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간
- 전체
- 3개월
- 6개월
- 1년
- 2년
- 3년
- 5년
직접입력 -
연관순
- 연관순
- 최신순
-
영역
- 전체
- 제목
- 본문
- 태그
-
페이지 수
- 전체페이지
- 1 페이지 ~ 5 페이지
- 6 페이지 ~ 10 페이지
- 직접입력 ~ 적용
-
확장자
- 전체
- 한글
- MS워드
- MS엑셀
- MS파워포인트
- 압축파일
- 기타
- 할인자료 보기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검색결과 2,141-2,160 / 4,766건
-
-
한국프랜지공업 재무분석
- 한국 프랜지 공업 재무분석1. 소개한국프랜지공업은 자동차부품, 프랜지, 산업기계, 철구조물, 탱크류 및 열교환기의 제조 및 판매업 그리고 수출입업, 전 각호에서 파생되는 설물의 판매 및 전 각호에 부대 되는 사업일체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4년 7월 15일에 설립되었습니다.2. 연혁창업기1974. 07. 15법인 설립1974. 10. 02프랜지 생상 개시1977. 02. 01Stell structure(철구조물) 생산개시1978. 06. 01산업용 기계 생산 개시확장기1980. 01. 04단조공장 준공1982. 06. 01모범업체 표창장 수상1983. 03. 12압력용기 및 고압 파이프 생산개시1983. 11. 301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1985. 04. 01자동차 부품 생산개시(쌍용차부품)1986. 11. 282천만불 수출의 탑 수상1986. 07. 01기업공개1987. 11. 11석탄산업훈장(품질관리 우수부문)수상1988. 03. 03모범납세 표창장 수상1988. 03. 12자동차부품 공장 준공(제3공장, 승용차 사시부품)성장기1993. 04. 06프랜지부문 ISO9002 품질경영시스템 인증1996. 07. 13서한 기술연구소 설립1996. 10. 01자동차부품 100PM달성1997. 12. 22자동차 부품부문 QS9000 & ISO9002품질경영 시스템 인증1999. 01. 30자동차부품 단조부문 QS9000 품질경영시스템(LROA)인증1999. 05 .01자동차부품 수출개시도약기2000. 12. 01자동차부품 부문 ISO9002 및 QS9000(LRQA)품질경영시스템 사후 심사 승인2001. 03. 03모범납세 표창(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2002. 09. 144공장 준공(자동차 부품 조립공장)2003. 06. 19ISSMA(국제표준시스템 경영상) 자동차부문 대상 수상2003. 09. 02북격 서한 NTN 합작법인 설립2003. 10. 30국가 품질 경쟁력 50대 기업상(산업자원부 장관)2003. 10. 30KS대상 수상(한국표준협회장)2003. 년 06월30일 현재]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 주 , %)성 명관계주식의종류소유주식수(지분율)기 초증 가감 소기 말주식수지분율주식수주식수주식수지분율김윤수본인보통주1,430,25723.49001,430,25723.49김영주부보통주201,9273.320201,92700김용석자보통주679,92711.1600679,92711.16김용범자보통주226,6423.7200226,6423.72김용준자보통주226,6423.7200226,6423.72후성에이치디에스(주)친인척보통주50,0000.820050,0000.82계보통주2,815,39546.23002,613,46842.91우선주000000합 계2,815,39546.23002,613,46842.91※ 소액주주 현황? ? ? ? ? ? ? ? ? ? ? ? ? ? ? ? ? ? ? ? ?[2009년 12월 31일 기준]구 분주주수(명)비율(%)주식수(주)비율(%)비고소액주주(법인)441.66116,1411.90-소액주주(개인)2,58999.542,227,19836.57-소액주주 합계2,63397.882,343,33938.47-5. 임원의 현황-등기임원 4명, 미등기임원 18명입니다. 임원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등기임원직 명성 명생년월일주요경력담당업무선임일(임기만료일)대표이사(상근)이 ? 정50.08.14-한양대학교 공과대학?-한국프랜지공업(주) 부품사업실 전무?-(주)KASCO 대표이사?-현대모비스(주) 창원공장장총괄업무'08.03.28('11.03.28)전무이사(상근)김창균56.05.05-한국프랜지공업(주) 근무?-한국프랜지공업(주) 관리본부장관리업무'10.03.26('13.03.26)신규선임감 사(상근)송기출49.09.07-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주)전북이동통신 대표이사-(주)해태제과 대표이사-(주)해태제괴 부회장감사'08.03.28('11.03.28)사외이사(비상근)문 ?억43.11.18-인하대학교 금속공학과-LG건설(주) 영업본부장-.09생산관리실장-6. 규모1) 유형자산 규모(단위 : 억원)토지건설중인자산건물 및 부속설비구축물기계장비차량운반구기타유형자산합계5671.8143662074731,061.82) 직원의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 명,천원)구 분직 원 수평균근속년수반기급여총액1인평균급여액비 고관리사무직생산직기타합계남189338-52717.3015,773,42729,931-여135-1814.66396,08922,005-합 계202343-54517.2116,169,51529,669-3) 장부가치 시장가치가. 장부가치- 장부가치는 일반적으로 전체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나머지를 장부가치로 잡습니다.장부가치 = 자산총계 - 부채총계(단위 : 백만원)한국프랜지공업 : 자산총계(435,608) - 부채총계(247,747) = 187,861 (장부가치)현대모비스 : 자산총계(12,540,063) - 부채총계(3,571,062) = 8,969,001(장부가치)나. 시장가치- 같은 종류의 상품에 대하여 시장이 성립될때에 그 낱낱상품의 개별가치를 평균한 사회적 가치.- 주식이 현재 시장에서 팔릴 때의 가격으로 미래이득을 필요수익률로 자본환원함으로써 얻어지는 현재가치이다. 이는 주식의 수익력 평가에 사용된다.시장가치 = 주식 현재가 × 상장주식수한국프랜지공업 : 주식 현재가(13,000) × 상장주식수(6,090,084) = 731 억원현대모비스 : 주식 현재가(254,000) × 상장주식수(97,343,863) = 247,253 억원7. 투자와 자금조달 현황1) 한국 프랜지 공업 투자 및 자금조달현황[투자 현황] (단위 : 억원)2*************09비유동자산투자1,5291,6541,7081,738 (40%)기타2,0602,3142,4412,595 (60%)총투자금액3,5893,9684,1494,333[자금조달상황] (단위 : 억원)2006200720082009자기20082009비유동자산투자4,641,6615,287,3986,689,7607,123,598 (56%)기타3,326,9883,854,3974,992,8675,562,448 (44%)총투자금액7,968,6499,141,79511,682,62712,686,046[자금조달상황] (단위 : 억원)2006200720082009자기자본주식816,616829,0731,024,7391,052,192 (17%)내부자금3,190,2063,792,0194,208,7664,999,620 (83%)총자기자본4,006,8224,621,0925,233,5056,051,812 (48%)타인자본회사채776,210841,6551,102,8241,069,162 (16%)장기차입금424,915501,818918,679974,848 (15%)유동부채2,760,7033,177,2304,427,6184,590,224 (69%)총타인자본3,961,8284,520,7036,449,1216,634,234 (52%)총조달금액7,968,6499,141,79611,682,62712,686,046※ 한국프랜지 공업 현대모비스나 우리나라 제조업합계에 비해 비교적 투자에서도 유동성자산에 투자비율이 높고 자금조달상황에서도 타인자금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은 기업의 안정성에서 한국프랜지공업이 현대모비스, 제조업평균 보다 불안정 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8. 재무비율 비교1) 수익성가. ROA (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ROA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낸다.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나.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수, 자본금 또는 매출액의 규모기준(제3조제1호 관련)해 당 업 종분류부호규모기준제조업C상시 근로자 수 300명 미만또는 자본금 80억원 이하광업B상시 근로자 수 300명 미만또는 자본금 30억원 이하건설업F운수업H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J상시 근로자 수 300명 미만또는 매출액 300억원 이하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N보건 및 사회복지사업Q농업, 임업 및 어업A상시 근로자 수 200명 미만또는 매출액 200억원 이하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D도매 및 소매업G숙박 및 음식점업I금융 및 보험업K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산업R하수처리, 폐기물 처리 및 환경 복원업E상시 근로자 수 100명 미만또는 매출액 100억원 이하교육 서비스업P수리 및 기타서비스업S부동산업 및 임대업L상시 근로자 수 50명 미만또는 매출액 50억원 이하※ 해당 업종의 분류 및 분류부호는 「통계법」 제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한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다.2) 부채비율 차이(단위 :억원)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 × 100이 수치는 낮을수록 양호하며 자본구성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대표적 비율로서 타인자본 의존도를 판단하는 비율이며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삼고 있으나, 이 표준은 기업의 업종 또는 규모에 따라 상이함대기업 부채비율 : (3,902,981.56 / 3,501,771.29) × 100 = 96%중소기업 부채비율 : (2,742,761.70 / 2,004,086.57 ) × 100 = 137%3) 차입금의존도 차이(단위 :억원)차입금의존도(장·단기차입금+회사채) / 자산총계 × 100총자산(부채 및 자본 합계)에서 차지하는 차입금비중을 백분율로 표시한 재무지표. 장·단기차입금과 기타차입금과 사채 등을 합한 값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100을 곱해 산출한다. 기업재무구조의 건실도와 수익성을 가늠하는 지수로 활용된다. 100이하에서 그 수치가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재무구조와 수익성 자산구성 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대기업 차입금의존도 :
-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11.10
-
-
-
[경영]도요타의 환경경영을 통한 미국 진출 사례
- TOYOTA의 환경 경영을 통한미국 진출 사례- 하이브리드카를 중심으로-< 목 차 >Ⅰ. 기업 선정 배경Ⅱ. 기업 소개Ⅲ. 환경 분석1. 자연 환경2. 법률적 환경3. 사회, 문화적 환경4. 정치적 환경5. 경제적 환경6. 산업 통합 환경Ⅳ. 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를 중심으로 한 환경 경영1. 하이브리드카의 개념2. 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 도전의 배경3. 하이브리드카 개발의 선두 주자Ⅴ. 도요타 하이브리드카의 미국 진출과정과 성과1. 미국 시장 분석2. 진출 방식3. 제휴4. 진출 성과5. 앞으로의 전망Ⅵ. 결론Ⅰ. 기업 선정 배경일본의 자동차 회사에서 시작한 도요타는 일본 판매내 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이후 무서운 여세로 세계 1위를 달성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 지난 100여년간 세계의 자동차 산업을 주름잡던 미국의 자동차 회사들을 하나 둘 밀어내고 결국 미국 내 점유율 1위인 GM을 거의 근접하게 쫒고 있다. 이런 사실들만 보아도 도요타의 경영전략은 충분히 분석해 볼 가치가 있다. 하지만 현재의 도요타를 있게 한 가이젠이나 노사상생 등은 이미 많이 다루어져 진부한 내용이라고 생각해서 향후 도요타의 주력 분야가 될 하이브리드카를 주제로 선정했다. 앞으로 환경문제와 화석 연료의 고갈 등으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사실을 미리 예상하고 준비해오던 도요타의 면모를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미국 내 하이브리드카 시장을 선점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Ⅱ. 기업 소개도요타자동차는 1937년 '도요타 자동 직기 제작소'에서 분리된 '도요타 자동차공업'이 모태로 도요타 자동 직기 제작소의 창업자로 일본에서 '발명왕' 으로 불렸던 도요다 사키치의 아들인 도요타 기이치로가 자동차를 맡아 시작되었다. 도요타자동차는 1947년 자동차 생산 1만대를 돌파하는 등 승승장구하다 1950년 노조 파업으로 위기에 몰렸던 도요타는 1천5백명을 감원하는 구조조정을 거친 뒤에야 경영을 정상화시켰다. 이때 노사는 오늘날의 신화를 만든 경영철학 '공존과 타협' 수준 대비 평균 8%줄이겠다고 약속하였다. 이를 위해 EU는 유럽자동차 제조업자협회(ACEA)와 협약을 체결하여 2008년까지 EU에서 생산하는 모든 신차의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40g/km으로 줄이고, 이후 2010년 까지 120g/km로 추가 감축하기로 하였으며 일본 자동차 제조업자협회(JAMA)와 한국자동차 공업협회(KAMA)와도 ACEA와 유사한 협약을 체결하였다.②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2003년부터 이 지역 총 판매량의 2% 이상을 SULEV(Super Ultra Low Emission Vehicle) 차량으로 판매해야 하며 2006년부터는 4%로 상향 조정된다.※ 교토의정서가 2005년 2월 발효되어, 미국, 유럽, 일본의 자동차 관련 환경규제는 단기간 내에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즉, 2008년에서 2012년 사이에 이들 국가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미국 7%, 유럽 8%, 일본 6% 러시아 0%감축한다.)③ EU의 환경규제정책은 역내회원국에게만 적용되는 국내법적 성격만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며, 역외 국가들에게도 EU의 엄격한 환경기준이 적용되도록 하여 역외 국가들과 무역 마찰을 야기하고 있다.3. 사회, 문화적 환경(1) 자연 환경에 대한 사회, 문화적 환경환경보호에 관한 기업경영활동 방향은 문화적으로, 사회적으로 반영되는 영향력이 다르다. 선진국의 대부분은 직접적으로 기업 운영 방향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키는 반면에, 개발도상국의 경우는 개발의 원리에만 앞선 나머지 환경보호에 대한 논의와 운동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하지만, 선진국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입장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과 EU는 모두 환경보호에 관한 많은 역할과 활동을 하는 것은 사실이나, EU 회원 국가들 중에서 각 국가의 문화나 사회적인 이유 등으로 약간 다른 입장을 취한다. EU 회원국은 환경기준의 엄격성에 따라 세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부류는 청정 국가인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웨덴, 핀란드중심으로 한 세계 자동차 산업은 통합화와 과점화 추세가 급진전 되고 있다. 즉 1998년 독일의 다임러 벤처와 미국의 크라이슬러의 초대형 합병, GM은 스웨던의 사브, 독일의 오펠, 이탈리아의 피아트, 한국의 대우 등을 인수 하였고, 포드도 볼보, 랜드로버, 마쓰다 등을 인수, 합병하였다.이러한 통합화의 원인은 우선 시장의 글로벌화로 인한 경쟁이 격화되었고, 앞서 언급 된 환경 기준 강화와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한 기술 연구, 개발에 따른 엄청난 자금 소요와 위험 부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통합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사장 지배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자동차 산업의 범세계적 통합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결국 2012년경에는 전 세계 완성차 자동차 시장에 빅5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그림 세계 자동차 빅5의 초국적 글로벌화 현상Ⅳ. 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를 중심으로 한 환경 경영1. 하이브리드카의 개념하이브리드카(Hybrid Electric Vehicle, HEV)는 하나의 자동차에 2 종류 이상의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를 말하는데, 기존 휘발유, 디젤 등의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 모터를 동시에 장착한 형태가 대표적이다. 