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만길,『20세기 우리 역사』, 창작과 비평사, 2004
· -학술단체협의회,『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10년Ⅰ』, 당대, 1997
· -조용중,『관훈저널』「민주화운동,그리고언론」, 관훈클럽, 2000, pp.135~144.
· -손호철,『한국과 국제정치』「민주화 운동, 민주화, 민주주의」, 경남대학교 극 동문제연구소, 2003, pp.1~29.
·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2001,『5․18 민중항쟁사』, 고령.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7,『1980년대 민주화운동-광주 민중항 쟁 자료집 및 상반기 일지Ⅰ』.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7,『1980년대 민주화운동-광주 민중항 쟁 자료집 및 상반기 일지Ⅱ』.
· -한국사회학회 편, 1998,『세계화시대의 인권과 사회운동-5․18광주민주화운동의 재조명』, 나남.
·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 -김일영, 「한국 민주화 운동의 민족사적, 세계사적 의의 : 부마, 광주와 한국과 세계의 민주화 4․19, 부마, 광주, 그리고 6월 항쟁 - 좌절된 민주화, 성공화 민 주화,「한국 정치학회보」,2000
· -서중석 저, 「민주화 운동, 민주화, 민주주의 - 개념과 한국적 특성을 중심으 로」,『한국과 국제정치』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3
· - 단행본 -
· -최장집,『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 - 일반논문 -
· -김일영, ‘한국 민주화 운동의 민족사적 , 세계사적 의의 : 부마 , 광주와 한국과 세계의 민주화 4․19, 부마 , 광주 , 그리고 6 월 항쟁 - 좌절된 민주화 , 성공 한 민주화’,「한국정치학회보」, 2000
· -박승옥, ‘정치변동과 민주화운동 기록’, 제2회 기록학 심포지움, 2003
· -박태균, ‘한국민주주의의 주도세력’, 학술단체협의회 편, 「한국민주주의의 현재 적과제」, 창작과 비평사, 1993
· -박호성, ‘한국사회 민주화운동의 실천 과제와 방향’, 「21세기 정치학회보」제9 권 2호, 1999
· -손호철, ‘민주화 운동, 민주화, 민주주의’,「한국과 국제정치」, 19권 4호, 2003
· -임혁백, ‘한국에서의 민주화 과정 분석 - 전략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한 국정치학회보」, 1990
· -전재호, ‘자유민주주의를 중심으로 본 민주화운동: 제1공화국에서 제5공화국까 지’,「한국정치외교사논총」22권 2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