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조선 사신의 외교활동과 조선‧청 관계 구조 (Diplomatic Activities and Negotiations of the Joseon envoy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9.03
32P 미리보기
17~18세기 조선 사신의 외교활동과 조선‧청 관계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8호 / 77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창수

    초록

    전근대 중국과 주변국은 조공과 책봉을 통해 정치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해당 관계에서 ‘신하는 외교를 할 수 없다(人臣無外交)’라는 중국 중심의 외교 관념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언설은 조선과 청의 관계에서도 나타났다. 그렇지만 시대를 막론하고 서로 다른 정치체 사이에서 나타나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교섭(negotiation)은 필수적이었다. 조선․청 관계에서 외교 교섭에 관한 연구는 개별 사안 별로 진행되었기에 본고에서는 시기에 따른 구조적 특징을 드러내고자 했다.
    교섭 활동의 시기적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1644년부터 1670년대까지 약 30년간 조선에 대한 청의 정치적 압박이 강하게 이루어지는 상황 속에서 조선 사신의 교섭 통로가 주로 청측 통역관들로 제한되었던 시기이다. 두 번째는 1670년대부터 1690년대까지 文書違式 및 犯越 등으로 인해 청이 罰銀을 연이어 부과하는 와중에 청측 역관 등의 농간을 차단하기 위해 새로운 교섭 통로를 모색하는 시기이다. 마지막으로는 조선과 청의 관계가 점차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가는 18세기 이후, 청 고관들을 직접 포섭하려고 했던 양상과 그들과의 접촉을 확인하였다.
    조선․청 관계의 변화, 조선의 적극적인 대응 등으로 인해 외교 교섭의 통로는 점차 확대되었고, 조선의 자신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관철할 수 있었다. 본고는 조선 후기 제한된 외교의 활동 공간 속에서 조선에서 취했던 교섭 방식과 시기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영어초록

    During the pre-modern era, China and neighboring countries formed political relations through tribute and investiture. In this relation, the Chinese-centered diplomatic notion that ‘Vassals not allowed to conduct diplomacy on their own’ is applied. This discourse also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the Joseon. However, negotiations were essential to resolve issues that arise between different politics, regardless of 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iplomatic bargaining over time.
    In order to reveal the timing characteristics of negotiation, I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analyzed. The first is from 1644 to the 1670s. During this period, Qing strongly pressured Joseon politically. The bargaining channel of the Joseon was mainly limited to Qing interpreter (who was from Joseon). The second is from 1670 to 1690s. During this period, errors in diplomatic documents and trespassing of boundaries continued to occur. Qing has imposed a fine on Joseon. In the process, Joseon searched for a new bargaining channel in order to block an artifice of the Qing interpreter. Finally, it is after the 18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gradually stabilized. In the Joseon Dynasty,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try to directly mediate the dignitaries of Qing Dynasty.
    The expansion of diplomatic bargaining channels was primarily due to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and second, the active activities of Joseo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pace for diplomatic activities was limited compared to modern times. In the meantime, I described in detail the efforts, negotiation methods, and timing characteristic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