CL(Car&Life)팀이 생겨났다. 이들의 목표는 현대자동차의 수평계열화 완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CL팀은 자동차가 판매된 이후 할부금융과 신용카드 서비스에서 자동차 수리와 중고차 매매, 폐차에 이르기까지 현대자동차를 수입한 고객을 끝까지 책임지는 체계를 구축하는 작업을 펼치고 있다.4. 현대자동차의 조직 구조 유형과 이의 근거(1) 발생단계 - 1960년대 창업시기 경영체제 정착과 기구 확대창립을 위해 현대 건설에서 차출된 프로젝트 팀원들이 회사설립과 더불어 현대자동차로 전입해 새로운 자동차 회사의 기초를 닦는 임무를 맡아 초창기 3개월 동안 총무과와 경리과만으로 부서 체제 갖추고 이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관리업무 수행하였다. 이 두 과에 소속되지 않은 사원은 일정한 직책 없이 포드와의 교섭이나 대(對)정부관계 업무 등 특정업무에 한정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체재였다. 1964년 4월초에 처음으로 경력사원을 공채한 이 후 1968년 1월 인원보강이 이루어지면서 이를 관리할 각종 규정이 제정, 집행되기 시작하여 사원채용이 본격화 되면서 1968년 5월 사장아래 본사와 공장의 이원화 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본격적인 기구조직에 들어갔다. 1968년 8월 직제규정이 제정 되면서 기구조직이 비로소 체계를 잡아 각 부서의 업부분장도 확실히 구분되었다.- 본사는 사장과 상무 이하 3부 10개, 공장은 공장장 이하 2부 6과 16계 의 구도1) 경영체제의 정착① 창업에 따른 난제들을 해결하고 자동차 생산개시 이후 예견되는 생산 차종의 증가, 시 설 확장교육 실시? 연구 개발 강조개별적 배려 측면? 경영 설명회 개최? 종업원과의 커뮤니케이션 강조위에서 살펴 본 바를 간단히 정리하면 위와 같다. 정몽구가 변혁적 리더십을 가지고 현대 자동차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지만 그렇다고 변혁적 리더십이 모든 기업인들에게 적합한 완전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없다.최근 현대자동차그룹은 큰 고비를 넘겼다. 그룹 오너이자 현장경영 ‘총사령관’인 정몽구 회장이 비자금 사건과 관련, 1년6개월만인 6일 족쇄를 풀었고 현대차 노사는 10년 만에 무분규 임단협 합의를 이뤄냈다. 그러나 부당 내부거래 혐의로 630여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음으로써 투명경영을 확보하는 중요한 과제를 안았다. 투명경영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법원은 유죄를 인정하면서도 집행유예를 선고, 정 회장과 현대차에 ‘반성’할 기회를 줬다. 정 회장도 지난해 5월 감옥에 있을 때 “지금까지 세계 최고의 기업을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일한 나머지 각계의 의견에 귀 기울이지 못한 점이 많았다”고 말했다. 정 회장의 말대로 현대차는 경영 투명성 재고라는 전 그룹 차원의 시급한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현대차는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중장기 비전으로 ‘고객을 위한 혁신(Innovation for Humanity)’을 선정했다. 지금까지는 세계 5대 자동차회사라는 양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이제부터는 질적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세련되고 당당한’(Refined & Confident)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방향성 제시로 세계 최고 수준의 브랜드 가치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브랜드 경영에 돌입했다. 즉,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향상된 품질에 부합되는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구축, 양적인 성장 뿐 아니라 질적인 도약을 통한 판매역량 극대화 및 수익성 제고를 꾀한다는 전략이다.이는 정몽구 회장이 신년사에서 중장기 비전으로 ‘고객을 위한 혁신’을 새롭게 제시하며 “양적 성장에 치우치지 않고 질적 성장을 추구 하겠다”고 있다.
    리포트 | 4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7.12.06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2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