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 료
· 교육부,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 교과서. 대한교과서 주식회사.2002
· 교육부, 『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 해설』,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9.
·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6개학년용)』대한교과서(주), 2000
· 2. 저서 및 단행본
· 강문희 외, 『아동문학교육』, 학지사, 2001.
· 강희근, 『우리 시 짓기』, 도서출판 한빛, 2000.
· 구인환 외, 『문학 교수․학습 방법론』, 삼지원, 1998.
·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2.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문학수업방법』,박이정, 2000
· 국어교육초등교사모임,『시 수업』,우리교육, 2002.
· 김만석, 『김만석 동시 창작론』, 시와 사람, 2002.
· 김은전 외 『현대시 교육의 쟁점과 전망』,도서출판 월인, 2001.
· 나병철,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0.
· 노명완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9
· 박민수, 『아동문학의 시학 』, 춘천교대 출판부, 1998.
· 배정원, 『나의 첫 동시쓰기』,청솔, 2002.
· 선주원, 『시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2003.
· 신헌재 외,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박이정, 2003
· 편역, 『아동문학교육론』, 범우사, 1998.
· 외,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박이정, 2002.
· 서울교대초등교육연구회,『우리선생님이 추천한 동시 300편』,박이정, 1996.
· 이동원,『인간교육과 협동학습』,성원사, 1997.
· 이병희, 『성공적인국어수업설계』, 학음출판사, 1993.
· 이오덕,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보리, 1993
· 이원수, 『아동문학 입문』, 소년한길, 2002.
· 이재승, 『국어 수업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1998.
· 천경록 외, 『초등국어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1.
· 최현섭 외『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일지사,1995.
· 3. 논 문
· 강혜영, “창의력 신장을 위한 동시짓기 지도 방안”,《부산교대국어과교육》21집, 2001.
· 강리나, “시 쓰기 능력 발달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고동덕, “동시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대초등국어교육》 6집, 1996.
· 김경희, “협동학습을 통한 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김동국, “교과서 동시의 자연 수용 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김동남, “초등학교 저학년 동시 지도 실태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1.
· 김신정, “동시교육과 인지발달”, 《문학교육학 》제11호 , 2003.
· 김영희, “시 창작을 위한 발상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992.
· 김인숙, “ 초등학교 동시교육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김창숙, “국민학교에서의 시 교육 실태 및 효율적인 지도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