현재의 하이브리드카는 출발 등 저속 주행시 전기 모터를 사용하고 높은 출력이 필요할 경우 내연기관 엔진을 가동시키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전기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은 차량 내에 장착된 2차전지를 통해 얻는데,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나오는 잉여의 에너지로 충전하거나, 주행시 바퀴의 회전을 통해 충전하는 방식으로 운행 전 오랜 시간 동안 충전해야 하는 전기 자동차(전기 모터로 구동)와 구별된다.그림 하이브리드카의 구조그림 하이브리드카의 동력 전달 과정※ 도요타 ‘프리우스’의 주행제어어드밴스된 전기모터와 결합된 고효율의 가솔린엔진이 프리우스를 달리게 하는 동력원이 된다. 주행조건에 따라 최대연비를 내거나 배출가스를 최소화 하는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초기 가속구간에서는 밧데리와 전력반도체 기술이 압도적으로 앞서있다. 따라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하이브리드카 시장을 선도 하는 배경에는 훌륭한 반도체 산업의 뒷받침이 큰 원동력이 되었다.문화적 측면에서도 본다면 미국 업체 들은 큰 차를 주로 만들기 때문에 소형차 관련 기술이 좋지 않은 데, 하이브리드카는 기존 승용차와 동일한 공간에 구동·발전 모터와 전력변환장치, 전지 등을 설계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소형 차 개발경험이 많은 일본 업체들이 관련기술을 확보하는데 유리 했던 측면이 있었던 것이다.3. 하이브리드카 개발의 선두 주자(1) 도요타의 선견지명도요타는 이미 1980년대 후반부터 하이브리드카를 축으로 하는 친환경자동차 개발에 들어갔다. 특히 미국 업체들이 수소 연료 전지차 개발에 집중하고, 유럽 업체 들이 디젤 자동차의 연비 향상과 오염물질 배출 저감에 노력할 때 일본은 ‘과도기적 상품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의 눈길 속에서도 하이브리드카 개발에 발 벗고 나섰다. R&D분야의 상당 부분을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환경기술개발에 투자하여 2002년 연구개발 총액 5,812억 엔 중 1,304억 엔이 환경기술 관련투자에 들어갔을 정도이다. 전문가들은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이 시장을 정확히 예측했던 것’이라고 평가한다. 도요타는 향후 환경규제가 급속히 강화될 것을 고려할 때 가능한 한 빠른 시기에 환경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비용을 최대한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환경경영을 비용절감, 차별화, 신규 사업 창출의 기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는 환경중시 경영을 실천으로 타 기업과의 차별화가 가능하게 하였다.도요타의 CEO인 초 후지오는 ‘우리는 하이브리드 테크놀리지를 도요타의 미래에 있어 하나의 중심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언급하였고, Jim Motavalli는 그의 저서 ‘Forward Drive : The Race Build “Clean” Cars for the Future’에서 혼다와 도요타가 절대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들 차량을 출시한 것은 매우 의욕적인 행동이이 지경에 이르게 되었는지 GM의 문제점을 들어 살펴보자.먼저 기술 부문이다. GM은 한때 차세대 자동차에 대한 투자로 전기자동차에 많은 액수의 금액을 투자했지만 이를 돈벌이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포기하게 된다. GM이 1990년대 ‘빅5생존론’을 내새우며 몸집 불리기에만 급급해 외국회사를 인수하느라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하이브리드카가 석유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과 전기로 가는 모터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기술은 향후 하이브리드카 개발에 핵심적인 기술이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중간에 포기함으로써 GM은 그 기회를 놓쳐버렸다. 이와 반대로 도요타나 혼다는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꾸준한 투자로 하이브리드카 기술을 3세대 까지 발전시켜왔으며 이제는 소형 차량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기술을 적용한 대형 세단이나 SUV 까지도 출시하려 하고 있다. GM에서도 도요타와 하이브리드카 기술 제휴를 하려하였지만 이미 많이 뒤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요타를 넘어서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두 번째로는 내수시장에서의 부진이다. 과거에는 빅3가 미국 내수 시장의 90%를 점유했었고 GM 혼자서만 70%를 점유했지만 지금은 빅3의 전체 점유량을 합해도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 이유로 일본과 한국 등 아시아 자동차 회사의 약진을 들 수 있다. 일본 자동차는 이미 작년에 미국 시장 점유율 30%를 돌파했고 한국 자동차의 상승세도 가파르다. 게다가 2007년에는 중국 또한 미국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함으로써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세 번째로는 더 이상 정부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과거 미국의 자동차 기업들이 소위 잘나가던 시절에는 미국의 많은 주(州)들이 자동차 공장을 통해서 많은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그 때만 해도 미국의 자동차 회사들은 애국심에 호소하며 많은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미국 본토에 공장을 가지고 있는 외국 의 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애국다.
- 리포트 | 2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04.15
-
-
-
[A+] 중국의 자전거 문화 - 자전거 문화로 본 현대 중국
- 자전거 문화로 본 현대 중국Ⅰ. 들어가며 : 중국의 문화 아이콘, 자전거Ⅱ. 자전거 문화로 본 현대 중국1) 자전거 문화의 발달 요인(1) 중국의 지형(2) 중국의 사회주의 제도(3) 자전거의 일반적인 장점2) 현재 중국에서의 자전거 이용 현황(1) 실제 자전거 이용 모습(2) 자전거 이용 현황과 자전거 산업 동향3) 자전거 문화의 영향(1) 자전거 이색 직업(2) 자전거족 마케팅(3) 자전거 박람회Ⅲ. 마치며 : 다시 자전거왕국으로의 부활을 꿈꾸는 중국Ⅰ. 들어가며 : 중국의 문화 아이콘, 자전거“여자친구는 뺏겨도 자전거만은 안 뺏겨!!”이는 영화 북경자전거의 포스터에 쓰인 글귀로, 영화 북경자전거에서 나타나듯, 자전거를 향한 중국인들의 애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이처럼, ‘중국’하면 빠지지 않고 떠오르는 것들 중 하나가 바로 중국의 자전거 문화이다.위의 사진처럼, 수많은 중국 사 람들이 무리를 지어 자전거를 타는 풍경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굉장 히 익숙한 풍경이다.하지만, 사람들은 ‘대다수의 중국 인들이 자전거를 애용한다.’는 정도 만 알 뿐, 그들의 자전거 문화에 대 해서 깊이 있게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중국에서 자전 거 문화가 발달하게 된 원인과 현대중국에서의 자전거 사용 현황, 그리고 중국의 자전거 문화로 인해 중국 사회에 나타난 다양한 현상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대표 문화인 자전거 문화를 통해 중국의 모습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Ⅱ. 자전거 문화로 본 현대 중국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이른 아 침 천안문 광장을 지나는 자전거의 물결이 장관을 이뤘다고 한다. 1960 년대 중국에서 자전거는 재봉틀, 손목 시계와 함께 중국인들이 가장 갖고 싶어 하는 3가지 물건(三大件)으로도 꼽힐 정도로 중국인들에게는 부의 상 징이기도 했다.) 또한 1989년 당시 미국 대통령이던 부시가 부인 바바라 와 함께 중국을 방문했을 때, 리펑 전 총리는 톈진에서 생산되는 중국 내에서 가장 유명한 자전거 상표인 ‘페이거’ 자전거를 시승했던보면 단 한 번의 내리막과 오르막길이 없을 정도로 평탄한 지형을 자랑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산지가 많은 대련 등의 도시에 가 보면 북경, 천진처럼 자전거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중국의 사회주의 제도사회주의 제도도 역시 중국의 자전거 문화 발달에 한 몫을 했다. 80년대 말 또는 90년대 초까지도 중국은 사회주의 제도에 의해 국가나 기업이 개인에게 집을 임대해주는 형식이었다. 그로 인해 당연히 일터에서 집까지는 가까운 거리일 수밖에 없고, 걷기에는 조금 먼 듯한 이 거리에 자전거는 유용하게 사용됐다. 또한 사회주의 제도로 인해 자본 집약 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발달이 열악할 수밖에 없어 자전거가 애용되었다는 주장도 있다.(3) 자전거의 일반적인 장점(저렴한 가격 + 교통체증과 환경파괴가 거의 없음)아직까지 대다수의 많은 중국인들은 자동차를 구입하기 힘든 생활을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이 소유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교통수단이라는 점은 중국인들이 자전거를 즐겨 사용하는 원인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300위안 정도면 좋은 자전거를 살 수 있고 100위안을 밑도는 자전거도 찾을 수 있다.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중고 자전거는 50위안(7천원)에도 거래될 정도)로 저렴한 가격을 자랑한다.또한 자동차가 많아지면서 중국의 이면도로는 물론 북경의 순환로 등 간선도로마저 24시간 상시체증에 시달리지만 자전거는 이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중국의 대도시의 거의 모든 도로에 널찍하게 자전거 전용로가 있는 덕분이고 신호등으로부터 자전거는 자유롭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체시간에는 자전거로 가면 버스보다 1/3 정도의 시간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떠한 연료도 없이 오직 인간의 힘으로만 나아가는 교통수단으로 공해나 소음을 거의 주지 않는 점 역시 자전거의 고유한 장점이다.2. 현재 중국에서의 자전거 이용 현황(1) 실제 자전거 이용 모습 ( 사진자료 중심 )( 사진 1, 2 : 중국의 자전거 도로 )한국에서의 자전거 도로는 인도와 표지판 )?* 자전거 도난문제 :중국에서는 자전거생활이 발달한 것에 비례하여 자전거 도난사건도 매우 많이 일어난다. 그로 인해 최근 정부에서는 방지책의 하나로 모든 자전거를 신고하고 고유번호를 부여받도록 하고 있다. 1년간 약간의 등록비만 내면 우리나의 번호판에 해당되는 자전거 번호를 부여하여도난을 예방하고 설령 분실했다 하더라도 다시 찾을 수있도록 하기 위함이다.그러나 원천적으로 시민 대부분이 신고를 하지 않는데다 붙어있는 번호판도 쉽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제대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사진 8 : 자전거 번호판 )( 사진 9 : 자전거를 도난당하지 않기 위해서... )* 새로운 자전거의 형태 : 전기자전거 판매량의 급증( 표 1 : 전기자전거 판매량 )전기자전거 판매량(단위 : 만대, %)2*************08판매량비중판매량비중판매량비중판매량비중1,218.817.71,950.025.22,137.328.62,188.628.8주 1 : 2008년 비중은 추정 수치임주 2 : 중국통계에서는 일반(인력)자전거와 전기(전동)자전거의 생산량, 판매량 통계를 구분해 집계함.자료원 : 중국자전거협회, 2008년 중국자전거 시장 보고서( 사진 10 : 전기자전거 )자전거는 중국 주민들의 일반 교통도구로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전기자전거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어 2008년 생산 및 판매량은 2000만 대에 달했다. 중국에는 일반 생활자전거 사 용률이 높고 대도시에서는 전기자전거와 지하철에서 도 탑승이 가능한 접이식 자전거가 소비자들의 인기 를 얻고 있다. (2006년 전기자전거 생산량은 1950 만 대로 2005년 대비 60% 증가할 정도로 전기자전 거산업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2008 년 중국 내 전기자전거 보유량은 3000만~4000만 대이고 전기자전거 생산량의 90% 이상은 모두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다. 중국의 전기자전거산업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전기자전거 표준이 통일화되지 않고 관리방법도 예전.7명당 1대를 보유함. 총인구가 1600만 명인 네덜란드의 자전거 보유량은 1700만 대에 달함.) 현재 중국 자전거 사용자는 약 4억5000만 명, 자전거 보유량은 6억5000만 대 가량인 셈이다. 통계에 따르면 중국 그 가운데서도 수도인 베이징시 자전거 보유량은 1300만 대이고 자전거 연평균 판매량은 100만 대를 초과할 정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북경에 이어 중국의 제 2의 도시로 손꼽히는 상하이의 경우, 비동력 차량 보유량은 1000만 대이고 그 중 60%는 자전거로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자전거가 하나의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중국에서도 자전거 보유대수가 95년을 정점으로 감소했었다. 베이징의 경우 10년 전 자전거의 수송분담률이 60%나 됐으나 지금은 40% 이하다. 상하이, 광저우 등 번잡한 도시는 20%도 되지 않는다.)( 표 2 : 중국의 자동차시장 현황 )이에 따라 베이징시는 교통 혼잡지역에서 자전거 통행을 시범적으로 통제하기 시작했고 상하이는 2010년, 즉 올해부터 자전거의 도심통행을 금지할 계획이다. 최근 들어 자전거의 이용이 감소하고 있는 원인을 찾는다면 사회제도가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과거와 달리 국가가 주택을 제공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구입토록 하면서 가정과 직장과의 거리가 멀어져 출 · 퇴근이 불편해졌기 때문이다. 대신 자동차 판매량은 매년 15%씩 증가하고 있다. 중국자전거협회에 따르면 현재 중국 자전거 업종은 조정과 갱신의 중요한 시기에 처하여 있다고 한다.)(표 2) 그러나 네덜란드, 일본 등 일부 선진국은 자전거 전용 도로와 자전거 보관 장소를 확대하기 시작, 자전거 보급을 장려하고 있어서 중국의 자전거 산업은 어둠속에서도 희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자전거 산업 동향)( 표 3 : 2005-08년 자전거산업 공업생산액 및 판매수입 추이 )2008년 자전거산업 공업 총생산액은 681억9000만 위안, 판매액은 671억1000만 위안에 달해 2007년 대비 각각 16.9%, 2008년 주요 수입대상국은 대만, 독일, 프랑스 순이었고 한국은 대상국 순위 12위를 점했다.3. 자전거 문화의 영향(1) 자전거 이색 직업)2003년 말 중국 도시지역 실업률은 4.3%에 달하게 되었다. 즉 약 3,300만 명이 실업자 신세로 지내는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도 심각한 실태에 실업자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게 된다. 이에, 중국에는 여러 이색 직업이 생겨나게 되는 데, 그 중 자전거와 관련 된 직업이 자전거 주차요원이다. 자전거가 많은 중국의 사정을 고려하여 중국의 자전거 주차장에는 자전거만 따로 관리하는, 반듯하게 제복을 입은 자전거 주차요원이 따로 있다. 일반 자동차 주차요원처럼, 자전거 주차요원들은 자전거 주차비를 받고 자전거를 관리해주며 지킨다. 하지만 여기에서 더 나아가 그들은 자전거 바퀴에 바람도 넣어주고 고장 난 부분을 수리까지 해주는 등 각종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한다.( 사진 12 : 자전거 보관 영수증 )2) 자전거족 마케팅)자가용 쇼핑객이 80%에 달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대한상의에서 작성한 ‘중국 유통시장 개방과 진출전략’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할인점 고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28.2%로 1위인 자전거였다. ( 버스 ? 도보 ? 자가용이 각각 22.1% ? 21.8% ? 16.9% 이었다. ) 그래서 중국 유통시장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자전거족을 공략해야 한다는 이색전략이 제시되기도 했다.실제로, 중국인들의 자전거 문화는 실제 구매패턴에도 영향을 미쳐 할인점에 자주 들러 소량씩 구매하는 쇼핑문화가 지배적인 편이다. 대한상의가 할인점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88%의 사람이 1회 방문 시 300위안 미만의 가격으로 구매하며 쇼핑시간이 1시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한상의 관계자는 “국내(한국)기업이 중국에서 할인점을 출점할 경우 자전거 소비자를 공략한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자전거 쇼핑족들을 위해 묶음판매 보다 낱개 판매를 적극 활용하고 주택가 근처에 자전거 있다.
