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이라 불리는 틈: 윌리엄 워즈워스의 「우리는 일곱」과 「백치 소년」 다시 읽기 (The Child as a Gap: Re-reading of William Wordsworth’s “We Are Seven” and “The Idiot Bo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01
29P 미리보기
아이라 불리는 틈: 윌리엄 워즈워스의 「우리는 일곱」과 「백치 소년」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21권 / 1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강희원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틈으로서의 아이가 어른/아이라는 대립구조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불가능하게 하는지 워즈워스의 「우리는 일곱」(“We Are Seven”)과 「백치 소년」(“The Idiot Boy”) 읽기를 통해 점검해 보는데 있다. 틈으로서의 아이가 친밀한 동시에 낯선 아이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 글은 우선 김상환의 「철학의 두 가지 초상: 어른되기와 아이되기」를 간단히 정리한다. 김상환은 친밀한 동시에 낯선 아이에게 어떻게 말을 거느냐에 따라 서양 철학사가 어른이 되려는 철학과 아이가 되려는 철학으로 구분, 정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또한 워즈워스가 아이에게 말을 거는 방식에도 주목하는데, ‘워즈워스에게 아이란 누구 혹은 무엇인가?’란 질문에 답하는 작업이, 그의 시들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읽으려고 할 때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과정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곱」 분석은 어른/아이라는 대립구조에 대한 재고로 시작되어, 지식/무지, 삶/죽음에 대한 검토로 이어지는데, 이 시에서 궁극적으로 강조되는 것은 어른 속 틈으로 출몰하는 아이이다. 그리고 이 아이란 유령은 삶과 죽음이란 대립항 모두를 비전체로 만드는 삶-죽음의 가능성 또 지식 내부에 존재하지만 그것에 의해 길들여지지 않는 시적 불확실성으로 구체화된다. 「백치 소년」의 주인공 조니는 서사의 틈으로 기능하는 아이이다. 서사의 틈인 조니는 무엇보다 ‘거의’ 침묵하고 있는 존재로, 부르르 떠는 소리(burring) 그리고 두 행 짜리 여행담이 그가 내는 소리의 전부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니는, 어떤 사건이 ‘이미’ 발생했음을 증언한다. 침묵하는 조니로 인해 발생한 서사의 틈을 메꾸려는 서술자의 필사적인 노력은 “아마도”(perhaps)라는 부사를 강박적으로 반복하는 형태로 구체화되고, 이는 서사의 틈을 오히려 더 부각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o show how the idea of the child as a gap makes (im)possible the very opposition of adult and child, in terms of close reading of Wordsworth’s “We Are Seven” and “The Idiot Boy.” In order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canny dimension pertaining to the idea of the child as a gap, this paper takes a detour through the essay written by Sang-hwan Kim. He tries to give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on the basis of how each major philosopher addressed the child. The way in which the child is addressed also offers a preliminary clue to the ethical import of Wordsworth’s texts. The analysis of “We Are Seven” begins by putting into question the adult-child opposition, which is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opposition between knowledge and ignorance, life and death. What is at stake here is that the adult is perpetually haunted by the repressed and yet intimate relation to the child. The possibility of the child within and beyond the adult complicates the opposition of life and death or knowledge and ignorance, thereby leading us to reformulate the opposition in light of the Lacanian logic of not-all and the idea of poetic uncertainty or ignorance as analyzed by Andrew Bennett. In “The Idiot Boy,” Johnny functions as the gap that divides the narrative itself. Johnny remains almost silent except that he produces the burring sound and the story of his travel which consists of only two lines and is nearly impossible to decipher; nevertheless, he testifies above all to what has happened. The narrator’s failed attempt to fill in the narrative gap caused by the silent witness compels him to repeat the word “perhaps,” which is evocative of Derrida’s elaboration of the “dangerous perha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과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