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전통시대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재검토

서구 중심의 국제관계이론 또는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동아시아의 모습이 아닌 동아시아의 내부적 관계를 통해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특수성을 검토함. 중화질서, 세계체제론, 조공질서등을 통해 동아시아 전통 지역질서를 재검토함.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10.30 최종저작일 2010.06
15P 미리보기
전통시대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재검토
  • 미리보기

    소개

    서구 중심의 국제관계이론 또는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동아시아의 모습이 아닌 동아시아의 내부적 관계를 통해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특수성을 검토함. 중화질서, 세계체제론, 조공질서등을 통해 동아시아 전통 지역질서를 재검토함.

    목차

    1. 서론 : 문제제기
    2. 동아시아의 전통적 지역질서
    3. 서구의 중화질서 인식
    4. 주권과 국제질서의 역사적 유형
    4.1 유럽에서의 세력균형 질서의 성립- 주권평등의 베스트팔렌 조약
    4.2 위계적 국제질서
    4.3 정치경제적 공동체로의 통합 질서
    4.4 동아시아의 전통적 국제질서: 위계 질서
    5. 서구의 중화질서 인식에 대한 비판
    5.1 질서의 계속성과 안정성
    5.2 지배와 종속의 역사적 경험
    5.3 중화질서의 조공국의 위치 : 외양은 속방, 실질은 자율
    6. 결론

    본문내용

    이 글은 월러스틴의 자본주의적 세계경제의 등장의 문제에 있어 ‘중국 세계경제’ 개념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유럽 세계경제’의 비교대상으로 ‘중국 세계경제’가 아닌 ‘동아시아 세계경제’의 개념이 더 적합하며, 이를 위해서는 동아시아 국가들 내부의 상호작용을 살펴봐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서구의 기존이론이 동아시아 지역질서를 적절히 설명하지 못함을 주장하면서, 서구의 근대 국제질서 개념에서의 주권이나 독립성의 개념은 동아시아의 전통적 중화질서에서 조공-책봉 관계를 판단할 분명한 기준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서구와 동아시아의 역사적 사례를 비교해보면서 살펴보았다.
    중화질서는 서구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유럽의 세력균형 식의 주권평등체제도 아니었고, 자본주의적 착취를 위한 유럽 중심부 국가들의 식민주의의 아시아적 변용도 아니었다. 조공-책봉 관계는 서구의 근대 국제질서 관점에서의 주권이나 독립성, 세력균형 등의 개념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는 동아시아 국가 간에 장기적인 평화와 경제적 풍요를 가져왔던 규범으로서 존재한 것이었다.
    ‘중국’이라는 국가를 세계경제의 지역적 분석단위로 설정하는 것은 중국 내부의 후진적 산업화 등을 이유로 세계체제 분석의 적확한 과정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중국과 중국 주변의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이었던 중화질서 분석은 ‘중국 세계경제’를 넘어서 ‘동아시아 세계경제’의 틀로 이행되어야 하며, 이는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등장했던 유럽의 경험과 상호 비교를 통해 동아시아에서의 발전 형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면 기존의 낙후된 국가 또는 지역으로 인식되어 오던 동아시아의 전통적 지역질서를 다음과 같이 위계적 안보 체제로써의 중화질서, 그리고 호혜적 경제 체제로써의 중화질서 두 가지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참고자료

    · <참고문헌>
    · 강진아, “16~19세기 동아시아무역권의 세계사적 변용,” 백영서 외,『동아시아의 지역질서』(창비, 2005).
    · 강진아 , “16~19세기 중국경제와 세계체제,” 『이화사학연구』제 31호(2004).
    · 김우상, “세력전이이론,” 우철구•박건영 편,『현대국제관계이론과 한국』(사회평론, 2004).
    · 김용구,『세계외교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김태현, “세력균형이론,” 우철구•박건영 편,『현대국제관계이론과 한국』(사회평론, 2004).
    · 김한규,『고대중국적세계질서 연구』(일조각, 1982).
    · 김한규,『한중관계사 Ⅱ』(아르케, 1999).
    · 김한규, “전통시대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세계질서,”『역사비평』2000년 봄호(통권 50호).
    · 박상섭, 『국가·주권』(소화, 2008).
    · 박지향, 『제국주의 : 신화와 현실』(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백영서, “제국을 넘어 동아시아공동체로,” 백영서 외,『동아시아의 지역질서』(창비, 2005).
    · 이삼성, 『세계와 미국』(한길사, 2001).
    · 이삼성,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한길사, 2009).
    · 에두아르도 갈레아노,『수탈된 대지: 라틴아메리카 5백년사』,박광순 옮김, (범우사, 1988).
    · 정용화, “주변에서 본 조공체제: 조선의 조공체제 인식과 활용,” 백영서 외,『동아시아의 지역질서』(창비, 2005).
    · 조용욱, “제국주의와 제1차 세계대전,” 배영수 편, 『서양사강의』(한울아카데미, 2000).
    · 피터윤, “서구 학계 조공제도 이론의 중국 중심적 문화론 비판,” 『아세아연구』제45권 3호 (2002)
    · 한명기, 『광해군』(역사비평사, 2000).
    ·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경세원, 2004).
    · 홍성구, “조공무역체제론의 재검토- 해관무역체제론을 위한 시론,” 홍성구·송규진 외,『근대 중국 대외무역을 통해 본 동아시아』(동북아역사재단, 2008).
    · Chun, Hae-Jong. “Sino-Korean Tributary Relations in the Ch`ing Period," in John. K Fairbank (ed.), The Chinese World Order: Traditional China`s Foreign Rel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 MA, Cambridge, 1968).
    · Dinan, Desmond,. Europe Recast: A History of European Union, Lynne Rienner Publishers (London, 2004).
    · Hamashita, Takeshi., Linda Grove and Mark Selden (eds.), China, East Asia and the Global Economy :Region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Routledge, (New York, 2008).
    · Ho, Chuimei. “The Ceramic Trade in Asia, 1602-82," in A.J.H Latham and Heita Kawakatsu (eds.), Japanese Industrialization and the Asian Economy, Routeledge,(London, 1994).
    · Fairbank, John K., "A preliminary Framework," in John. K Fairbank (ed.), The Chinese World Order: Traditional China`s Foreign Rel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MA, Cambridge, 1968).
    · Jackson, Robert H.,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in John Baylis & Steve Smith (eds.),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2).
    · Kim, Key-Hiuk,. The Last Phase of the East Asian World Order: Korea, Japan and the Chinese Empire 1860-18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Berkeley and Los Angeles, 1980)
    · Gilpin, Robert,. Wa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1).
    · Organski, A.F.K., World politics, Alfred A. Knopf, (New York, 1958).
    · Wallerstein, Immanuel., The Modern World-System Ⅰ Academic Press, (New York, 1974) 국역: 나종일 외 옮김『근대세계체제 Ⅰ: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 기 유 럽 세계경제의 기원』(까치, 1999)
    · ., The capitalist world-economy (Cambridge Univ. Press, 1979)
    · Frank, Andre Gunder., ReORIENT: Global Economy in the Asian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Berkeley and Los Angeles, 1998).
    · Trocki, Carl A,, Opium, Empire and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 A Study of the Asian opium trade 1750-1950, Routledge (New York, 1999)
    · Yang, Lien-Sheng,. "Historical notes on the Chinese world order", in Fairbank (ed.) The Chinese World Order: Traditional China`s Foreign Rel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 MA, Cambridge, 1968).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