- 리포트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11.04
-
-
-
유한킴벌리의 환경 경영
- 사이트, 청소년 권장 사이트로 선정디지털 날염사업, 제 6회 서울 환경상 수상대전공장, 대한민국 안전대상 수상2003년회사, 지속가능 경영 우수사례 선정회사, 제1회 한국윤리경영 ... 김순택9위SK 텔레콤김신배10위풀무원남승우-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ALL STAR 10위-자료: 2004년 한국 능률협회 컨설팅 선정4) 유한킴벌리의 환경목표환경 에너지 ... .94위유한킴벌리693.45위현대자동차690.36위서울우유684.67위LG화학682.18위삼성생명681.09위CJ680.010위자료 : 2002년 KMA 결과 보고서- 기업 이미지
-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3.09
-
-
-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목 차서 론1.화물 자동차 운송의 개념1) 화물운송의 의의2) 화물운송의 이론3) 화물수송수단별 특성2.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특성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시장 구조2) 화물자동차운송업의 서비스 성격본 론3. 화물자동차운수업의 현황1) 화물자동차운수업의 시장규모2) 화물자동차 운송사업4. 화물운송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 화물운송업의 문제점2) 개선방안결 론화물자동차 운송업은 국민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업으로 지난 30여 년간 고용창출 및 수출증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화물자동차 운송업은 최근 유가상승, 급격한 인건비의 상승과 인력부족의 심화, 과당경쟁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국가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던 물류대란이후 정부 및 학계 등에서 화물 운송업의 문제점 및 향후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많은 토의와 대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무한 경쟁과 세계화라는 새로운 산업 및 물류 환경을 맞이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환경변화에 올바로 대처하기 위해서 화물자동차 운송업은 과거의 전통적인 협의의 수송 업무에서 탈피하여 광의의 물류 업무를 포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아래는 화물자동차의 운송 및 현황,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1.화물 자동차 운송의 개념1) 화물운송의 의의운송이란 사람 또는 물의 장소적 이동 혹은 공간에 있어서 거리 극복의 행위이다. 이 운송의 본질적 내용을 다시 정리해 보면 사람 또는 재화의 이동현상을 일컬으며, 이동은 단순한 자연적 현상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장소적 내지 공간적 거리를 극복해서 이룩해 내는 인간의 행위를 곧바로 운송의 기본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물품의 생산자와 수요자간에는 얼마간의 공간적인 거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장소적 내지 공간적 거리의 극복행위 현상 기능이 운송이다.화물운송은 물류활동에 있어서 물품의 장소적 이동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물류의 중심적인 핵을 이루고 있다. 오늘날과 같이 경제사회에서 생활용품, 소비물품 및 생산을 화물운송수단은 수송단위의 규모, 수송거리 품목 등에 따라 각각 고유의 수송특징을 가지고 있다. 화물자동차와 경쟁관계에 있는 철도는 대량 중형화물수송의 큰 장점이 있는 반면 수송 시간 및 접근성이 떨어진다. 반면, 화물자동차에 의한 공로화물수송은 소량화물의 신속한 수송이 가능하고 접근성이 좋으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최근 생산제품의 다품종 소량화 추세 및 소비자 수요의 다양화, 수송의 신속성 요구로 화물수송수단의 선택에 있어서도 화주에의 접근성, 수송의 신속성, 화물의 취급용이성, 이용의 편리성 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화물자동차에 의한 화물운송은 다른 수송수단에 의한 운송에 비해 소비자의 선택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즉, 화물자동차는 철도 및 해운과는 달리 접근성 및 신속성이 좋아 출발지에서 목적지간의 수송을 비교적 신속하게 완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역, 환적 등 화물취급도 용이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좁은 국토공간상에서 지역 저급성의 향상으로 화물자동차는 도로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화물을 수송할 수 있게 되어 door-to-door의 수송이 가능하면, 소?중량의 화물수송에도 적합하므로 화물자동차운송의 우위는 더욱 크다.2.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특성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시장 구조화물자동차운송시장의 구조는 화물운송시장 전체 규모에 비하여 수많은 영세사업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급하는 서비스가 차별화 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은 독점적 경쟁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차별화 정도는 매우 적어 대체성이 크므로 개별사업자가 직면하는 수요곡선의 기울기는 가파르지 않다.일반적으로 서비스의 차별화가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가격경쟁에 의존하게 되며, 서비스의 차별화가 많은 경우네는 가격보다는 오히려 서비스에 의해 경쟁하게 된다. 그리고 공로수송은 철도, 해운, 항공 등 다른 운송수단과 경쟁상태에 있으며 사업용 화물자동차 운송의 경우 자가용화물운송과 강한 대체성을 나타낸다.2) 화물자동차8% 보다 2%p나 떨어진 반면 중소기업은 동 0.1%p 높아져 대조를 보였는데 이는 물류여건 악화시 중소기업이 가격순응형 내지 시장종속형이 되는 현실이 반영된 때문으로 보인다.ㅇ 기능별로는 운송비(58.3%), 보관비(27.7%), 포장비(11.3%)의 비중에서 운송비가 ‘03년 52.7%에서 5.6%p 급등한 반면 보관비는 ’03년 33.2%에서 5.5%p 줄어들었다. 운송비의 급증은 유가상승과 적기?소량다빈도 운송 증가, 보관비는 적정 재고관리가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ㅇ 또한 기업물류비중 내수 및 수출물류비 비중은 내수부진과 수출호조가 반영되어 수출물류비는 2001년 22.4%에서 2005년 29.6%로 급증한 반면 내수는 동 77.6%에서 70.4%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물류비 절감을 위한 업계의 노력은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위탁 물류비의 비중이 42.9%로 확대된 점은 기업이 물류업무의 아웃소싱과 제3자물류업체 활용을 늘려나가는 측면에서 긍적적이었다. 이외 물류전담 부서 및 물류전산화 등도 2003년 보다 전반적으로 개선되어 물류환경 악화와는 별도로 물류비 절감을 위한 업계의 노력이 지속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 유통물류팀장은 “고유가”라는 직격탄으로 기업과 정부의 물류비 절감 노력이 희석된 점이 아쉽다고 지적하고 물류비 절감 환경이 당분간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정부 차원에서도 물류표준화, 정보화 등 물류인프라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ㅇ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도 중소기업의 물류비 부담완화를 위해 3자물류와 물류공동화에 대한 세제 지원, 화물운송 효율화방안 등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주장하는 한편 물류비지침 보급 확대 및 기업의 물류애로 발굴 등의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언급하였다.2) 화물자동차 운송사업화물자동차운송사업은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화물자동차를 사용하여 화물을 유상으로 운송하는 사업을 말한다. 2002년말 현재 영업용화물자동차는에 없으며, 현재는 1대로 허가를 받을 수조차 없다. 또한 2대 이상, 자본금 1억 이상이며, 주 사무소와 차고지를 구하지 않으면 증차의 제한이 풀려도 사업을 할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국내 운송시장의 일반 화물차량은 전체의 97%가 개별 지입차주로 구성될 수밖에 없는 태생적 모군 구조를 가지고 있다.이런 지입차주들은 법 상 물량을 계약해 개별적으로 운송업을 할 수도 없게 되어 있으며, 물량을 계약하더라도 다른 이에게 알선 할 수 없어 현실적으로 타인이 계약해 알선해 주는 화물밖에는 운송할 수 없는 것이 제정해 노예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법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국 이와 같은 법적 현실은 지입차주들의 경우 현장에서 노동을 하고 그 운송료를 받는 과정에서 다양한 착취와 불합리한 운임구조를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현재 국내 육상운송시장은 운수사업법상 화물운송업과 주선업이 있다. 화물운송업은 말 그대로 운수회사로서 화주와 물량계약을 할 수 있으나 운수회사 자신 명의로 계약한 물량은 운수회사 자신이 속한 자기 명의의 차량만으로 운송해야 하고, 자기명의가 아닌 타 운송사 명의의 차량에게 유상으로 운송을 의뢰하면 다단계에 속하는 불법이 된다.한편 화물주선업은 화물을 알선하는 업의 고급형태로 물량 계약을 할 수 있는 업태이며, 자기명의로 계약된 물량을 각 운송사의 차량에게 알선할 수 있는 형태의 운송사업인데 자신의 주선업 명의로 계약된 물량을 타 주선업자에게 유상으로 운송을 의뢰하면 이 또한 다단계 행위의 불법이다.그렇다면 육상운송시장의 현실은 어떨까? 화물운송업체의 차량은 대부분 자신의 차량이 아닌 지입차량이다 보니 운수외사 자신이 물량을 확보해도 자신에게 지입된 차량은 자사 명의차량은 이미 모두 다른 사업장에서 일을 하고 있어, 타 업체에 의뢰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 타 업체에 의뢰함이 불법으로 간주 되다 보니 화물운송업자가 주선업을 함께 보유함으로 편법을 이용해 운영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모순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화물운송 계약은 운송한 경쟁에서 일찌감치 2차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 지고 있다. 따라서 운송료는 이미 1차적으로 최초 운송비의 20~40% 이상이 대기업 제조사들의 수수료 명목으로 공제한 후 시중 운송시장으로 운송 의뢰 되어 이후 운송료는 열악해 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일반 사채시장과 비교하면 선이자를 무려 40% 띠고 난 후부터 시작되는 불공정한 출발선 상에 놓여 있는 것이다.그렇다면 이런 대기업이 자회사인 운송회사를 설립하려면 얼마의 자본금과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황당한 이야기일지는 모르지만 대기업이 물류 자회사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본금 1억 예치된 통장과 주사무소 만 가지면 주선업체를 보유할 수 있고 그것도 귀찮으면 3백 만원정도면 주선업 면허를 매수할 수 있다.이후 물량은 자회사 물량이 확보되어 있으니 지입차량을 모집할 시 이를 이용해 차량 별도의 프리미엄도 챙기고 수익을 얻으며 만들 수 있는 회사가 바로 대기업 물류 자회사들이며, 회사 자체의 자산은 하나 없이도 가능하다. 여기다 수백 수천대의 차량을 지입받아 장부상 결제는 현금으로 바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운송비 결제는 60~105일 정도 만에 함으로써 수백 수천억을 유용할 수도 있다. 참으로 간단하게 만들고 쉽게 돈을 챙기면서 모기업인 화주기업은 비자금 등을 형성시키는 합법적인 도구로 사용하는가 하면 탈세 등의 창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우리 육상운송시장에서의 물류 자회사 운송 시스템인 것이다.한편 대기업이 물류 자회사 운송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어쩌면 경비를 절감시키려는 대기업의 몸부림으로 볼 수 도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이들 대기업 자회사들이 화물 차량을 직접 매입해 직접 운송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 개별차주들의 지적이다.결국 물류 자회사를 만드는 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자본의 투자도 별반 없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구조는 어쩌면 수십 아니 수백억원의 운송비를 임의로 유용까지 할 수 있는 여건을 정부가 마련해 주고 이다 보니 현재 대기업들은 서둘러 운송시장을 뛰어 들고 있다났다.
- 리포트 | 14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0.12.25
-
-
-
[품질관리] 한국의 품질경영상
- 함으로써 품질경영을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수단으로 확산ㆍ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능률협회컨설팅 - 대한민국경영품질대상 , 대한민국고객만족경영대상“대한민국경영품질대상”은 급변 ... 전자㈜1995 쌍용양회공업1996 대우중공업 종합기계부문1997 현대중공업 조선사업부문, 삼성전관1998 새한1999 인천제철2000 한국중공업2001 기아자동차㈜, 한국OSG ... OSG, 대진침대, 동양매직, 한화종합화학, 대우자동차, 금호건설, 우방1997 금원사, 한일이화, LG MMA, 현대건설, 대우 건설부문, 한국토지공사1998 삼성항공산업 항공
-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12.17
-
-
-
독일
- , 자동차, 자동차 부품 품목에 진출해 있는, 삼성, LG, 현대, 기아 등 한국 대기업들의 경우 각각의 주력 분야에 있어 브랜드 가치 및 상품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덩달아 한국 ... 환경 소형차가 인기를 끌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현대자동차가 몇 배의 판매 증가율을 보이며 폐차 프리미엄의 승자로 꼽히게 되었다.⑤ 독일 진출 시 애로사항○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 ... 한 어려움이 오히려 새로운 도전과 기회가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7. 한국에 진출한 독일 기업① BMW○독일에서 ‘베엠베’로 불리는 BMW는 항공기 엔진에서 오토바이를 거쳐 자동차 분야되었다.
