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평생교육의 역사와 한국에의 시사점 (History of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to 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7.11
35P 미리보기
독일 평생교육의 역사와 한국에의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25호 / 75 ~ 109페이지
    · 저자명 : 김춘식

    초록

    본 논문은 산업구조와 인구변화 등 다양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두된 독일의 평생교육의 발전배경과 제도 및 현황을 파악해 보고, 평생교육의 모범사례로 꼽히는 독일의 교육제도에 주목해 아직은 시작 단계에 있는 한국의 평생교육의 발전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5년 교육학자 폴 랑그랑(Paul Lengrand)은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fr. l'éducation permanente)은 개인의 출생부터 죽을 때까지의 생애에 걸친 교육(수직적 차원)과 개인 및 사회전체의 교육(수평적 차원)의 통합”이라고 주장하고, 평생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사실 평생교육은 근대 산업주의와 20세 초반부에 있었던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도래한 사회적 변화에 응대하는 하나의 시대적인 요청이었다.
    독일의 경우 대략 1950년대 후반부터 평생교육을 시행해 오고 있으며, 연방 및 주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효율적인 평생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독일은 일반교육, 직업교육, 평생교육이라는 공교육 삼각축을 토대로 인재를 양성하고, 실업문제를 해소해 나가면서 강력한 기술강국이자 경제대국이 되었다. 독일에서 평생교육은 초등학교, 중학교 등 일반 교육시설과 종합대학교, 시민대학(Volkshochschule), 기업, 지역단체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 전문 연구기관인 <독일성인교육연구소(Das Deutsche Institut für Erwachsenenbildung)>를 설립해 평생교육과 관련된 전문적인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는 등 평생교육의 발전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독일의 평생교육이 한국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은 일반 교육영역에서도 평생교육에 관한 중요성을 강화하는 강좌를 개설하는 등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또한 독일 성인교육연구소와 같은 평생교육 전문연구기관의 설립을 서둘러야 하며, 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자율성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 기존 평생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는 민간 평생교육 단체에 대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은 독일의 경우처럼 공교육/사교육 기관을 과감하게 개방해 평생교육 공간으로 활용해야 하며, '교육상여금', '교육휴가 청구권' 등과 같은 제도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평생교육을 자신의 자아실현의 통로이자 국가경쟁력의 근원으로 인식하고 있는 독일처럼 한국에서도 국민들이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평생교육 진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backgrounds, system and status of German life-long education that emerged from diverse era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and demographic changes. And also we try to deduce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with focusing on German education system which is considered a model for lifelong education In 1965, a pedagogist, Paul Lambert, contended that lifelong education (fr. l'éducation permanente) is an integration of the lifetime education of an individual from birth to death (from the vertical point of view) and the educ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as a whole (from the horizontal point of view). And he also proposed the lifelong education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In fact, lifelong education was a demand of the times attuned to both the modern industrialism and the social changes after two World Wars in the early 20th century.
    Germany has been implementing the lifelong education since the late 1950s and is building an efficient lifetime education system with strong support from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In particular, Germany has raised up competent people on the basis of triangle axes of general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Overcoming unemployment problems, the country became a powerful technology powerhouse and economic power. In Germany, lifelong education is widely held in general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universities, people’s universities (Volkshochschule), enterprises,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n, the German Institute for Adult Education(Das Deutsche Institut für Erwachsenenbildung) as a lifelong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is pursuing a professional research project that focuses on lifelong education. The institute is making a big effort to develop lifelong education with various policies. Germany's lifelong education suggests that: Korea should further strengthen its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cluding offering courses with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even in the general education arena. Also,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specializing in lifelong education such as the German Institute for Adult Education should be urgently needed, and the autonomy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Furthermore, in Korea's reality, the education infrastructure needs to strengthen its policy and fiscal support for private life education.
    Korea should open its doors to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as the case for Germany, and to prepare systems to suit the situation in Korea (such as ‘education bonuses’ and ‘educational holiday claims’). Consequently, Koreans should strengthen the promotion for their lifelong educatio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s Germany recognizes lifelong education as a channel of self-responsiveness and the origin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