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에 있어 문제점과 개선방안 (The Problem and the Correction to Protect and Support the Crime Victim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0.12
29P 미리보기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에 있어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8권 / 3호 / 287 ~ 315페이지
    · 저자명 : 박상식

    초록

    우리나라의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은 1987년 제9차 개정 헌법의 범죄피해구조청구권이 신설되면서부터이다. 이 헌법규정에 따라 범죄피해자구조법이 제정되어 본격적으로 범죄피해자에 대한 구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구조법은 요건이 까다롭고, 구조금액이 적다는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이유로 2004년 법무부는 ‘피해자보호·지원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주요내용으로는 범죄피해자기본법 제정, 범죄피해자지원센터 설립 등이었다.
    이 영향으로 피해자의 권리장전이라 할 수 있는 ‘범죄피해자보호법’이 2005년 12월 1일에 제정되어 범죄피해자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지원시스템이 마련되었다. 동법의 제정으로 전국 57개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만들어지고, 형사조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구성원은 전문성이 부족하고, 예산·인력 지원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형사조정 또한 법적근거 없이 시행되다가 2010년 범죄피해자보호법의 개정으로 법적근거를 만들었지만 아직까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2010년 5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장치로 ‘범죄피해자구조법’을 폐지하고, ‘범죄피해자보호법’에 피해자의 권리 구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았다. 주요내용으로는 피해구조의 대상이 되는 범죄피해의 범위를 종래 ‘중장해’에서 장해 및 중상해까지 확대하였고, 구조금의 지급요건인 ‘가해자의 불명 또는 무자력’ 부분을 삭제하여 범죄피해자 구조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이렇게 범죄피해자의 권리에 대한 총론적인 규정은 어느 정도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 범죄피해자의 보호와 지원을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대책을 세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The supports for the crime victims in Korea have been provided since Right to Claim Remedies for Crime Damages was newly inserted in the 9th Amendment in 1987. According to this provision of the constitution, Crime Victim Rescue Act was legislated and the full-scale rescue of the crime victims has started.
    However, there were many criticisms in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Crime Victim Rescue Act were too much demanding and that the compensation was very small. Because of this the Ministry of Law announced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to enforce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s' in 2004. The major contents were the legislation of General Law for Crime Victims, and the establishment of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Thanks to this, 'Crime Victim Protection Law', which can be called as Magna Carta for Crime Victims was legislated on December 1, 2005 and the base to establish the systematic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 for crime victims was prepared. With the legislation of the Law, 57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were established and Criminal Case Arbitration was introduced.
    Howev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at the workers of Support Center do not have expertise and that the center has not been supported enough in terms of budget and human resources. Criminal Case Arbitration has been performed without the legal base until 2010 when Crime Victim Protection Law was amended. Now it has legal ground to be performed but there are still many other problems.
    To rectify these problems 'Crime Victim Rescue Act' was discharged in May, 2010 and 'Crime Victim Protection Law' specified concrete details for the remedies of the victims rights. Major contents are; it expanded the level of crime damages that can be object of the compensation from 'Major Disturbances' to 'Disturbance and Major Injury', and it deleted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 to claim the compensation 'Unidentified Assailants or Non-competence' to expand the scope of crime victim rescue.
    As such, it is considered that general theories regarding the rights of crime victims have been prepared.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tasks to accomplish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s. Thus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review those tasks and to find the counter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