- 리포트 | 2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8.07
-
-
-
80-2000년대 한국 수출특징
- 오늘날 한국의 경제성장“실업자는 노동인구의 25% 1960년의 국민 1인당 GNP는 100달러 이하이고, 전력 산출량은 멕시코의 6분의 1, 수출은 200만 달러, 수입은 2억 달러, 이래서 한국의 경제적 기적 가능성은 전혀 없다. “ [Foreign Affairs, 1960년 10월 평론 中]1950, 1960년대에는 어떤 경제학자도 한국이 이만큼 경제 성장을 이루리라 상상하지 못했다.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에너지원도 없으며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는 짧은 시간 안에 경제대국으로 변모하였다. 1960년대 초반 인구의 40%가 빈곤에 허덕이던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 불과 40여년 만에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의 경제 대국이 된 것이다. 이처럼 한국이 경제적 기적을 이루는 중심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바로 무역이었다.한국 무역의 특징항목명1수출물량지수경공업품의류중화학공업품전기・전자제품반도체승용자동차단위2005=1002005=1002005=1002005=1002005=1002005=1002005=100198813.574.6284.96.52.40.010.6198912.877.7281.56.02.50.15.7199013.879.0243.86.63.20.25.5199114.977.6228.97.83.60.36.5199216.378.4215.19.13.80.57.7199318.681.7203.311.04.20.913.0199421.288.0184.213.04.71.414.7199525.995.2153.716.75.42.323.6199630.4106.5131.420.09.34.130.3199734.8115.4136.823.211.55.634.5199841.5126.5171.528.414.69.337.3199946.5120.4179.034.823.311.942.9200056.1119.0187.245.835.321.948.8200156.5112.5174.446.935.326.047.4200264.0110.6163.456.448. 가까운 일본이나 중국을 보더라도 무역의존도가 년 1~20% 안팎인데 비해 우리는 매년 70%전후를 무역에 의존한다. 그것은 GNP규모에 비해 수출규모와 수입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수출규모가 큰 것은 1960년대부터 추진된 장기경제개발계획과 수출주도형 경제 성장 전략에 의해 수출 공급능력이 늘어났기 때문이며 수입규모가 큰 것은 부존자원이 빈약할 뿐 아니라 경제개발과 국민경제 운용에 필요한 자본재, 원자재, 소비재 등의 대량 수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수출의존도와 수입의존도 모두 높아 결과적으로 무역의존도가 높다.우리나라의 무역은 각종상품의 생산을 위한 주요 원자재 수입이 많고 생산능력의 향상과 기술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계, 기구 등 자본재 수입이 많았다. 즉,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중개무역, 중계무역, 통과 무역 등을 위주로 경제가 발전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한국의 경제는 수출입에 의해 성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출중심의 경제성장계획을 꾸준히 이행해온 결과 세계적인 자유무역의 확대와 지속적인 개방화 정책으로 한국무역의 세계적 위상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한국 무역의 발달 배경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주요한 4가지로서 1960, 70년대의 호의적인 세계경제 환경,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전략의 채택, 정부의 정책적 지원, 기업가 정신의 발현 등을 들 수 있겠다.지금까지 한국의 무역에 대해 개괄하였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하여 뒤에서는 무역을 시대별 지역별로 나누고 좀더 세밀히 살펴 보도록 하겠다.시대별 특징80년대제 1차 5개년 계획 이후 수출과 경제 고도성장을 구가하여 오던 우리 경제는 1980년을 전후하여 큰 위기와 변화를 겼었다. 오일쇼크에 따른 세계적인 저성장 추세와, 세계무역에서의 한국의 지위향상에 따라 국내시장에 대한 개방 압력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80년대 들어 경제정책기조가 안정 성장을 기함과 동시에 시장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민간주도형 경제운용 등으자제품이 지난 1960년대 중반 이후 20여 년이 넘게 한국의 최대수출품목의 자리를 고수해 왔던 섬유류를 누르고1위 품목으로 부상되었다.90년대대내적으로 1987년 이후 원화절상과 임금인상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약화 추이가 전 업종으로 확산되었고 대외적으로는 달러화의 강세에 따른 엔화의 약세로 해외에서 주력상품들의 가격경쟁력이 하락했다. 이에 따라 90년대 초 무역수지는 다시 적자로 돌아선다. 1995년 무역적자가 처음으로 100억 달러 선을 넘어선데 이어 1996년에는 200억 달러를 넘어선다. 이러한 수출의 부진 속에 한국은 OECD 본 회원에 가입하게 되었고 WTO체제의 등장으로 세계는 하나의 규범으로 단일화되고 각 국가는 문한 경쟁에 돌입하게 된다. 계속적인 무역수지의 적자로 1997년 말 한국은 외환위기를 겪는다. 그 해 선진국, 개도국에 대한 수출이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나 대중국 수출 증가에 힘입어 대개도국 수출의 비중이 확대되어 수출시장의 다변화가 진전되다. 중국의 부상과 1997년의 경제위기는 우리 경제 및 수출산업의 근본적인 체질변화를 가져왔다. 과거 우리나라는 일본의 직접투자와 분업을 통해 완제품 수출 위주의 고도성장을 구가해 왔으나 중국의 부상에 따라 일본은 그 투자선을 중국으로 바꾸었다. 이에 우리 수출산업은 중국의 수출산업과 경쟁하면서 일본과도 직접 경쟁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2000년대우리 수출은 2001년 12.7%라는 사상 최대의 감소를 보였다가 2002년 이후 세계경제의 호조와 IT의 경기 회복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2004년에는 처음으로 2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2000년대 들어 주로 신흥시장국과의 수직적 무역이 크게 확대된 결과, 부품소재 등 중간재 무역을 매개로 하여 수출과 수입의 연관관계가 크게 증가했다. 대내외 환경의 변화로 우리 수출산업은 중화학공업화가 가속되어 2000년 처음으로 중화학공업 제품의 수출비중이 80%를 넘어섰고 경공업 제품의 수출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주요국 경제가 무역을 매개로 하여 긴 : 한국무역협회 , KOTIS한국의연도별 교역규모 (백만 달러)수출증가율증가율증가율198429,24519.6199276,6326.62001150,439-12.7198530,2833.6199382,2367.32002162,4718198634,71414.6199496,01316.82003193,81719.3198747,28136.21995125,05830.32004253,84531198860,69628.41996129,7153.72005284,41912.2198962,3772.81997136,16452006325,46514.4199065,0164.21998132,313-2.82007371,48914.1199171,87010.51999143,6858.62008422,00713.62000172,26819.92009363,554-13.9자료 : 외교통상부지역별 특징한미무역1980년대 초반에서 1990년에 이르는 기간의 미국에 대한 수출은 1982년 62억 달러에서 1990년에는 194억 달러로 성장하였지만, 연평균 14.6%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수출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대 후반에 그대로 머물렀지만, 수출대상국 중에서는 여전히 1위였다. 이후 1990년대 초·중반 미국에 대한 수출은 중국의 개방화에 따른 경쟁심화, 원화가치의 고평가 지속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대 초반 미국경제 둔화의 여파로 1991년, 1992년 연속 한국의 미국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였으며, 이 기간 중 미국에 대한 수출 연평균 증가율은 불과 1.6%에 그쳤다. 한국의 수출 중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7년에는 15.9%까지 하락하였다. 그러던 중 반도체 등의 IT붐과 자동차 등의 호조로 2000년 대미수출액이376달러를 기록하여 연평균 14.8% 증가하였다. 하지만 2001년부터 IT버블의 붕괴와 자동차 등의 해외생산 확대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었으며, 2004년 428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2005년에는 413억 달러로 오히려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에 따라 은 중화학제품의 증가세는 2000년대에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전체 비중에서80%를 크게 상회하면서 경공업제품이 10%수준으로, 1차산품은 1%에 못 미치는 비중으로 축소되었다. 특히 중화학제품 중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IT제품의 비중이 전체의 40%를 넘는 비중을 차지하여 대미 수출의 주력 상품으로 부상하였다.한중무역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단절되었던 양국 간 무역은 1979년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하면서 다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홍콩 등을 경유한 간접무역 위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직접무역을 위한 제도적, 물리적 기반이 미비한 상태에서는 불가피한 과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미흡한 상황에서도 양국 무역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간접무역의 경험이 축적되면서 미수교 상태에서도 점차 직접무역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위와 같은 비정규적 조건에서 이루어지던 양국간 무역은 1992년 2월 무역협정의 체결로 인해 변화를 겪게 된다. 이후 8월 정식 국교가 수립됨으로써 그 동안 존재해 오던 많은 장애요인이 제거되거나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제도적 여건의 개선은 물론, 양국간 직항공로 및 해운항로 확대 등의 물리적 여건도 크게 개선되어 한국의 수출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중국 내 직접투자가 증가하면서 관련 설비 및 원자재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990년대 초까지 한국의 미미한 무역파트너였던 중국은 불과 수교 5년 만인 1997년에 한국 총수출의10%를 차지하면서 제 3위의 교역대상국이 되었다. 이로부터 5년 이상 급증세를 지속하던 양국 간 무역은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경제위기를 겪게 되고, 중국경제도 동시기에 불황을 겪으면서 소강상태를 거치게 된다. 특히 1998년에는 처음으로 한국의 대중국 수출과 수입이 모두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2001년 말, 중국이 WTO에 가입하면서 시장의 대외개방이 더욱 진전되었다. 이를 배경으로 한중간의 무역은 더욱 빨리 .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29
-
-
-
SK와이번스 한국 야구를 사로잡다.
- 목 차1. SK의 인사 채용과 조직도2. SK, 야구를 휘어잡다.3. SK, 관중을 휘어잡다.4. 야신, SK를 휘어잡다.5. 결론1. SK의 인사 채용과 조직도1) SK의 인사 채용 과정SK 와이번스의 인사 채용 과정은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다. 먼저 야구단만의 채용 요강이라기보다는 그룹 전체의 채용 방식을 따라서 실시하고 있다. SK 와이번스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대학 졸업예정자 혹은 졸업자로서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하며, 1차 서류심사 이후 2차로 필기시험으로서 SK종합적성검사를 치러야만 한다. 또한 이후에는 면접을 치러야만 한다. 하지만 SK 와이번스는 기타 구단과 다르게 야구단 자체만의 공채를 실시하고 있다. 삼성과 두산 등이 그룹 자체에 입사한 이후 부서 지원을 통하여 야구단에 합류하는 방식을 쓰는 반면, SK 와이번스는 야구단의 결원을 보충하기 위한 자체적인 공채를 실시하고 있다. 2003년 3명의 사원을 뽑았으며, 2007년 마지막 공채가 실시되어 1명의 홍보팀 사원이 추가되었다.SK 신입사원 채용 요강(2010)2) SK의 조직도SK 와이번스 조직구성도2. SK, 야구를 휘어잡다!1) SK 와이번스 장학기금 기탁한국 야구는 그 동안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빠르게 성장했다. 지속된 성장을 위해서 인재육성과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데, 시설 투자 못지않게 인적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하여 SK 와이번스는 지난 해 연말 KBO 제 6회 이사회에서 현대구단(前 현대 유니콘스) 연고지분할 보상금 재 정산으로 확보한 16억 원 중 11억 원을 대한야구협회에 기탁했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대한야구협회는 기탁금으로 발생한 이자수익(매년 3천 여 만원)은 야구 꿈나무 지원금으로 사용하겠다는 계획도 공표했다. 16억 원 중 11억 원을 뺀 남은 5억 원을 인천 지역 리틀야구장 건설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에 있는데, 이미 인천광역시청과 인천광역시 야구협회와 기본적인 추진 방침은 확정한 상태이다. 그 사례로 SK 와이번스는 밀고 당기던' 과정을 생략한 구단이 지급할 수 있는 '베스트 액수'를 제시했다. 앞서 협상에 나선 선수들은 '예상보다 높게 나왔다'는 느낌에 주저 없이 도장을 찍었다. 하지만 이는 철저한 고과 시스템에 따른 것이다. 철저한 고과시스템이란, 1년 동안 경기마다 기록된 고과를 철저하게 반영, 각 선수별로 정확하게 적용했고 이를 고스란히 협상테이블에서 납득시킨 것으로, 흔들림 없이 지켜온 원칙 시스템이다.어쨌든 계약을 마친 선수들에 대한 신뢰도 는 유지해야 한다. 결코 버틴다고 해서 더 많은 금액을 올려줄 수 없는 노릇이었다. 신영철 사장과 민경삼 단장이 나서 진상봉 팀장을 대신한다면 선수들과의 협상창구가 단일화 되지 못할 수도 있었는데, 만일 그렇게 된다면 구단과 선수들의 신뢰는 금이 가는 것이었다.결국 '거짓말 하지 않는 사람, 정직한 사람'이면서 선수들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움직일 수 있는 운영팀장의 노력에 의해 SK는 원칙을 지킬 수 있었다. 시즌 첫 단추라 할 수 있는 협상을 잡음 없이 끝낸 SK의 선수단을 향한 노력은 타 팀에서 본보기로 삼고 지향해 나가야 한다.3) 철저한 선수관리SK 와이번스는 철저한 선수관리로 유명하다. 구단 자체가 SK 와이번스 선수들의 관리나 복지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김성근 감독 또한 성적만 우선시 하는 구단이 아니라 선수들을 제대로 관리?보호할 수 있는 구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 사례로 작년 SK 와이번스는 부상 선수들이 많아 힘겨운 시즌을 보냈다. SK 구단은 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미나미 공제병원과 오사카대학병원 등 국내보다 시설이나 의료진이 뛰어난 일본 병원에서 부상선수들에게 수술, 진료, 재활을 받게 함으로써 빠른 회복을 도왔다.또한 군 입대를 앞두고 있던 SK 와이번스의 투수 채병용은 일본으로 출국해 요코하마 미나미 공제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다.이처럼 군 입대를 앞두고 있는 선수의 수술과 재활까지 철저히 관리하는 SK 와이번스의 철저한 선수관리는 인기몰이만을 위한 마케팅을 펼치는 일부 구단에 좋은 지침이 될 들어가면 한국야구는 물론이고 자기 역량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건강이나 식사 등의 문제도 실시간으로 체크해야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긴다.