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지증왕대 喪服法과 一夫一妻制 (King Jijeung's Funeral Law and Silla's Monogam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신라 지증왕대 喪服法과 一夫一妻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53권 / 91 ~ 116페이지
    · 저자명 : 서영교

    초록

    고구려와 백제의 왕실에는 일부다처제의 혼인풍속이었다. 그러나 신라왕실에는 일부일처제의 혼속을 준수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신라에 비해 강고한 왕실혈연집단의 지배를 받지 않았던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구려와 백제에는 왕가와 통혼권을 가진 다수의 귀족세력집단이 존재했지만 신라는 그렇지 않았다.
    『북사』 신라전에 “國王이 돌아가면 신라인들이 1년 상복을 입었다.” 라고 하는 규정이 보인다. 이는 504년 지증왕의 상복법 제정반포가 남긴 흔적으로 보인다.
    또한 『북사』를 보면 신라에는 고구려나 백제에 없는 妻子喪 규정이 있다. 신라에서는 妻가 존중받았고, 그녀가 낳은 아들도 그러했다. 妻는 1인의 正妻이며, 아들은 그녀가 낳은 嫡子이다. 喪制와 숭배를 영속시키기 위해 아들을 생산하는 婚制는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내물왕 이전 시기에 重婚이 존재했으며, 왕자의 신분은 어머니의 신분에 의해 규정되는 出生의 문제이지 婚姻의 순서 문제는 아니었다. 그러다가 417년 눌지왕이 즉위하면서 왕위가 한 가문에 고정되고 변화가 생겨났다. 눌지와 형제(卜好․未斯欣) 집안 사이의 족내혼이 시작되었다. 눌지왕에서 지증왕대에 이르는 통치시기 동안 왕실가족 여자가 낳은 아들이 왕위를 계승했다. 이러한 족내혼 구조에서 신분과 결합된 일부일처제의 혼속이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하나의 왕실 구성원들의 힘이 신라사회에서 확고한 우위를 확보하기 시작한 눌지왕대 이후 지속적으로 행해진 족내혼이 일부일처제의 婚俗 생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지증왕의 상복법 제정에 그것이 반영되어 반포되면서 신라사회에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복법제정으로 아버지의 喪에 적자들만이 喪主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첩의 자식들은 상례에서 배제되었던 만큼 대를 이을 자격도 가질 수 없었다. 제사를 상속받은 자는 거기에 딸린 지위와 재산도 상속받는다. 이는 진골귀족들의 수를 제한하는 장치가 되었다. 지증왕의 상복법 반포는 왕실에 갇혀있던 死王에 대한 숭배의 문을 신라사회를 향해 열게 했고, 왕실의 일부일처제 혼속을 저변으로 확대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일부일처제 혼속의 토대 위에 골품제가 세워지는 계기로 작용했다.

    영어초록

    Goguryeo and Baekje were part of polygamy. Monogamy was observed in Silla's royal chambers. The difference is believed to hav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Goguryeo and Baekje were not ruled by the royal family, which were stronger than Silla. There were many aristocratic groups in Goguryeo and Baekje, but Silla was not, and marriages were held inside the royal family.
    According to Chinese records, Silla people wore a year of mourning when the King died. It was forced upon the Silla people by the king and was left by King Jijeung's Funeral Law in April 504.
    There are no regulations on wives and children in the funeral laws of Goguryeo or Baekje. It exists only in Silla. In Silla, the wife was respected, and so was her birth son.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between a funeral system and a marriage system. Both that produces the son to perpetuate worship.
    Before King Naemul and King Silseong, where the throne was replaced by three blood families, monogamy was not present. Polygamy existed, and the prince's status was not a matter of order. It was defined by his mother's status.
    Then, in 417, King Nulji was crowned king, and the throne was fixed to Naemul royal family. The marriage of close relatives between Nulji and brothers royal family began. The son of a woman with three royal family blood flow was succeeded to the throne during the hundred year. In this structure, the marriage of monogamy, combined with status, appears to have been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