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영, 최은영 (2015). 간호대학 신입생의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3), 289-297.
· 고경필, 심미영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379-391.
· 고명주, 최보영(2017).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6), 81-104.
· 곽윤경 (2013).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5), 2178-2186.
· 권혜진 (2007).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금정화 (2018).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및 삶의 질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0), 325-338.
· 김경하 (2018).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399-408.
· 김광현, 강성배 (2016).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양교육연구, 10(3), 253-293.
· 김덕진 (2013).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김명아, 김지영, 김은정 (2014). 대학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자존감과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6(2), 1103-1113.
· 김명아, 이경현, 박혜자, 김은정, 이일현 (2016). 간호대학 신입생의 비합리적 신념,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 적응: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8(2), 1163-1178.
· 김미영, 정지수, 양창의 (2020).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 1267-1284.
· 김부미 (2014).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 : 동기 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8(1), 243-270.
· 김영희 (2011). 간호대학생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4), 2003-2013.
· 김영희 (2016).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1), 104-113.
· 김유정, 유하나, 박미정 (2016). 간호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0), 261-270.
· 김의연, 유효숙 (2018).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관리 행동과 내용에 대한 비교연구. 교육문화연구, 24(1), 193-211.
· 김재희, 장숙랑, 지현진, 정경주, 서유진, 김진현, 최영순 (2015). 간호대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9), 6027-6035.
· 김종운, 김미정 (2016).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1035-1052.
· 김지연 (2015).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김지영, 김은지, 김정섭 (2018).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14(1), 53-73.
· 민소영 (2006).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5(4), 409-419.
· 박미진 (2002). 학업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박병기, 박선미 (2012).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63-585.
· 박신영 (2016).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용인.
· 박은영 (1988).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취업 면접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창원.
· 박인숙, 한용준 (2017).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7(1), 145-167.
· 박진화, 이은경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수신뢰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831-844.
·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200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ㆍ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4), 621-631.
· 박희숙, 최동숙, 김효춘 (2019).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관련요인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5), 93-101.
· 서명자 (2019).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 서명자 (2020).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 서현주, 최형아 (2017). 중ㆍ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 또래, 교사 관계의 조절효과. 교육문제연구, 30(2), 51-78.
· 신지영 (2000).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안지연, 임희경 (2005). 여대생의 대학생활적응.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233-239.
· 어용숙, 이경리, 최송실 (2011).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부모와의 독립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6), 3073-3084.
·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 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6). 63-96.
· 오윤정 (2017).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07-317.
· 오지연 (2016).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자기효능감, 소진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
· 유계숙, 신동우 (2013). 대학생의 학업 · 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6), 3849-3869.
· 윤여진, 정인경 (2014).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2), 219-232.
· 이숙정 (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 이숙정, 유지현 (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 이은우 (2005).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 이지선 (2010).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이지원, 어용숙 (201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2), 125-134.
· 장수현, 이미영 (2015).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극복력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255-265.
·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 정효주, 채민정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8), 403-417.
· 주현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 신체증상과 대학생활적응.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
· 차영민 (2017).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 최순옥, 박진경, 김상희 (2015).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182-189.
· 최지현 (2009).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통계청. (2018, 11월 6일). 스트레스 정도(학교생활, 13세 이상 인구). 5월 29일, 2020,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HE123R&vw_cd=MT_ZTITLE&list_id=D215_2008&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 하영숙, 염동문 (2013).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문화포럼, -(34), 153-180.
· 하정희, 조한익 (2006). 완벽주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7(2), 595-611.
· 한덕웅, 전겸구, 이창호 (1991). 한국대학의 생활환경 변화와 대학생활적응. 학생지도연구, 9(1), 5-169.
· 한혜순, 김윤영 (2018).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1), 29-38.
· 홍해숙, 김현영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임상실습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2), 221-234.
·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Stanton, A, L., Danoff‐burg, S., & Huggins, M, E. (2002). The first year after breast cancer diagnosis: hope and coping strategies as predictors of adjustment. Special Issue: Special Issue on Survivorship. 11(2), 93-102.
·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31(2), 179-189.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Lazarus, R, S., & Folkman, S. (1993). Stress, Appraisal and Coping. Psychological Medicine, 15(3), 705.
· Sherer, M., Maddux, J, M.,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