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왜 사회생물학이 문제인가? (Why sociobiology is a probl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06
22P 미리보기
왜 사회생물학이 문제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59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정세근

    초록

    이 글은 ‘진화론은 목적론이 아니다’라는 명제를 증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윈과 라마르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용불용설이 아니라 목적론에 있었다. 진화라는 관념에 그 둘은 일치했지만 다윈은 라마르크의 목적론적 설명방식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다윈에게 획득형질은 유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많은 연구자들은 여전히 진화론을 목적론적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가까운 목적을 긴 목적으로 확대적용하는 ‘목적론의 적용오류’에서 비롯된다. 그들은 내 삶의 목적을 내 종의 목적으로 해석한다.
    최재천이 윌슨의 통섭이라는 말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생물학에 의한 모든 학문의 통합이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이 개념을 전체주의적이고 패권주의적이라고 생각해서, ‘통섭’(統攝)은 ‘통섭’(通涉)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윌신의 지지자만큼이나 윌슨의 반대자는 많다.
    사회생물학이 사회진화론은 아니지만 사회생물학이 지니고 있는 목적론은 진화론을 강자의 논리로 이끌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진화의 아주 짧은 부분인데도, 진화라는 말을 빌려 적자생존의 이론에 가치판단을 내리고 있다. 멸종된 생물이 생존한 생물에 비해 열등하리라는 생각은 인간적인 판단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이 선택했을 뿐이지, 그것이 못났기 때문이 아니다. 노자가 말했듯이, 자연은 우리를 사랑하지 않는다. 인류는 그저 살아남았을 뿐이고, 인간의 자유는 자연의 필연과 마주하며, 진화의 무대는 세계가 아니라 시간이다.
    과학이 중립적이라는 생각은 신화에 가깝다. 다윈의 개념들은 각기 스펜서, 스미스 그리고 맬더스에 빚지고 있다. 과학은 시대를 반영한다. 진화론을 놓고도 생물학계는 양분되고 있다. 윌슨과 도킨스의 반대편에는 굴드와 르원틴이 있다. 현대생물학은 여전히 문화와 후성유전 그리고 가소성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한다.
    서양철학은 성악설을 그 주류로 삼는다. 다윈도 예외는 아니다. 그의 이론은 어쩔 수 없이 투쟁, 이기심 그리고 멸종이라는 관념에 기대고 있다. 비록 사회진화론이긴 하지만, 진화론을 가장 잘 이용했던 사람들은 나치와 일본제국주의자였다. 조선은 그렇게 수탈되었다.
    진화론은 서구의 실체론적 사고에 도전하는 것이며 어떤 종도 목적을 갖고 완전태로 나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여 우열을 나누지 않는다. 자연선택에는 서열과 최적화가 없다. 진화론은 진행형이다. 진화론이 문제가 아니라 목적론이 문제다. 사회는 목적이 있어도 자연에는 목적이 없다. 진화론에서 목적론이 배제될 때 우리는 사회학이 아닌 생물학을 만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rove a proposition that the theory of evolution is not a teleology. The difference between Darwin and Lamarch is not the use and disuse theory but teleology. On the evolutional point of view, they came to an agreement, but Darwin could not accept the way of teleological explanation. For Darwin, a acquired character is not inherited.
    Many scholars, however, still regard the theory of evolution as a teleology. It begins with the categorical fallacy of teleology confusing short term and long term. They interpretate my goal of life as species' purpose.
    Prof. Choe, Jae Chun, tries to unify all fields of study by a biology under the word of 'Consilience' promoted by Wilson. But many scholars are against Choe because they think the concept of consilience is too much hegemonical.
    Definitely, sociobiology is not social Darwinism, but its teleological approach of evolution leads us to a logic of power. We give a value judgement for 'survival of the fittest' even though an human history is a very short part of evolution. There is no valuation in the history of nature but 'selection of nature'. Nature selected the things without love as Laotzu told, not by the reason why they were worthless. We, human beings, just survive, and our freedom is always against necessity of nature. The stage of evolution belongs not to a human world but to time in itself.
    Is science neutral? It seems to be a myth. Darwin owed Spencer, Smith, and Malthus for his conceptions. Science reflects a period. The society of biology is bisected by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theory of evolution just like Wilson and Dawkins versus Gould and Rewontin. Contemporary biology still can not explain culture, epigenesis (rules), and plasticity perfectly.
    The mainstream of western philosophers including Darwin believed that human original nature is evil. He depended on notions of struggle, selfishness, and perish. Social Darwinism was practically utilized by Nazi and Japanese imperialists. Korea was plundered by them.
    The theory of evolution challenged a western way of substantial thinking, and advocated that any species were not going toward perfection in all organic beings. There is no superiority or inferiority in Darwinism. There are no social rankism and optimization in natural selection. The grammar of evolution is a progressive tense. The problem is not Darwinism but teleology. Society has its goal, but nature has not. When teleology is excluded in Darwinism, we meet a pure biology not containing a political soci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