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자리 양극화와 이동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A Sociological Study on Job Polarization and Job Mobilit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1.06
41P 미리보기
일자리 양극화와 이동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지역과 세계 / 35권 / 1호 / 29 ~ 69페이지
    · 저자명 : 남춘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동부가조사 항목 중 임금, 고용안정성, 사회보험가입, 기업복지의 4개하위영역에 관련된 9개변수를 사용하여 고용의 질 지수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2001년부터 2010년 사이 일자리 분포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일자리 분포는 쌍봉형의 모습을 보여 일자리 양극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일자리 양극화의 원인으로는 여성 및 노년층의 노동력공급증가, 기업의 인사관리관행상 비정규직 고용의 증가 등이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산업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나 서비스업은 내부적으로 이질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으며, 청년층의 노동력공급증가는 지지되지 않았다. 반면 직업구조의 변화는 일자리양극화에 뚜렷하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계층간의 이동에서는 직장이동자가 비이동자에 비하여 불리하여 아직까지는 한국노동시장에서 유연안정성 모형이 쉽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내부자-외부자 이론의 주장처럼 기존 취업자보다는 신규 및 재취업자가 하층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의 경우에는 남성, 고학력자가 일자리 이동에서 더 유리하며, 20대 청년층은 30~40대에 비하여 하강이동의 가능성도 높지만 동시에 상승이동의 가능성도 더 커서 내부적으로 이질적임을 보여주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종사자가 유리하였다. 그리고 대기업 정규직이 상승이동의 가능성이 커서 한국 노동시장이 여전히 기업규모와 고용형태에 따라 분절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벡의 계급좀비론 주장과는 달리 비육체노동자계급과 서비스계급이 육체노동자계급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 양극화에 따른 일자리중간층의 하강이동은 주로 노동계급에서 많이 나타나 계급불평등이 심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job distribution and job mobility in Korean labor market using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 job polarization hypothesis gives us a more accurate description than upgrading hypothesis about the trends of job distribution measured by job quality index. Changing occupational structure, de-industrialization, increased labor supply of women and older people, companies' increased hiring of non-standard workers seems to be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jobs. However, it is difficult to judge which one would be the decisive factor.
    Mid-career men with high education are turned out to be winners in job mobility, whereas non-standard workers from small firms are more vulnerable to downward mobility. One noticeable point is that young workers have higher probability than middle aged workers both in upward mobility and downward mobility.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it is conjectured that the Korean labor market is still segmented by firm size and employment type. The result that job turnover leads to low quality jobs means it's not easy to adopt the 'flexicurity model' as a new alternative in Korean labor market. In accordance with insider-outsider theory, existing workers are more protected than new entrants in job mobility. Contrary to Beck's Zombie Class hypothesis, working class is more likely to move downward than service class and routine non-manual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과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