그 이외에 용병의 문제점들도 관리해야하는데, 대표적으로 용병의 향수병이 가장 큰 문제이다. 아무래도 타국에서의 생활로 인한 향수병은 타국용병들에게 피할 수 없는 불가피한 병이다. 그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그의 가족들을 한국으로 데려와 전문 인력을 투입시켜 한국의 문화를 익히게 하고 적응하게 하는 방법, 아니면 모국이 그리워지지 않을 만큼의 부단한 노력으로 향수병을 잊게 만드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또한 용병에게 부상이 발생하면 미국이나 일본 등 우리나라보다 더 뛰어난 의료체계를 갖춘 곳으로 보내 관리를 받게 하는 등 갖은 정성과 아낌없는 투자를 쏟는다. 위와 같은 지원과 관리를 받게 함으로써 타국의 선수로 뛰는 용병은 구단의 신뢰에 성적으로 보답할 수 있는 좋은 결과를 산출한다.3. SK, 고객을 휘어잡다!1) SK의 홈구장 관중변화 추이아래의 그래프를 통해 볼 수 있듯이 SK 와이번스의 홈 관중 숫자는 2000년 창단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SK 와이번스는 홈경기 관중이 창단보다 10배 이상 증가한 유일한 구단으로 관중의 숫자는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여 팀을 1위로 이끈 2007년부터 전년 대비 2배가량 증가하며 연고지인 인천 및 기타 지역 SK 와이번스 팬들을 야구장으로 끌어 모으고 있다.2) 관중 증가 요인 분석홈 관중의 증가는 승승장구 하는 팀의 성적 이외에도 프런트의 꾸준한 홍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에 우리는 팀의 마케팅 전략을 5가지 정도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1) SWOT 분석① 강점(Strenght)- 차별화 된 마케팅 : 타 구단과 차별화되는 스포테인먼트를 실행함으로써 관중증가와 함 께 정규시즌 및 한국시리즈2년 연속 우승이라는 쾌거를 이뤄냈다.- 우수한 성적 : 2007년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 3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다.- 모기업의 지원 : SK는 스포츠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있다.(4) 스포테인먼트SPORT +ENTERTAINMENT =기존의 스포츠 경기가 가지고 있는 승리 추구적 요소에 엔터테인먼트의 재미 및 흥행 코드를 가미해 관중 위주의 극적인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관객이 먼저 찾는 것이 아닌 구단이 관객을 먼저 찾는 노력을 하자는 부분에 중점을 가한 SK 와이번스 야구단의 마케팅 전략을 함축 하는 용어이다. 스포테인먼트의 전략방향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Player Sportainment : 선수를 통한 스포테인먼트- Place Sportainment : 시설을 통한 스포테인먼트- Product Sportainment : 제품생산을 통한 스포테인먼트- Live Sportainment : 지역밀착을 통한 스포테인먼트① Place Sportainment- 와이번스 랜드 : 어린이 관중을 위해 놀이터, 열차, 벌룬등 와이번스 랜드를 구장 내에 설치하여, 기존 야구만 보러간다는 야구장의 이미지를 탈피, 어린이 관중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내고 있다.아이들은 당장은 야구보다는 놀이에 더 관심을 갖겠지만 야구장은 가고 싶은 곳, 재미가 있는 곳 이란 인식을 심어주어 미래의 고객층을 확보 할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안전요원의 통제 속에 일정 인원이 일정시간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유명 외주업체의 입점 : 베니건스, 파파이스. 스테프핫도그 등 맛있고 유명한 외주업체들을 입점 시켜 관중들의 큰 호응과 관심을 받고 있다. 이 밖에도 자체매점들이 경기장 곳곳에 위치하고 있어 매점을 이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경기장 내부엔 포토존이 설치되어 있어 마치 선수들과 사진을 찍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화장실의 디자인은 표지판부터가 특이하고 산뜻한 이미지다. 화장실 내부도 상당히 깨끗하고 담당직원이 상주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스카이박스 : 야구장 2층과 3층 사이 아늑한 공간에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어식사를 비롯하여 간단한 식음료를 먹으면서 경기장의 뜨거운 함성과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야구는 오랜 시간이 지나야만 했다. 구단은 최대한 산뜻한 분위기를 내기 위해 화이트색상 사용을 늘리고 가슴로고를 ‘Let's go! Green’으로 변경하였다. SK 와이번스는 그린 유니폼을 입고 뛴 경기에서 좋은 승률을 거두었으며 또한 마케팅 측면에서도 연일 대서특필되면서 세계 최초로 시도된 프로구단의 재생폴리에스테르 기능성 유니폼이라는 타이틀을 가져갈 수 있었다.② 문학야구장의 친환경적인 변신과 다양한 이벤트구장에서 운용중인 전기자동차자전거 타고 문학가기 캠페인SK 와이번스는 구장 내에 전기자동차를 구비시켜 와이번스의 교체되는 투수가 이를 타고 그라운드로 들어오게끔 만들었으며, 태양광 집열판, 바베큐존, 잔디 관중석인 그린존의 공사 등의 시설 정비는 물론 쓰레기 분리수거통, 그린스포테인먼트 홍보 코너 등을 운영하고 있다.지난해 SK 와이번스 마케팅의 핵심 구호는 ‘야구장으로 소풍가자!’였다. 가족, 연인들의 나들이 장소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야구장, 볼거리와 놀거리가 있는 야구장이라는 스포테인먼트의 기치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여기에 2010년은 ‘자전거 타고 야구장 가자!’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에너지관리공단과 함께 진행하는 ‘에너지 절약 그린스포츠’ 취지에 적절할 뿐 아니라 야구장이 여가의 연장으로 인식되기에 충분한 구호였지만 실제 관중들의 호응을 이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자전거 타고 오는 관중에게 할인행사, 이벤트 행사 등을 펼쳤지만 이동수단의 변화 및 일상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4. 야신, SK를 휘어잡다!1) 야구의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11월 9일 김승우의 승승장구라는 토크쇼에서 60이 넘은 어떤 남자가 게스트로 출연했다. 그 남자는 선수시절엔 재일교포라는 이유로 반쪽바리 소리를 들으며 차별을 받았고 감독시절엔 11번이나 해고를 당했다. 그러나 지금은 야구의 신이라 불리 우는 남자가 된 김성근이 바로 게스트였다. 이젠 공중파의 토크쇼에 나와 자신만의 가치관과 인생을 이야기할 수 있을 만큼의 명사가 된 김성근에 대해 알이다.
- 리포트 | 1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0.12.12
-
-
-
중국 조선업과 한국 조선업의 비교 회고, 전망
- 중국조선업과 한국의 대응전략 Hanyang UnivHanyang Univ 조선산업 (Shipbuilding Industry) 선체를 건조하고 이것에 기관의 장품을 조립하여 고정시켜서 완성된 선박을 생산하는 것을 고유의 산업으로 하는 산업 . 군함 특수선 상선 여객운송선 화물운송선Hanyang Univ 조선산업의 특징 조선산업 ( Shipbuilding) 기술집약적 수출 전략형 세계가 단일시장 종합 조립업 파급효과 高 수주산업 ( 受注 産業 ) 노동집약적 주문생산Hanyang Univ 중국의 조선업 ( Chinese Shipbuilding Industry)Hanyang Univ 중국의 조선업 역사 ( The History of Chinese Shipbuilding Industry) 19 세기 중반 강남 조선 설립 1980 년대 이후 내수선박 및 수출선 수주를 적극화 1990년대 이후 조선업을 전략산업의 하나로 선정,집중육성 1990 년대 후반 이후 독일 제치고 세계3위의 조선국 2007 년 4월 세계시장 점유율 42.2% 돌파 세계1위Hanyang Univ 중국의 조선산업 기지Hanyang Univ 중국의 조선업 환경( I ) 대규모 조선소 강선을 건조하는 약 267개 조선소 가동 (2004년기준) 비금속 선박 건조 (20개 업체), 레저용 보트 조선소 (20개소), 수리 조선소 (148개사) 거대한 인구 ‘세계의 공장’ 방대한 내수시장 에 따른 대규모 해상물동량 증가 → 곡물 운송 등 해운산업 의 규모 빠르게 증가 낮은 임금 낮은 임금바탕으로 저선가에 의한 가격경쟁력의 확보 → 확보무기로 신조선 시장 에서 점유율 확대에 주력 안정적인 내수시장Hanyang Univ 중국의 조선업 환경( II ) 금 융 지 원 선박금융회사 설립 후 1~5년간은 영업세 면제 6~10년간 영업세 1% 만 납부 국가개발은행은 대출한도 증액 및 대출기한 연장 → 3대 선박제조기지(장삼각, 주삼각, 환발해만) 지원 중국수출입은행은 2004말까지 선박수출자에게 90%지원 국가 전략산업 ‘ 기업소득세 면제 외국기업과의 합작 으로 조선소 또는 연구소 설립 장려 ‘ 외국인 투자 산업지도 목록 ’상 장려사업 지정 → 저속선박 디젤엔진의 크랭크축, 특수선박, 고기능 선박,선박부품 등의 설계, 제조 및 수리 → 적극적 외국인 투자유치 도모Hanyang Univ 중국의 조선산업 기업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 ( CSSC : China State Shipbuilding Co.) 중국선박중공집단공사 ( CSIC : China Shipbuilding Industry Co.) 국방과학기술공업협회 ( COSTIND : Commiss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for National Defence)Hanyang Univ CSSC vs CSIC 1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 CSSC) 上海, 廣州, 九江 지방공사, 지역별로 53개 업체, 기자재업체가 16개 업체, 기타 14개 관계 업체 조선소 滬東中華, 江南, 上海, 外高橋, 東海, 廣州 등 14개 업체 연구소 9개, 자본금 64억 元, 75척223만 GT 로 전체 건조량의 39.6% 를 차지(20 10 년 생산기준) CSSC CSIC 중국선박중공집단공사 ( CSIC) 大連, 西安, 武漢, 重慶, 天津 지방공사 , 지역별로 75개 업체 , 기자재업체 37개 업체, 기타 관계14개 업체 조선소 大連, 渤海, 武昌, 天津, 山海關, 北海 등 9개 업체 연구소 27개, 자본금 95억 元 신조선 124만 GT 로 전체건조량의 22.1% 로 차지(20 10 년 생산기준)Hanyang Univ 조선소 간의 역할 프로세스Hanyang Univ 중국 조선업수출입 현황 1. 생산 2002년 이후 급증, 연평균 증가율 19.1%( 2004 ~20 11 ) 2. 수입 2004년에서 2005년 사이 52.7% 급감 3. 수출 2002년 이후 급증, 2005년 전체 건조물량의 62% 수출Hanyang Univ 중국 조선업 수출 vs 수입 중국 조선산업의 수출입 추이Hanyang Univ 품목별 수출입 현황H 상승 중국 은 200 7 년 처음으로 한국을 추월 (2007년 세계1위) 유럽發 경제위기 로 점차 하락세 한국 은 2010 년 점유율 1 위 재탈환 5 45 40 30 20 10 0 ( %)Hanyang Univ 한국의 3 대 조선 기업 현대 중공업 탱커 , 컨테이너선 분야에 경쟁력 有 해양 플랜트 , 잠수함 등 다각적인 경쟁력을 확보 세계 1 위 조선기업 삼성 중공업 컨테이너선 , 드릴쉽 , FPSO, 해양플랜트 등을 건조 LNG 선에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모기업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빠르게 성장 대우조선해양 탱커 , 컨테이너선 , 자동차 운반선 등 상선 분야에서 두각 특히 LNG, 드릴 쉽 , 석유 시추선 , FPSO 해양 플랜트 등 고난도 의 선박을 건조Hanyang Univ 현재 한 , 중 기술력 차이 중국 조선업의 한계 수주량 기준 2007 년 세계 1 위 , 그러나 주로 건조가 쉽고 가격이 낮은 벌크선 ( 곡물 , 광물 운반선 ), 탱커 위주 내수시장의 수요량을 발판 삼아 LNG 선 건조사업에 투자 - 유럽發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실패 현재 오히려 기술력이 후퇴하여 한국과의 기술 격차는 10~15 년 정도의 차이로 벌어짐 - 高난이도 해양 플랜트 건조 불가 벌크 , 탱커 위주에서 컨테이너 , LNG 선을 건조하는 수준까지 향상 , 좋지 않은 품질 정부의 강력한 정책지원과 풍부한 내수시장을 등에 업고 빠르게 추격 중 . 아직은 리그선이나 드릴쉽 등의 높은 기술을 요하는 선적까지는 미치지 못함 현재 중국의 기술력Hanyang Univ 한 , 중 수주량과 매출액의 차이Hanyang Univ 중국 조선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 2013 년 전망 중소규모의 조선소 통폐합 대규모 국유 기업집단에 투자 집중 소규모 설비 증설 억제 적극적 외국인 투자유치 도모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투자 집중 투자계획 및 전망Hanyang Univ 중국 조선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 2013 년 전망 중국 내수 선종의 종류 증가와 규모 증대 중국 조선산업 생산량의 증가 기술 전망 Add Your Title 중국 한국 - 성장기: 범용선박 도입기: LNG 선 , 해양플랜트 중저기술 및 설비/제품개발 특화 생산 측면: 전체적으로 성숙초기 단계 제품별로 도입기~쇠퇴기 까지 다양 대부분고기술 , 생산공정 및 통합관리에 특화된 상태 (벌커와 대형엔진 제외 ) 특화구조 현황Hanyang Univ 중국 조선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 2015 년 전망 Add Your Title 조선산업의 발전주기상 큰 변화는 없음 중국 생산부문의 변화는 거의 없을 전망 벌커 의 경우 성숙초기 단계 진입 탱커 , 컨테이너선은 성장기 지속 전망 한국 - 2016 년까지 주문량이 채워져 가고 있어 제품구조 , 무역측면의 상황이 현재의 연장 으로 불 수 있음 발전단계의 위상변화 전망Hanyang Univ 12.5 규획으로 보는 목표 및 시사점 목 표 시 사 점 ‘ 세계 조선업 경기를 고려할 때 2015 년 조선업 연 매출액 1 조 2000 억 위안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전 세계적 경기불안이 항공 운송업계에 악영향을 주며 선박 수주량 급감으로 중국 선박업계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임 해양 공정 장비산업이 크게 발전 할 것으로 예상 (12.5 규획 7 대 신흥전략산업 세부 분야 중 하나 . 앞으로 중국 선박업 발전의 새로운 신 성장동력이 될 것임 ) 생산 기술의 현대화와 부품 생산기술력 향상이 가장 큰 과제 연 매출 1 조 2000 억 , 수출 800 억 초과 상위 10 개 기업 중 5 개를 세계 10 대 조선기업으로 육성 해양건설 장비 제조 매출액 연 2000 억 위안 이상 , 세계 20% 이상으로 끌어올림 선박 조립업 매출액 3000 억 위안 이상 , 설비 제조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평균 선적률 80% 이상 제고Hanyang Univ 원가구조(인건비, 원료조달) 우리의 대응전략Hanyang Univ 생산성 비교(가공 공수, 강재 처리량) 우리의 대응전략Hanyang Univ 기술경쟁력은 한국이 설계 , 생산 및 관리기술 전반에 걸쳐 중국보다 이뤄지면서 기술수준이 급속히 향상 우리의 대응전략 · 중국 - 품질수준 50%, 성능 75%, 납기준수 및 선주의 신뢰도 50% · 한국 - 품질 및 성능 100%, 납기준수 및 선주 의신뢰도 95% ( 일본을 100 으로 본 경우 ) 품질 및 성능 기술수준Hanyang Univ EU 의 탄소세 도입 - 기존 저급 선박들의 해체 가속화 ( 일반 선박수명 25 년 , 저연비 선박 20 년으로 단축 ) 기술적인 면 에서 앞서고 있는 한국 이 중국 에 비해 유리하게 적용 될 가능성이 높음 우리의 대응전략 탄소세 영향Hanyang Univ 우리의 대응전략 저기술 선박 , 중국과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 고부가가치 선박건조기술 축적에 사활 대표되는 빅 3 조선은 향후 2 년 반 ~ 3 년 치 일감을 이미 확보 금년 수주 목표달성 도 무난할 것 실례로 대우조선해양 : 기술측면에서 상선은 완벽한 수준 향후 회사를 지탱할 것은 “ 해양플랜트 ” 해양의 특성 : 동일제품이 없다 제품 마다 높은 설계 기술력을 요구 , 설계인력확보 에 집중 투자의 방향 : 조선 , 해양 , 풍력 , 건설 , 금광 , 유전 , 서비스산업 , 여객선건조 등 다양한 방면 에 대한 투자 한국조선 향후 기술발전 , 투자방향Hanyang Univ 한 · 중 · 일 3 국 간 공조체제 구축 R D 자원 정책 방향 산업협력 모색을 위한 대중국 정보 지원 정부 관련 부처 간의 교류 확대 정부의 대응 전략Hanyang Univ (2) 기업의 대응 전략 단기전략 Value-chain 의 차별화 및 역량 극대화 생산성 제고 노력과 기업조직의 효율화 고부가가치 선박의 품질 우위 도모 A/S 등 비가격부분의 경쟁력 제고에 노력 해외 현지공장을 통한 블록 조립 등으로 원가 절감 도모 중장기전략 핵심기술 및 제품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 차별화 모색 생산 및 관리기술의 제고 국제기구를 통한 견제와 협력 업계 공동으로 조선산업의 IT 화 적극 추진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Hanyang Univ 조선소 별 채용 요강H
