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산림에서 신고의 의미와 소유권‘법인’ (Meaning of Registration and Legal Aknowledgement of Ownership in Fore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5
40P 미리보기
일제시기 산림에서 신고의 의미와 소유권‘법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70호 / 119 ~ 158페이지
    · 저자명 : 강정원

    초록

    일제는 삼림법 신고를 토대로 마련된 미신고지의 국유화를 통해 국유림 조사를 시행하고 국유림을 운영하였다. 삼림법의 신고는 일제가 국가 주도의 산림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원천이었다. 미신고지의 국유화에서 초래된 문제는 연고권과 대부권을 부여하여 조정해 나갔고, 임야조사사업에서는 이를 수렴하여 ‘신고를 불문하고’라는 조항을 두어 국유림과 민유림에서의 소유권을 확정해 나갔다. 삼림법 신고주의는 조선특별연고삼림양여령까지 법적 효력을 발휘했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는 국유림 조사(삼림법~국유림구분조사) 시기이다. 이 때의 신고는 사유 인정의 전제조건으로, 국유림의 범위를 정하였다. 일제는 신고를 전제로 구분한 국유림을 대상으로 각종 처분정책을 추진했다. 두 번째는 민유림 조사(임야조사사업~조선특별연고삼림양여령) 시기이다. 사업에서는 삼림법의 신고림과 연고림을 신고대상으로 삼고 소유권을 인정했다. 연고림 가운데서도 소유를 인정해 주었지만, 제한적이었다. 조선특별연고삼림양여령도 삼림법 신고를 전제로 추진했다. 일제가 국유림에서 추진한 각종 처분정책인 대부, 부분림, 토석 채취 등을 위해 허가된 임야는 삼림법의 신고를 전제로 한 정책으로 연고림 양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양여령으로 민유림이 증대되었지만, 이는 철저하게 식민지 권력이 주도한 결과였다일제가 산림 소유권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기본 전제는 신고였다. 신고를 통해 대규모의 국유림을 확보하였고 이를 토대로 국가 주도하에 일사분란하게 산림정책을 수립 운영해 나갈 수 있었다. 신고의 틀이 유지되는 가운데 일제는 사정과 재결을 통해 소유권을 법적으로 확인하였고, ‘原始取得’이라는 법적 효력을 부여했다. 기존의 권리관계를 소멸시키고 일본 민법이 정한 배타적 소유권을 부여함으로써 그동안 제기되었던 분쟁을 일소하고 식민지적 산림 소유권이 완성되었다.

    영어초록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surveyed and managed national forests through nationalization of unregistered lands arranged in accordance to the Forest Act(森林法) registration. The problems caused by the nationalization of unregistered lands were settled by granting preemptive rights(緣故權) and loan rights(貸付權), and ownership in relation to national forests and civil-owned forests was finally confirmed through the Forest Land Survey Project(林野調査事業). The Forest Law registration system was legally effective until Joseon Special Preemptive Forest Concession Act(朝鮮特別緣故森林讓與令). As for the phased enforcement of the Forest Law, the first phase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National Forest Survey (Forest Law~National Forest Classification Survey). At this time, registration was a prerequisite for recognition of private ownership, and the scope of national forest was determined.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disposal policies on national fores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quired registration. The second phase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Civic-owned Forest Survey (Forest Land Survey Project~Joseon Special Preemptive Forest Concession Act). Registered forests and forests with personal relationship under the Forest Law were subject to registration at this time, and ownership was acknowledged accordingly. Ownership was acknowledged for some forests with personal relationship, but such cases were limited. The Order of Concession for Joseon Forest Land with Special Personal Relationship was also implemented on the premise of the Forest Law registration. The forests and lands approved for various disposal policies implemented by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such as loan, profit-sharing forest, soil and stone collection, worked on the premise of the Forest Law registration and were excluded from concession cases of forest with personal relation. In other words, ownership of these forests and lands was acknowledged only when the conditions for permission were met.
    Registration was the basic premise adopted by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ownership of forest. The content and meaning of registration differed slightly by period, but the stipulation of registration in Article 19 of the Forest Law was never denied or abandoned.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registr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confirmed ownership of forest and land through assessment and judgement and gave the legal effect of original acquisition(原始取得). By extinguishing existing rights relations and granting exclusive ownership as set forth by the Japanese Civil Law,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eliminated disputes that have been raised so far and completed the colonial forest and land ownership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