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5장 북한의 사회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1.04
35P 미리보기
제5장 북한의 사회교육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통일전략학회
    · 수록지 정보 : 통일전략 / 11권 / 1호 / 153 ~ 187페이지
    · 저자명 : 박찬석

    초록

    한 나라의 사회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사회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에 사회교육을 통해 국민들은 “전 생애에 걸쳐 연속적인 학습”을 하게 되며, 국가의 국민으로서 중요한 의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북한의 사회교육도 북한 사회의 지속과 발전을 추구하며, 현재의 북한의 모습을 결정 지웠다. 주체사상으로 무장된 북한식의 사회교육 활성화는 1990년대 전후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 이후 변화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북한의 사회교육은 그 틀을 바꾸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으나 북한 당국은 변화를 두려워하였다. 다만 그로 인한 21세기의 변화의 상황에서도 북한의 사회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결정적인 맹점을 보이고 있다. 분명히 발전을 추구하여야 할 사안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한다면 그 내부의 반발은 잔잔하지만 거세가 분출될 것이다. 즉 교육적인 치유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북한의 사회교육이 변화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북한의 주체사상의 세습적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사회교육 진척에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 될수록 북한의 사회교육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이처럼 북한의 사회교육은 해방 이후 공산주의를 적극 활용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북한의 사회교육은 주체사상을 유일사상으로 관철하는 전형적인 사례가 되었다. 21세기의 평생 교육의 일반적 상황에서도 북한의 사회교육은 결정적으로 그들 특유의 정치사상교육에 몰두하는 맹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북한의 사회교육에 대해 역사적인 상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targets schools, homes and every element of society. This all-encompassing educational policy is aimed at inculcating North Koreans with revolutionary ideas. North Korea’s communist party and government place the greatest emphasis on the intelligentsia and revolutionists amongst all its social classes. They are the key to thoroughly realizing the socialist vision of education pedagogy.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hich brainwashes its people into taking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for granted. It also teaches technical skills that indoctrinates its people in dogmas. The primary function of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is to strengthen the nation’s defenses and develop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its labor party.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bound to approve of any of its past activities. This system is falling far behind the rapidly-changing world environment as a consequence of this approach. The role of social education in a changing society should be to help its people overcome closed ideological values and become efficient. Advocating uninterrupted life-long stud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uties of social education. In this cas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its construction and continuation with dogmatic beliefs in social education. And it’s this style of social education process which has made North Korea what it is today. Despite some conservative party members in South Korea predicting the collapse of the regime, North Korea still maintains the system regardless, distorted and all as it may be. Now is the time for the North’s leadership to find better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ts social education. If they are successful in these efforts the regime can remain in power, the educational system can develop and it will lead to the resolution of the nation’s dilem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전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