- 리포트 | 3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10.11 | 수정일 2016.03.03
-
-
-
국내 3대 강관 메이커, 휴스틸
- 국내 3대 강관 메이커, 휴스틸1. 회사 소개휴스틸은 1967년 4월 한국강관이란 사명으로 서울시 문래동에서 설립되었다.1980년에 휴스틸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사우디스틸파이프(Saudi Steel Pipe)를 설립하여 해외진출을 복격화했다.1995년에 대불공장을 2005년에 당진공장을 준공했다. 현재 Saudi Steel Pipe 외에 미국과 두바이에 해외지사를 두고 있다.휴스틸은 KS는 물론이고 JIS(일본공업규격), UL(미국보험협회), API(미국석유협회), DNV(노르웨이 선급협회), LR, GL(독일선급협회), BV(프랑스선급협회), ISO 9001 인증을 받았다. API 5L X-80과 API 5CT Group 3 P-110까지 생산할 수 있다.2. 기술력휴스틸은 2005년에 국내 최초로 첨단 조관설비인 FFX(Flexible Tube Forming) Mill을 도입했다.FFX Mill은 사이즈 변경을 위한 롤교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혔다. 조관 성형성이 뛰어나 고품질강관을 쉽게 생산할 수 있고 다품종소량생산에 적합해 고객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FFX Mill이 생산한 강관은 잔류응력이 적어 2차 가공성이 우수하다. 특히, 고유가에 따른 자동차 경량화 추세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하이드로포밍 제품에 가장 적합한 강관을 생산할 수 있는 조관설비이다.2008년부터는 최신 열처리 설비(Q/T)를 가동하여 OCTG, API P-110같은 고강도ㆍ고부가가치 강관을 생산하여 해외시장에서 인정을 받았다. 또한 품질을 최고로 유지하기 위해 모든 제품을 실내에 보관한다휴스틸은 당진과 대불공장에서 연 80만 톤을 생산할 수 있다.당진공장은 배관용, 송유관ㆍ유정용, 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용 보일러튜브같은 중소구경용 강관을 생산한다.HRSG는 LNG를 주로 이용하는 복합화력발전소의 폐열을 유효에너지로 회수하는 장치이다.당진공장이 생산하는 보일러ㆍ열교환기용 강관의 장점은 첫째, 최신 무산화소둔로 설비로 완전한 노멀라고탄소강은 포스코에서 안정적으로 공급한다.트윈파이프는 싱글관과 비교하여 내마모성이 5배 이상 향상되어 유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일반관은 평균 3개월에 한 번 교체하지만 트윈파이프는 10개월에 한 번만 교체하면 된다.3M 일체형 열처리 특수강관이고 제품경량화(47KG/3M)로 붐안정성도 최고라 대형ㆍ고압장비에 가장 적합하다.국내시장은 좁아 처음부터 해외시장을 겨냥하여 개발했는데 먼저 진입한 독일 ESSAR보다 저렴하여 가격경쟁력도 있다.휴스틸은 내년부터 트윈파이프를 집중 판매할 계획이다.트윈파이프는 중국과 중동시장에서 많이 팔린다. 휴스틸은 1차로 SOC투자가 활발한 중국 시장에서 두 자리수 이상의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다.4. 안국헌 상무 인터뷰인터뷰 일시: 2010. 9. 29일 장소: 서울시 대치동 휴스틸 본사안국헌 상무는 지난 1981년 휴스틸에 입사한 30년 경력의 철강인이다. 1995년까지 원료구매ㆍ판매기획 팀장을 지냈고 2000년까지 유통ㆍ판매관리ㆍ원료구매 팀장으로 일했다. 2006년부터 지금까지 구매ㆍ해외영업담당 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올해 수출 목표는 얼마입니까올해는 14만톤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20만 톤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업계 전반적으로 최근 수출이 부진한데 원인은 무엇입니까?2008년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미주시장이 올해 상반기까지 회복되지 않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남미시장은 블록화되고 있고 관세장벽도 높습니다. 중동과 아프리카시장은 덤핑판정으로 미국수출이 막힌 저가의 중국산이 밀려오고 인도산도 시장 진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내년 수출전망은 어떻게 보십니까시장사이클 변동이 심하여 년 단위로 전망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습니다.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은 더블딥 우려도 있어 내년에도 상당히 불투명합니다. 미국 경기가 나빠지면 그 영향이 유럽과 중동으로 순식간에 퍼집니다. 내년에도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봅니다.미주시장은 어떻게 공략합니까덤핑판정을 받은 중국산을 수입하던 업체를 공략하고 있습니다. 현재한다는 자세로 대리점이나 거래처에 열정을 갖고 뛰고 있다. 생산경험이 풍부한 엔지니어 출신도 영업팀에 보강하여 고객에게 폭넓은 기술정보를 제공하여 거래업체가 깜짝 놀랄 정도이다.조 이사는 “휴스틸의 열정과 인간적인 신뢰관계는 경쟁사도 벤치마킹할 정도이다”라고 공개했다.덕분에 휴스틸은 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여파로 발생한 극심한 불황을 이겨내고 올해 들어 큰 매출신장을 기록했다.올해 상반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은 2,458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하여 51.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7억 원으로 흑자로 돌아섰고 당기순이익은 200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동기 대비 무려 759%나 증가했다.건설, 플랜트, 인발강관메이커, 엔지니어링사 등 기존거래처 외에 트윈파이프, 토션프로파일같은 신규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입하여 매출을 확대하고 있다.조 이사는 “고객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주, 대구, 부산영업소를 모두 확장ㆍ이전하였다. 쾌적한 환경에서 거래처를 맞이할 수 있다. 고객도 만족하고 휴스틸 거래처의 자부심도 크게 높아졌다”라고 공개했다.그는 “품질과 가격만으로 승부할 수 없는 것이 영업이다. 가격 외적 요인이 더 크다”라고 피력하며 “영업은 종합예술이다. 영업부 직원의 열정과 헌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라고 역설했다.조 이사는 “이번 철강전시회에 많은 고객이 휴스틸 전시관을 찾아 주셔서 감사하다”라는 말로 인터뷰를 끝냈다.6. 김수남 영업1팀장 인터뷰인터뷰 일시: 2010. 9. 29일 장소: 서울시 대치동 휴스틸 본사대리점과 유통 판매를 책임지고 있는 김수남 팀장은 올해로 철강 경력 20년의 베테랑이다. 그는 품질보증, 기획, 실수요영업, 영업지원팀장 등을 두루 거치고 올해 초 영업1팀장으로 발령을 받았다. 영업1팀장은 대리점과 유통 판매점을 포함하여 모두 100여 개 이상의 거래처를 책임지고 있는 막중한 자리이다.그는 “정확한 납기와 신속한 대응은 영업의 기본이다”라고 전제하며 “우리는 거기에서 더 나아가 고객을 모시는 영업, 찾아가는 실을 다지겠다. 외형보다 품질과 신뢰를 구축할 단계이다”라고 공개했다.황 팀장은 “강관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두 배 이상 초과했다. 강관파일의 경우 올해 2개사가 더 진출하여 모두 10개사가 경쟁한다”라고 소개하며 “제살깎아먹기같은 국내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다. 치열한 경쟁속에서도 적정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힘들다”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강관시장은 앞으로 정리ㆍ합병같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라고 그는 덧붙였다.앞으로 영업2팀은 경쟁사와 차별화를 위해 건설기계, 자동차 등 전략 시장을 발굴, 이에 주력할 예정이다.황 팀장은 ‘2010 국제철강 전시회’에 선보인 Torsion Profile에 기대를 걸고 있다. 그는 “반응이 좋아 내년에는 적용차량이 늘 것이다. 앞으로 자동차부품시장의 대세가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영업2팀은 내년에는 트윈파이프를 집중 판매할 계획이다. 황 팀장은 “트윈파이프 시장은 Torsion Profile에 못지 않은 블루오션이다”라고 밝혔다.그는 “영업2팀의 강점은 기술영업이다”라고 소개했다. “엔지니어 출신을 보강하여 성형ㆍ용접ㆍ열처리 등 기술영업으로 실수요 고객에게 다가가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건설기계와 자동차파트는 생산경험이 많은 직원을 배치했다”라고 공개했다. 또한 황 팀장은 “영업2팀은 의욕이 넘치는 젊은 직원이 많다. 젊은 직원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경험부족은 노련한 파트장이 적절하게 가이드하여 신구조화를 이루었다”라고 설명했다.평소 황 팀장은 팀원에게 세 가지를 강조한다. 첫 번째는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다. “고객에게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만 고객이 마음을 연다. 제품만 팔지말고 인격을 팔아야 한다”라고 그는 강조한다.둘째는 '세 사람이 걸어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三人行必有我師)'는 의 구절이다. 이는 황 팀장의 선친이 강조했던 말씀이라고 한다. “자신보다 훨씬 못한 사람한테도 배울 수 있어야 한다”라고 믿는 그는 고참이라고 해서 경력으로 후배를 억누르지 말고, 경쟁사도 존중하고, 메이커직원이라고 해서덧붙였다.강 소장은 평소 ‘지역밀착형 영업’을 강조한다. 시황이 나쁜 상황에서는 단가경쟁보다는 그동안 쌓인 신뢰관계가 힘을 발휘한다는 것이 그의 영업 지론이다.“거래처가 성공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생각으로 영업을 합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본사도 발전할 수 있습니다”라고 강 소장은 믿는다.강승태 소장은 1991년에 휴스틸에 입사한 올해 20년 경력의 베테랑이다. 본사 영업2팀과 대불공장을 거쳐 2001년부터 호남영업소에서 근무하고 있다.10. 전국 대리점 목록상호대표자주소전화번호팩스번호금석철강㈜남영대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60-25 에이스하이엔드타워6차 311호02) 892-7171(代)02) 892-7172세계철강㈜김영석서울시 금천구 시흥3동 955-1002) 892-330302) 806-3305원일철강㈜조형련서울시 구로구 오류동 119-102) 2681-155102) 853-1331조일철강㈜조경식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108-6 유창빌딩 2층02) 2058-002602) 2058-0029㈜대양철강엄흥수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 117-8 예일빌딩 307호02) 2236-885102) 2236-8850㈜대양파이프이종길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65-8502) 845-881102) 842-8811㈜대화파이프김장규서울시 양천구 신월1동 139-402) 2691-029702) 2691-0298㈜삼영배관상사장만의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0-15 안성기계공구상가 B동 105,109호02) 2671-456702) 2637-3877㈜세진에이치앤시이종선서울시 광진구 중곡1동 252-702) 497-6600(代)02) 497-8615㈜찬호철강박재효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3가 46 이앤씨 드림타워 403호02) 2654-000502) 2628-0005㈜한양파이프유용선서울시 양천구 신월3동 199-302) 2691-999802) 2691-9997㈜형제파이프이수웅서울 금천 시흥 966 중앙철재상가 19동 106호107호02) 894-289502)805-9657㈜혜전상사여재환서울시 종로
- 리포트 | 1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0.10.11
-
-
-
포르쉐 국제 경영, 마케팅 사례 분석 - 기업소개, 마케팅 4p stp swot 분석, 경영분석
- PORSCHE Global Management - corporate strategy , Marketing strategyPORSCHE Global Management - corporate strategy , Marketing strategyPORSCHE는 독일의 자동차 100% Hand Made 제조 회사. 세계 10대 명차 Motor Global Brand 기업개요 o 국가 / 업종 - 독일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o 설립자 / 본사 - 페르디난트 포르쉐 Ferdinand Porsche (1875-1951) / 독일 슈가르트 o 총자산 / 매출액 - 1900억 2500만 달러(2009) / 매출액 1500억 3000만 달러(2009) - 08년에 모두 5천 5백 8십만 대의 자동차를 판매. - 09년에는 전세계에 판매된 모든 차의 25 퍼센트를 판매 점유율. o 직원 현황 - 본사 2,000명 / 해외 1,500명 (2009.12 기준) o 주요모델 – 파나메라, 카이엔, 박스터, 911 카브리, 911 GT 등ABOUT PORSCHEo ABOUT HISTORY ( 창업자 페르디난트 포르쉐 Ferdinand Porsche (1875-1951) ) - 1875년 : 보헤미아에 속해 있던 마페르스도르프에서 태어난 포르쉐 박사는 어려서부터 전기기구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으며 전기기계 제작소의 조수로 일을 시작 - 1899년 : 마차제조에 이어 전기 자동차를 만들어 유명해진 야콥로너사시 험부서의 지배인 자리에 앉게 되고 여기서 포르쉐박사는 전기 및 전기 휘발유 겸용차 개발 참여 - 1990년 : 열린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그가 만든 전기 자동차가 큰 찬사를 받았다. - 1909년 : 포르쉐 박사는 설계자 위치가 아닌 직접 만든 차를 몰고 경주에 출전. - 1948년 : 포르쉐박사의 아들 페리 포르쉐는 아버지와 칼 라베의 조언을 받아 폴크스바겐 의 부품을기초로 설계한 최초의 포르쉐 356을 선보였다. - 1952년 : 포르쉐 356의 성공을 직접 목격하지못하고 세상을 1위2009.10 한국소비자포럼 선정 '2009 올해의 브랜드 대상'2009.10 한국표준협회 선정 '한국서비스품질지수 1위ABOUT PORSCHEABOUT PORSCHEABOUT PORSCHE[신뢰경영][현장경영][투명경영]의 3대 경영방침을 통해 5대 글로벌 전략을 착실히 실현. [신뢰경영] - 실천함으로써 인간 존중의 정신을 토대로 생산적 노사관계와 상하간 신뢰관계를 더욱 공고히 함과 동시에 고객 및 사업파트너의 기대와 믿음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현장경영] - 고객의 만족과 직원의 일하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경영 역량을 생산과 판매 현장에 집중하여 현장 중시의 풍토를 정착시키며 '품질과 서비스 최우선'의 정신을 구현하겠습니다.[투명경영] - 실시함으로써 모든 업무를 투명한 기준과 글로벌 스탠다드에 따라 처리하고, 사업 파트너와는 상호 공정한 거래 관계를 유지하여 존경 받는 기업으로서 거듭.ABOUT PORSCHE▣ 경영실적 매출액은 2008년 약 7천억원이며 영업이익은 5천억원에 이른다. 1998년 국내 최초로 국민주 방식을 통해 일반에 공개하였으며 외국인 투자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명실상부한 세계적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음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2008년 7천억원의 수출과 순이익 5천억원 기록, 2010년 국내 1위의 BRAND로 자리하고 있다▣ 경영실적 국제수준의 품질 경영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1993년 10월 ISO9002 인증을 최초 획득하였고, 1996년 1차 재 인증, 1999년 2차 재 인증을 거쳐 2002년 7월에는 ISO9001:2000 규격으로 인증을 전환하여 3차 재 인증을 획득했다. 1997년 9월에 최초 인증을 획득하여 제품의 품질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국제 수준에 맞는 환경 경영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난 1996년 7월 최초로 인증을 획득한 ISO 14001에 대한 재 인증 심사를 통과했다. 