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浦渚 趙翼의 학문관과 경학 (Po Jeo(浦渚) Jo-ik(趙翼)'s View of Learning an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08.03
39P 미리보기
浦渚 趙翼의 학문관과 경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34호 / 203 ~ 241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포저 조익은 대동법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개혁적인 관료로 알려져 있다. 그는 왜란과 호란을 겪으며 피폐해진 민생을 되살려야 하는 국가재건의 시기에 공정하고 현실적인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나라를 잘 다스리기 위해서는 인재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인재의 양성은 학문에 있다고 생각하여 경전의 충실한 학습을 강조하였다. 학문에는 이치를 궁구하기 위한 독서와 그것의 실현을 위한 성의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그것은 ‘敬’을 통해 실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수양의 방법이기도 한 ‘경’에 대한 진지한 추구는 자신의 학문을 정치적 현실에서도 충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내적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포저는 경학의 해석에서 주자와 송대 학자들의 학문적 성취와 해석을 존경하고 존중했지만 그것에만 매몰된 것이 아니라 경전의 본지를 추구하려는 진지하고 유연한 학자적 자세를 견지하였다. 특히 『孟子淺說』의 해석에서는 지극히 公義롭고, 조금의 私慾도 없게 하는 것이 성품을 기르고 세상의 일을 처리하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아울러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합당한 제도와 규칙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변통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전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은 時宜에 적절한 개혁적 정책을 신념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었다.
    그의 『맹자천설』은 비록 주자의 맹자해석에 대한 보완적인 측면이 강하긴 하지만 조선에서 독자적인 안목으로 『맹자』의 전편에 대한 해석을 가한 최초의 주석서로서 평가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맹자』에서 논의되어야 할 쟁점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맹자』라는 경전의 본지를 적극적으로 파악하려 했다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될 수 있다.

    영어초록

    Po Jeo Jo-ik is known as a crusading official pushing ahead with "Dae-dong Law". He carried out impartial and real policy in the change period for rebuilding the nation and reviving the impoverished livelihood of the people becaus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Imjin War) and the Manchu War. He thought qualified individual is most necessary to govern the country well. He also emphasized the faithful learning of 'the scripture' for cultivating men of ability. He thought reading and sincere attitude to seek and realize reason should be required for learning. It was practiced through '敬', that is a sincere and moderate mind. His attitude to seriously seek '敬(a way of cultivation of the mind)' was the internal motive force with which he could actualize his learning in political reality.
    In the comment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Po Jeo respected and honor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nalysis of Ju-ja and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However, he didn't be buried under it but held on to the serious and flexible attitude as a scholar trying to catch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ripture'. Especially, in the comment of 『孟子淺說』 he showed impartiality, righteousness and unselfishness are essential in cultivating character and dealing with worldly affairs. He also had an idea that social systems and rules can become different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His 『孟子淺說』 have a supportive function of Ju-ja's analysis of 『孟子』. However it can be estimated as the first commentary of the whole volume of 『孟子』 with his own view in the Joseon Dynasty. It also can be appreciated in that he aggressively tried to catch the original meaning of 『孟子』 with categorization of hot issues according to th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