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의회 자치입법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Local Council Legislative Right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2.08
34P 미리보기
지방의회 자치입법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33권 / 2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김민호, 조용기

    초록

    지방의회가 지난 32년간 지역 주민의 복리증진과 지역 발전을 위해 주민들 곁에서 생활정치를 구현하고 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견제와 감시 기능을 수행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기관분립형 구조에서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에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구현되어야 마땅하나 현행 지방자치단체는 강(强) 집행부 약(弱) 의회형 구조임을 부인할 수 없는 체제이다. 아울러 중앙정부의 과도한 개입과 집행기관에 비해 조직과 권한이 취약해 지방의회가 집행기관에 대한 견제와 감시를 수행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방의회가 집행기관과의 관계에서 상호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 위상을 제고하여 주민자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 강화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지만 전부 개정된 지방자치법은 명목상 ‘인사권’ 독립에 그쳤을 뿐 인사권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조직구성권’과 ‘예산편성권’은 지방의회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독립된 기관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 행정권의 자치권 확립에 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방의회의 자치권과 자치입법권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경시되고 있다. 이러하듯 지방의회 본연의 역할에 한계가 있으니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치입법권 강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해 보아야 하므로, 본고에서는 지방의회 입법과정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일별하고자 한다.
    입법과정의 문제점으로 첫째, 헌법과 지방자치법 등 관련 법령상의 한계, 둘째, 지방의회 내 입법지원기구(조직)의 취약, 셋째, 입법지원인력 등의 한계, 넷째, 주민소통(참여)창구의 부족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당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례와 국가법령의 충돌에 대해 지방자치의 실질적 확대와 보장의 관점에서 관련 법령의 정비와 둘째, 조직적 차원에서 지방의회 내 입법지원기구 설치확대, 셋째 기관대립형 구조를 전제할 경우 지방의회를 지원하는 법제전문인력의 충원강화, 넷째, 조례입법 질적 개선을 위한 관련 제도의 도입 등을 실현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지방자치에 대한 투자 개선을 단행한다면 종국적으로 자치입법권의 강화로 귀결되어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인 지방자치 실현을 우리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a well-known fact that local councils have implemented living politics near residents and performed checks and monitoring functions on local governments as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of residents for the past 32 years to improve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institutional-separated structure of local governments,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should be implemented between local councils and enforcement agencies, but the current local government cannot deny that it is a weak parliamentary structure. In addition, the central government's excessive intervention and weak organizations and authority compared to enforcement agencies have certain limitations in conducting checks and monitoring of enforcement agencies by local councils.
    Therefore, in order for local councils to form mutually equal relationships with enforcement agencies and enhance their status to achieve resident autonomy, it is first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of local councils. However, the revised Local Autonomy Act has only nominal “personnel rights” independence, and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al composition rights” and “budgeting rights” are not included in local councils, so there is a limit to properly performing functions and roles as an independent institution. In addition, there are many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but discussions on autonomy and autonomous legislative rights of local councils are relatively neglected.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original role of the local counci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ways to strengthen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in this situation, so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problems of the local council's legislative process and improvement measures.
    As problems in the legislative process, first, related legal limitations such as the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Act, second, weakness of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s (organizations) in local councils, third, limitations of legislative support personnel, etc., and fourth, lack of resident communication (participation) channels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actual expansion and guarantee of local autonomy, second,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s in local councils should be expanded at an organizational level, and fourth, the introduction of related syste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legislation. If we improve investment in this series of local autonomy, we can expect to realize local autonomy, which is the basis of grassroots democracy, as it will eventually result in strengthening autonomous legislative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