이것은 환경 경영 체제가 적절성, 운영의 효율성, 이행 상태 등 전 부문에 걸쳐 성숙기명 브랜드 국내 진출-현지인들의 구매심리 파악부족-세계적인 히트상품 부족-소비자 인식 부정적 심리 생김-중국과 인도 시장의 확대-북미시장 내 브랜드 이미지 상승 (북미 2009 올해의 차 선정)-동일 성능 대 저가 경쟁력으로 타업체 합리적 구매욕구 충족- 'BIG 3'의 판매와 점유율이 떨어지는 틈을 도요타가 파고 듬-원화값 하락으로 미국 시장 점유율 높일 수 있는 기회-소형차시장 입지가 일본 브랜드에게 유리-미국 정권의 자국 자국브랜드 구제책(고환율)-FTA 자동차부분 재협상으로 인해 북미 자동차 시장의 축소가능성-BIG3 조기회생을 위한 보호무역 강화 가능성-일본 브랜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도요타 차 공략 저지-원화값 하락이 계속되리라는 보장 없음-딜러 등 판매망 확충 등을 구사하며 판매 확대S자동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의 개성, 소득수준, 라이프 스타일, 직업, 교육수준의 요인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P더욱 공격적인 마케팅과 차별화된 프리미엄 전략, 뛰어난 기술력으로 한층더 업그레이된 고급화를 구축하여 도요타, 벤츠와 같은 고급 브랜드 자동차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포지셔닝T최근 경기침체로 SUV,대형차 시장이 줄어들고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연비가좋은 중,소형차를 중심으로 젊은 층을 타겟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 이미지쇄신placeproductpricepromotion- 생산 유연성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통해 수요가 소형차공급확대 - 신 제조 기술 개발 및 차세대 차량의 생산 기술력 향상 - 글로벌 생산체계의 안정화 및 생산 공장 경쟁력 확보 - 해외공장은 탄력적 공장운영과 효율성 향상위해 자립형체제구축고품질 고급브랜드 이미지 변신노력 아직까지 동일성능대(렉서스, 벤츠 등)에 비해 가격차이 전세계 매출 1위, 점유율 1위 브랜드 이미지 고급화 인정- 품질 못지않게 유통망이 중요 - 현재 전역에 620 여개 딜러망 보유 ·인센티브를 높이고 딜러 협의체와의 긴밀한 과계유지 ·딜러의견 적극 수용하는 노력 ·딜러 수를 늘리기보다는 질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중요시소유주가 1 사업조직간의 정보, 자원, 그리고 직원의 이동이 조직적이지는 않다. 그래서 전 임직원들은 분권화를 통한 직무의 구체화(business-specific focus)가 기업이 이룩한 최근 성공의 핵심 요인이라고 설명한다. -지식경영체계 'Happy Way'라는 독특한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다. 즉 '인간은 남녀를 불문하고 좋은 일, 창조적인 일을 하기를 원하고, 이에 상응하는 환경에 놓이면 누구라도 그렇게 한다'는 신념에 기초로 Happy Way는 창립일부터 현재까지 일관되게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이다.-COP(Community Of Practice) 먼저 COP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실행공동체라고 번역이 되는데, 실행공동체란 공통의 목표달성을 위해 공통 관심사, 경험 및 정보를 공유, 교환하는 일단의 사람들로서 구성된 비공식적 모임이다. 실행공동체의 예로는 음료수 가판대 주변에서 비서들이 서류정리 요령들을 서로 알려 주는 모임부터 사내 파티를 책임 맡은 종업원들의 비공식적 모임, 술좌석에서의 비정규적, 비공식적인 대화, 골프회동, 점심식사 장소에서의 대화, 각종 고객관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판매담당자 및 기술자들의 모임, 벤처 아이디어들을 토의하는 비공식적 포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실행공동체가 공동체로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특성들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한다.실행공동체로서 의미를 갖기 위한 세가지 특성 상호참여 (Mutual engagement) 공동의 기업 (A joint enterprise) 공유된 지식의 축적 (A shared repertoire)정예 주의 인적, 물적 자원의 낭비가 없는 날렵한 조직의 구축을 위해 정예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전 직원의 전문 인력화를 통해 전문지식을 갖춘 관리자의 양성 1인당 생산성, 1인당 당기순이익(국내 업계 중 1인당 생산성 1위, 10년 기준) 국내 최고의 역량있는 인력으로 인정받음 가점주의 인사정책 능력에 따라 출장소와 지점의 영업점장을 직급에 관계없이 배치 영업점장질적 대책 마련 개인적인 보상 보단 팀 인센티브성과급/승진/보상인재평가제도의 핵심은 성과와 역량 관점의 “인재 Portfolio별 인사관리”로 변화하는데에 초점을 둠 고객, 도전, 정직, 인재로 표현되는 4가지 핵심가치는 직원의 의사결정 및 행동의 기준이 되는 척도 리더십역량으로 핵심가치와 전략에 따른 리더십역량을 전략적 의사결정, 비전제시, 성과지향, 부하육성, 혁신주도로 정의 직무역량으로 전무가 집단의 양성을 목표'총보상(Total Rewards)' 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금전적 보상인 임금을 포함, 직원에게 경제적인 안정, 사회활동, 자기계발 욕구충족 및 육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임직원이 보다 안정적인 삶을 누리고 직무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성과주의 문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높은 성과에 대한 높은 보상을 실시 조직/개인의 성과에 연동되는 Variable Pay로 운영하고 있다.선택적 복리후생제도를 국내최초로 시행하여 회사의 일방적 지원이 아닌 개개인의 필요에 기초해 자유롭게 복지후생 혜택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연간 주어진 한도 내에서 개인이 자유롭게 선물, 콘도, 자기계발, 문화생활 등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개인연금 지원 의료비 지원 경조사 지원 동호회 활동지원 주택대부 지원 학자금 지원문제점문제점과 개선방안개선방안교육방법적 측면 : 업무에 쉽게 응용할 수 있으며 사원들의 흥미를 이끌어 자연스레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새로운 형식의 교육이 필요 제도적 측면 : 사원들을 위해서 각자의 역량 내에서 더욱 세분화 하여 각 직원의 직무에 따른 교육 로드맵을 제시 교육데이터 측면 : 교육을 제공하는 강사에게 교육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기재할 것을 의무화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책임감과 준비성을 높이게 유도. 또한 직원들에 교육에 대해 만족도를 의무적으로 기재하게 함으로써 교육 평가를 통해 교육의 계속되는 개선을 유도.협력의 문화활용.창의성 활용직원옹호자, 행정전문가로서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은 높으나, 변화역량과 조직의w}
- 리포트 | 7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0.08.21
-
-
-
해양플랜트 응용을 위한 무선통신집적회로 개발
- 해양플랜트응용을위한무선통신집적회로개발1.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의 융합산업IT융합포럼2008년 6월 자동차, 조선, 의료, 섬유, 건설 등 6개 분야로 시작 하여 2010년 IT융합 전략사업이 기존의 6개에서 국방, 에너지 조명, 로봇 등 4개 분야가 추가되어 10개 산업분야로 확대 되었다.해양산업에서도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을 접하는 융합사업을 추진하여 핵심 분야의 해외 기술 의존도가 높은 선박, 해양IT분야에 해양공학 기술과 IT의기술의 육상 플랜트 제어계측ㆍ자동화 기술을 접목해 기술적 시너지를 창출해 나간다.ㆍ해상에서 정보 수집을 위한 위성통신ㆍ해양플랜트 내에서의 무선네트워크ㆍ선적 화물 관리를 위한 RFID 시스템ㆍ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 레이더센서석유 시추선FPSO기타 해양 플랜트< 해양플랜트 + IT융합 >2.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2.1 RFID란?ㆍ무선인식 태그의 유일성 식별을 판독하는 시스템(KSA 한국표준 협회)ㆍRFID는 배터리의 사용 유무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분류됨ㆍ국제 표준인 ISO/IEF 1800-?에 의해 사용주파수를 비롯하여 air-interface에 대한 표준을 확인 할 수 있음ㆍ국내에서는 현재 바코드를 대체하기 위한 900MHz 대역의 RFID가 주를 이루고 있음ㆍ433MHz를 이용한 RFID의 경우 항공, 항만 등의 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기술로 활용 되고 있음ㆍRFID 기술의 고도화를 위하여 리더와 태그 간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설치 환경 및 안테나 기술, 태그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대한 보호,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 등이 연구되어 적용되고 있음2.2 기술배경능동형 RFID 기술을 이용한 항공/해운 화물 보안유구ㆍ911 테러 이후 항공/해운/공항 등에 관리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보안ㆍ미국 자국 내로 들어오는 화물 컨테이너에 대한 RFID 태크 부착을 의무화ㆍ미국 [SAVI]사 등에서 능동형 RFID제품 판매 독점구분199719*************82012증가율/년세계전체171.8187.9218.5301.4392.1491.173%아시아전체79.883.799.3145.1193.1249.77.9%중국29.231.637.951.466.583.97.3%아시아비중·46.4%46.6%45.4%48.2%49.3%50.8%-2.3주요연구 수행과제항목결과물보유기술비고소액지불 RF-ID무선카트 및 단말기 핵심모듈 개발(2002.3.1~2004.2.28)2.45GHz 수동형 리더 및 태그ㆍ2.45GHz수동형 RFID Tag 설계기술ㆍ2.45GHz 수동형 RFID 리더 설계기술ㆍ2.45GHz 무선전력전송기술구정통부Slim 트랜스폰더 마이크로파ID기술개발(1999.6.1~2001.5.31)5.8GHz 수동형 리더 및 태그ㆍ5.8GHz 수동형 RFID Tag 설계기술ㆍ5.8GHz 수동형 RFID 리더 설계기술ㆍ13.56GHz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구산자부UHF RFID 기술개발(2004.3.1~2006.2.28)433MHz 능동형 리더 및 태그ㆍ433MHz 능동형 RFID Tag 설계기술ㆍ433MHz 능동형 RFID 리더 설계기술구정통부UHF & 2.45Gz이중대역 RFID리더(2005년)900MHz/2.45GHz 이중대역 RFID 리더 Front-end moduleㆍ이중대역 RFID 리더용 RF front-end화로 설계 및 제작 기술ㆍ이중대역 RFID리더용 핵싱 부품 설계 및 제작 기술구산자부3. 레이더센서3.1 레이더란?ㆍ레이더(Radio Detection And Ranging)는 송신기에서 보내진 초고주파 신호가 원거리 표적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된 신호를 수신기로 검출하는 원리ㆍ표적과의 거리는 신호의 왕복전송시간에 의해, 속도는 되돌아오는 신호의 도플러 천이에 의해 얻을 수 있음ㆍ레이더의 종류는 크게 되풀러 레이더, 펄스 레이더로 나눌 수 있음ㆍ초기 레이더 기술은 군용 레이더 시스템, 공항감시, 해양항해, 기상 등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자동차 충동방지 센서, 자동출입문을 위한 RF센서 등으로 응용하여 사용되고 있음3.2 레이더 종류펄스 방식송신한 펄스 신호와 목표물에서 반사해서 온 펄스 신호와의 시간차에 의하여 거리를 검출2주파 CW방식도플러 레이더의 일종이며, 2 가지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얻은 2가지의 도플러 정보를 바탕으로 목표물까지의 거리 및 상대속도를 얻는 방식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심각파에서 주파수 변조된 송신 신호와 대상물에서 반사된 수신 신호를 믹싱하여 얻어진 신호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물까지 거리와 상대속도 검출잡음 레이더(Noise Radar)기존의 CW, FMCW방식과는 달리 전송 신호로써 잡음 사용하는 랜덤 신호 레이더의 한 형태로써 랜덤 전송 신호에 의해 기존 방식에 비해 외부 간섭신호에 강하며,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한 방식3.3 기술동향과 연구개발 내용크레인 충돌방지를 위한 레이더센서ㆍ24GHz 크레인 충돌방지 레이더센서 현장 시험 : 높이 10m에 센서(B) 설치ㆍ천장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공장내부에서 시험레이더센서 측정 환경크레인 접근에 따른 알람 동작크레인 충돌방지를 위한 레이더센서ㆍ24GHz 크레인 충돌방지 레이더센서 거리측정ㆍ2~80m 까지 레이더센서 인식거리 측정국내국외ㆍWADECO(일본):MWS-CAS-2A/B-24GHz 대역 크레인 충돌 방지 센서-감지거리 : 80mㆍ텔트론:TMSM100-1500-X-Band 움직임 감지용-감지거리 : 25mㆍHOKUYO(일본):MBF-26/23-24GHz 대역 크레인 충돌 방지 센서-감지거리 : 50mㆍBIRCHER(스위스):MARS-24GHz대역 자동 출입문-감지거리 : 2.5mㆍ리소텍 : LSS-024GA-24GHz 대역 자동 출입문-감지거리 : 2.5mㆍM/A-COM9(미국):SRR sensor-24GHz 대역 차량 충돌 방지, 60m감지< 기술 동향 >4. 결론ㆍ2008년 ITTKS업 융합포럼을 통하여 IT기술과 조선이 결합된 조선+IT과 같은 국내 주력 산업과 IT의 융합 안 마련ㆍ해양 플랜트사업과 접목 가능한 IT기술들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ㆍISO/IEC 18000-7을 국제 표준으로 하여 화물용 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RFID 기술 확산ㆍ군용 및 항공, 선박 등에서 이용하던 레이더 기술이 점차 확대 되어 자동차용 충돌방지, RF센서 등으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음ㆍRFID 및 레이더 기술의 활용이 높아 짐에 따라 현재CMOS 기반의 집적화된 RFIC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상용화 되어 양산 되고 있는 추세임5. 느낀점전자부품 연구원에서 근무하시는 김진섭 강사님이 오셔서 해양플랜트 응용을 위한 무선통신 직접회로 개발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 주셨다. 먼저 강의를 하시기 전에 해양플랜트와 IT기술과 어떤 연관성이 있느냐는 의문을 먼저 해결해 주시고 강의를 해 주셨다.해양플랜트와 IT기술이 협력되면 선박을 비롯한 해양산업에 IT융합의 ‘스마트 해양’시대가 올 것이라고 설명해 주셨다.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의 협력은 해외 기술 의존도가 높은 선박, 해양 IT분야에 육상 플랜트 제어계측,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기술적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1.07.20
-
-
-
그린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전망
