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장에 대한 면직처분의 법적 성격 (Legal Nature of Dismissing the Head of a Ri* from Office (The Supreme Court 2012.10.25. 2010 du 18963))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이장에 대한 면직처분의 법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18권 / 2호 / 89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유환

    초록

    대법원 2012.10 25 선고 2010두 18963 판결은 읍, 면장의 이장에 대한 면직처분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이를 “행정청으로서 공권력을 행사하여 행하는 행정처분이 아니라 서로 대등한 지위에서 이루어진 공법상계약에 따라 그 계약을 해지하는 의사표시로 봄이 상당하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판결은 그동안 우리 대법원이 국가공무원법 또는 지방공무원법의 적용을 받는 직업공무원이 아닌 공무종사자들의 법적 지위를 계약직 공무원에 유사한 것으로 보고 그 임명 또는 면직행위 역시 공법상계약에 기한 것으로 파악해 온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이장에 대한 면직행위를 공법상계약의 법률관계에 기한 계약해지행위로 보려고 하면, 먼저 지방자치단체와 원고인 이장 사이에서 공법상계약이라고 할 만한 의사의 합치가 존재하여야 한다. 그러나 (1) 관련 법규와 행정관행 등을 검토해 볼 때, 이장으로 임명된 자에게 있어서 단독행위에 있어서의 당사자의 동의 정도가 아닌 계약에서의 당사자자치에 따른 의사표시라는 것이 있었다고 확인하기 어렵고 (2) 행정처분의 행위주체는 행정청이나 공법상계약의 행위주체는 행정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장임명에서 전북완주군과 원고 사이에서 어떠한 법적 행위가 있거나 실제로 면직행위를 행한 완주군과 삼례읍장 사이에서 계약체결과 관련된 어떠한 의견교환이나 위임 등의 행위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계약성립을 인정할 청약과 승낙의 의사표시가 존재하였다고 말하기 어렵다.
    또한 이장의 면직행위는 공권력행사로서의 행정행위의 개념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서 계약상의 행위라기보다는 행정행위 또는 처분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우며 이렇게 볼 때, 법률유보의 원칙, 행정절차법 등이 적용되고, 하자있는 면직행위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장의 면직행위를 공법상계약으로 보게 되면 법률유보의 원칙, 절차법적 규제 등 행정행위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법적 통제장치 또는 보호장치가 작동하지 못하여 법률에 의한 행정의 원리에 부합하지 못하게 된다.
    더구나 그동안 판례는 비록 계약직공무원과 관련된 것이라 할지라도 징계적 성격이 있는 행위에 대해서는 처분성을 인정하여 왔다. 그것은 설사 계약직공무원이라 하더라도 징계와 같은 불이익처분에서는 권익보호가 우선이라는 관념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한다. 대상판결의 경우, 이장의 면직행위는 사실상 징계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었으므로 종전의 대법원 판례의 흐름에 비추어 보아도 본건의 면직행위를 공법상 계약에 근거한 계약해지의 의사표시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명시적으로 당사자 합의가 없는 행위를 공법상계약으로 보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기본권의 보호라든지 공익의 증진이라든지 하는 실익 내지는 필요성이 인정되어야 하는데 본건의 경우 그러한 사정을 발견할 수 없다. 오히려 공법상 계약 상의 의사표시로 봄으로써 법치주의의 후퇴를 가져오는 부작용만이 발견될 뿐이다. 행정청으로서야 이러한 법치주의의 적용이 면제되는 것이 편의적인 측면이 있겠지만 그것이 법질서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가치가 아닌 것은 명확하다.
    요컨대, 이장에 대한 면직처분을 공법상계약에 기한 계약 해지의 의사표시라고 본 대상판결은, 먼저 기본관계를 발생시킨 이장임명행위에서부터 그 계약 성립의 전제가 되는 완주군과 원고 사이의 청약과 승낙의 의사표시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고, 오히려 이장의 면직처분이 공권력행사로서의 행정행위의 개념요소를 갖추고 있는 점, 그리고 이를 처분이 아닌 공법상 계약에 기한 계약해지의 의사표시라고 볼 때, 행정의 편의성 이외에 만족시킬 만한 공법상의 가치가 없으며 오히려 법치행정의 원리에 역행한다는 점, 마지막으로 그동안의 대법원 판례의 입장에서도 징계적 성격의 행위는 설사 공법상계약을 기본관계로 하는 경우에도 처분성을 인정하였던 점 등에 비추어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2010 du 18963’ has ruled that dismissing the head of a Ri from office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should be interpreted as expressing will of dismissal in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This ruling seems to follow Supreme Court’s precedents with regard to interpreting legal nature of employment relationship of non-career public officials.
    However, 2010 du 18963 decision has some theoretical defects on its reasoning.
    First of all, even though the Supreme Court supposed that there was a contractual agreement, no agreement could be found in fact.
    Secondly, dismissing action has not key elements of a government contract but all conceptual elements of an administrative action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Thirdly, the Supreme Court decided many times that disciplinary actions against contractual public officials should be considered as administrative actions or administrative dispositions. In the light of these rulings, a dismissing action of the head of Ri should be regarded as an administrative action or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because dismissing the head of a Ri in this case means a kind of disciplinary action in reality.
    Fourthly, even if the Supreme Court ruling in this case had no theoretical defect, its reasoning would have no valuable effect on Rule of Law. On the contrary, it is somehow harmful to Rule of Law, as some legal control mechanisms should be lost in the context of contractual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