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제무역]A Study of Korea’s FTA Partner Choice Based on Economic Criteria:Analysis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and Tariff

15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06.03.01 최종저작일 2005.11
15P 미리보기
[국제무역]A Study of Korea’s FTA Partner Choice Based on Economic Criteria:Analysis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and Tariff
  • 미리보기

    소개

    대학원 시절의 Term Paper 입니다.
    많이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Main Economic Criteria for Determining Proper FTA Partners
    3. Analysis of Korea’s FTA Choice Based on Economic Criteria
    (1) Korea and New Zealand’s RCA
    (2) Korea and Japan’s RCA
    (3) Korea and China’s RCA
    4. Conclusion and Implication
    Reference

    본문내용

    In recent years, a striking feature of international trade relations is the growth of regionalism due to the widening and deepening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and FTA (Free Trade Agreement) becomes a new buzzword all over the world these days. According to the WTO, there are 250 RTAs have been notified to the GATT/WTO up to December 2002, and the number of FTA has been reached to more than 150 .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world economy is facing an FTA era.
    However, Northeast Asia, one of the major regions in world trade arena has not actively joined in this global trend of integration based on regional proximity until very recently. The increasing globalization and integration of world markets are generating pressure on Asian economies, as more and more regions leave behind their inward-looking policies and look outwar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owth. Japan has concluded its first bilateral FTA in 2000 with Singapore, and it finalized discussions on an FTA with Mexico. Currently, it is trying to negotiate individual bilateral agreement with Malaysia,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by 2005, as well as a separate FTA with ASEAN as a whole. Meanwhile, China has also started to pursue regional strategies by using FTAs: It signed a framework agreement with ASEAN in 2002, and concluded negotiations in 2004.

    참고자료

    · Balassa, B.(1965)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s and Social Studies, Vol. 33
    · Taeho Bark and Chong Sup Kim (2005) “Political Economy of Korea-Japan Free Trade Arrangement: A Korean Perspective” Korea Institution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Rosung Kwak and Dojoon Park (2005) “Trade Structure, and the Export Competitiveness and Complementarity among Korea and ASEAN Countries” KATIS International Academic Symposium
    · Sang-yirl Nam, KIEP Working Paper 200-02 (2000) “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in Northeast Asian Trade: Korea’s Perspective”
    · Inkyo Cheng (1999) KIEP “Economic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Searching for a Feasible Approach” KIEP Working Paper 99-25
    · John Weiss 2004,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Its Neighbors: Partners of Competitors for Trade and Investment?” ADB Institute Discussion Paper No.13
    · 박찬일(2001), “한국과 중국의 무역구조 및 품목별 수출경쟁력 비교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한국경제연구, 제7권
    · “한일 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와 바람직한 정책방향”, 대외경제정체연구원(2001)
    · 유관영, 임천석, “한일 경제관계의 변화와 FTA문제”, 한국국제통상학회, 국제통상연구, 제4권1호, 1999
    · 이수연, 박미화, 김나영 (2001) “실증적 분석을 통한 한국의 FTA 체결 대상국 선정기준 제시: 중력모형에 기초한 회귀부석 및 현시비교 우위 분석”
    · 정인교 등,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03), “한중일FTA의 추진당위성과 선행과제”경제사회연구회 소관기관, FTA협동연구시리즈 03-02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