- ※그린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전망 (요약정리)◈그린에너지의 정의태양열ㆍ풍력ㆍ바이오매스ㆍ지열ㆍ조력ㆍ해양 에너지 등 대체에너지를 말한다.즉,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석탄을 액화·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지열에너지, 수소에너지이다.◈그린에너지의 추진 배경첫째는,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둘째는, 에너지 및 환경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다.셋째는, 새로운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넷째는, 글로벌 친환경 수요에 대응이 필요하다.◈한국의 그린에너지 산업의 현황①태양광: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②바이오: 태양광을 이용하여 광합성되는 유기물 및 동 유기물을 소비하여 생성되는 모든 생물 유기체의 에너지를 바이오에너지라 함③연료전지: 연료의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④수소: 수소는 산업용의 기초 소재로부터 일반 연료, 수소자동차, 수소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분야에 이용가능◈해외의 그린에너지 산업의 현황①일본: 저탄소사회를 국가비전으로 제시하고 후쿠다 비전은 20년까지 CO2를 현재대비 14% 감축②미국: 신에너지경제 실현으로 미국의 에너지 독립 달성③영국: 저탄소 환경친화적 제품·서비스 생산을 통한 경제성장 추진④E U: 온실가스 규제 등 강력한 환경규제로 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외국기업의 진출 봉쇄를 통한 녹색시장 선점 추진⑤중국: 재생가능에너지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 촉진⑥방글라데시: 주재국 에너지 전체소비에서 재생에너지 사용비중은 60% 정도이며, 농촌을 중심으로 바이오매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그린에너지 산업의 발전 전략①유망분야를 전략적으로 선정한다.②시장지향형 기술을 개발한다.③시장창출을 지원한다.④인프라를 구축해 나간다.◈그린에너지 산업의 전망그린에너지 산업은 거대 성장 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미국 캠브리지 에너지연구소는 지열, CCS, 태양광 등 인프라 구축⑩ 핵심녹색기술 연구센터 육성, 기후변화 대응 특성화 대학생 육성지원 등을 통한 핵심 녹색인재 양성(8) 녹색국토·교통의 조성① 저탄소 녹색성장 지향형 신그랜드 녹색 국토공간 구축- 환경과 경제가 함께하는 자원순환형 녹색국토 가치를 정립하고, 4대강·새만금·연안지역 등 녹색 지역거점을 확대- 초광역 자원순환형 지역개발을 추진하고, 한국형 녹색도시개념을 정립, 기존도심 재생 및 탄소중립형 신도시 개발- 국토공간의 기후변화 대응능력 강화로 안전한 녹색국토 구현② 보호지역 관리기반 마련, 도시내 다기능 생태공간 확충 등 생태공간의 양적·질적 향상 도모- 국내 및 국제보호지역(람사르 습지, 습지보호지역 등) 확대- 복개·훼손하천 복원, 시민참여 기반의 저탄소 녹색림 조성,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으로 생활체감형 생태공간 조성- 생태현황지도 등 정보기반 마련, 계획기법·제도 개선 등 생태공간 확충을 위한 기반 구축③ 인증·등급체계 개선 및 건물용도별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을 통한 녹색건축물 확대- 에너지효율등급 및 친환경건축물 인증제 적용대상 확대, 전문가 양성 등 녹색건축물 활성화 기반 조성-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하고, 금융·세제 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으로 자발적 확산을 유도- 공동주택, 공공청사, 학교, 복지시설 등을 녹색건축물로 조성④ 철도, 해운 등 녹색교통수단으로서의 전환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로 녹색교통체계 구축- 고속철도 조기 개통, 철도 복선화 및 전철화, 연안수운 활성화 등을 통해 친환경 녹색교통수단의 이용률 제고- 교통수요관리, 환승·연계시스템 강화, 지능형 교통체계(ITS) 고도화 등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저탄소 그린포트 구축, 물류공동화, 녹색물류인증제 도입 등 물류비 절감 도모 및 녹색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⑤ 생활 속 녹색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 활성화- 자전거의 위상을 교통수단의 하나로 확립하고, 자전거 이용 문화 확산 기반을 마련- 공공임대자전거 도입, 대중교통 연계시스템 구축 등으로 언제 어디서나(Ubiquitou부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 시작하여 '88년부터 대체에너지개 발촉진법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기술 개발하였으며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이 동 분야 유일 재원임: 기술개발 동향은 1999년까지 바이오에탄올, 메탄가스화 기술개발 위주로 추진되었 으며 1990년대 이후 LFG 이용기술, 바이오 수소생산 기술개발 등이 주요 분야로 추가 추진됨- 향후 기술개발 추진계획: 매립지가스(LFG)의 에너지이용기술 개발: LFG이용 발전 시스템 개발(100㎥/h 이상 LFG 포집): 바이오 수소 제조기술개발: 유기성 폐자원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개발③ 연료전지: 연료의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 일종의 발전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산화 ·환원반응을 이용한 점 등 기본적으로는 보통의 화학전지와 같지만, 닫힌 계내에서 전지반응을 하는 화학전지와 달라서 반 응물이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반응생성물이 연속적으로 계외로 제거됨: 수소 외에 메탄과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체연료와, 메탄올 및 히 드라진과 같은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것 등 여러 가지의 연료전지가 나왔으며 이 중 에서, 작동온도가 300 ℃ 정도 이하의 것을 저온 형, 그 이상의 것을 고온 형이라 고 함- 특징: 발전효율이 40∼60 % 이며, 열병합발전시 80% 이상 가능: 천연가스, 메탄올, 석탄가스 등 다양한 연료사용 가능: 환경공해 감소: 회전부위가 없어 소음이 없으며, 기존 화력발전과 같은 다량의 냉각수 불필요: 도심부근 설치 가능하여 송배전시의 설비 및 전력 손실 적음: 부하변동에 따라 신속히 반응하며, 설치형태에 따라서 현지 설치용, 분산 배치 형, 중앙집중형 등의 다양한 용도 사용 가능- 연구비 지원현황: '88년부터 '2001년까지 연료전지 개발에 38과제 총 59,329백만원을 투자하였으 며, 그중 30,208백만원을 정부에서 지원표-연구비 지원현황자료: 한국신·재생에너지 협회 자료- 기술개발현황 및 분석추진현황 ?: 1985년부터 에FS(Renewable Fuel Standards)또한, 행복도시, 혁신도시 등 신도시 건설이나 건물 건설?신축시 신재생에너지 사용 설계를 반영할 계획이며,* 행복도시: 총 에너지 부하량의 10%를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토록 설계(공공건물)은 현행 총 건축비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설비에투자토록 한 것을, 총에너지 부하량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사용 설계토록 의무화(‘12년)하고 (민간건물)은 신재생에너지 인증제를 도입하여 건물건축 또는 주택단지 개발시 총 에너지부하량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사용시 인증하고 보조비율 우대 등 인센티브 부여.아울러,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 개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① 태양광, 풍력태양광은 '12년까지 발전용량을 400MW로, 풍력은 약 1GW로 확대해 나가며, 태양광은 기술혁신 및 양산체제 구축을 통해 단가를 인하하고, 풍력은 해상풍력을 적극개발하여 입지한계를 극복해 나갈 것이다.* 태양광: ('07) 40MW → ('12) 400MW* 풍력 : (’07) 192 → ('12) 1,145 MW(‘12년까지 육상 풍력단지 14개소 건설)* 해상풍력 단지 건설 (300MW, '10~'15)② 해양에너지삼면이 바다이고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우리나라에 풍부한 조력, 조류 등 해양에너지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조력은 09년까지 세계 최대의 시화호 발전소를 준공(254MW)하고, 가로림만 발전소(520MW)를 조기 착공할 계획이며, 조력발전의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 주변지역의 주민에 대한 적정한 지원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조류는 울돌목에 1MW급 실증발전소를 건설한 후(‘08), 90MW급 상용화 발전소를 ’13년까지 건설할 계획이다.③ 바이오에너지해외자원개발의 투자대상 자원에 바이오연료의 원료작물을 포함하여 지원을 확대(해외자원개발사업법 개정, ‘09년)하고* 팜유, 자트로파유 등 바이오 연료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사업에 대하여 광물자원개발에 준하는 장기저리 융자해외시장 개척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기 위해 그린시장 의 투입이 필요하다는 점, 문란하게 개발하면 환경파괴를 초래한다는 점 등을 들을 수 있다. 또 바이오매스의 생산, 수집, 운반, 변환에 관련한 기술적 문제, 경제성과 에너지 balance(투입에너지에 대한 산출에너지의 비율)에 대한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이용 ? 개발은 대단히 많은 문제를 안고 있으며, 또 바이오 매스 자원의 부존량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바이오매스가 지역의 에너지원으로서 얼마나 중요한가를 판단하기 위하여는 이들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료화의 대상이 되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을 본다면 다음과 같다. 목질계, 당질계 전분질계, 에너지식물, 초본식물, 수생식물, 해조, 조류, 광합성 세균 등이다.5) 풍력풍력 발전의 정의는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력학적(aerodynamic)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rotor)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 풍력 발전기는 지면에 대한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형 및 수직형으로 분류되고, 주요 구성 요소로는 날개(blade)와 허브(hub)로 구성된 회전자와 회전을 증속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증속 장치(gear box), 발전기 및 각종 안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전력 제어 장치 및 철탑 등으로 구성된다.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 단가도 기존의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의 신 에너지 발전 기술이다. 또한 풍력 발전 단지의 면적 중에서 실제로 이용되는 면적은 풍력 발전기의 기초부, 도로, 계측 및 중앙 제어실 등으로 전체 단지 면적의 1%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면적은 목축, 농업 등의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 단가는 설치 지역의 풍력 자원에 따라 달라지나 현재 운전되고 있는 미국의 대규모 산
- 리포트 | 4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4.03
-
-
-
중국자동차산업의 현황 및 우리의 진출전략
- ,6905.28캐나다2,546,1244.49영국1,846,4293.210브라질1,837,1643.211---세계합계57,788,200100.0단위: 대, %자료: 한국자동차공업협회 ... 方針の見直しを進める中國自動車各社”, 海外自動車調査月報, 2000.12Ⅲ. 한국자동차기업의 중국진출 전략21세기 한국 승용차산업 발전을 낙관적으로 전망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세계자동 ... Ⅰ. 서론자동차산업은 2만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전자, 기계, 화학 등 모든 기술의 시스템적 종합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드럭커(Drucker)교수는 자동차산업
- 리포트 | 1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8.16
-
-
-
유비쿼터스의 개념과 UIT실행사회 시나리오
- ?IT839는 대한민국의 국민 소득을 2만달러로 올리기 위해 IT 산업 분야의 신성장 동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전략이다.IT839에서 8은 '8대 신규 서비스', 3은 '3대 첨단 ... 면서 제2003년 6월부터 표준화를 추진하는 한편, 미국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도 반영하는 등 한국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3.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이자 국책사업이 ... 하면 이동하는 자동차 안이나 지하철에서도 휴대폰처럼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2. DMB서비스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
- 리포트 | 9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8.05.14
-
-
-
2007년~2008년 수입자동차 온라인 광고 집행 내역 분석 자료
- % 증가한 122만대 예상 • 수출의 경우, 2006년 265만대에 이어 284만대 규모로 사상 최대치 기록자동차 생산, 내수, 수출 장기추이자동차 산업 전망출처: 한국자동차공업협회 ... 율 변화출처: 한국자동차공업협회▶ 경형, 소형, SUV, 대형승용은 판매 증가를 보인 반면, 중형은 부진 • 경형,소형: 유가급등으로 인한 유지비 장점이 부각됨 • 중형은 로체 ... 활동에서 높은 점유율 차지 • 수입차: 2007년 70개 이상의 다양한 신차 출시 및 저렴한 엔트리급 모델의 판매가 늘면서 꾸준히 증가출처: 한국수입자동차협회2007년 국내차 베스트
- 리포트 | 2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11.03
-
-
-
우리나라_자동차_산업의_경쟁력 - 외국 경쟁력 비교 분석
- 자동차산업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대외적으로는 철강 등 각종 원자재가격의 급등, 환경?안전규제강화에 따른 비용 증가, 하이브리드?연료전지 등 미래형?친환경 ... 않고 새로운 무기가 필요합니다.자동차계의 블루오션, 바로 친환경 자동차입니다.미래형?친환경 자동차 개발우리나라의 미래형?친환경 자동차 기술수준은 주요 자동차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 , 2006. 12월)특히 원천기술 수준이 크게 낮아 향후 친환경 자동차 시장이 성장할 경우 상당수준의 로열티 지급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므로, 미래형?친환경 자동차 기술개발이 시급
- 리포트 | 12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9.30
-
-
-
의료사회복지
- , 가족치료, 병실환경 등에 관심을 갖고,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지역사회건강센터에서 행정적 역할까지 수행.(2)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의 발달? 태동기: 미군병원에서 정신 ... 발달과정(3) 발전단계-----4.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5.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6.정신보건사회복지의 발달배경(1) 미국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발달(2) 한국정신보건 ...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는 환자의 질별이 그 배후의 사회환경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깨닫고 사회사업가를 최초로 채용. 이듬해 맨하튼주립병원은 환자의 사회력 조사와 사후지도
- 리포트 | 1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3.31 | 수정일 2016.07.19
-
-
-
상하이 지역연구PPT
- 하고 외국인투자도 낮아 장쑤성 경제중심지의 지위는 다소 약함 자동차산업 전국 3 위 (2010 년기준 ) - 2010 년 1~4 월 자동차 생산액은 168 억 3000 만 위엔 ... 참조 - 한국무역협회 ( http://www.kita.net ) 경제지표 참조 - 상해 소개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JU_mXe0AChk ... 권으로 연결 ) 관광분야 , 환경보호등의 분야에서 지역간 단일경제권 형성을 위한 조치를 추진하기로 합의 세계적 수준의 IT 단지로 도약상하이의 투자 환경 분석 ( 경제환경 ) 산업구조
- 리포트 | 28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