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 공부론에 있어서 역사서의 의미 (Chu Hsi’s Opinion on Studying History book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03
16P 미리보기
주희 공부론에 있어서 역사서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1권 / 1호 / 119 ~ 134페이지
    · 저자명 : 이우진

    초록

    이 글은 역사서 공부에 대한 주희의 사유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역사서 공부에 대한 주희의 입장은 이율배반적인 입장을 내보이는 듯하다. 사실 그는 역사서 공부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리지 않았다. 역사서 공부가 무슨 학문이냐며 그것은 긴요하지 않은 공부라고 단언하였다. 또한 역사서에 지나치게 매달리게 되면 여조겸(呂祖謙)과 진량(陳亮)처럼 스스로를 망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결코 역사서가 공부의 중심에 자리해서는 아니 된다고 그는 주장하였다. 하지만 주희는 역사서 또한 보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역사서 공부를 통해 인(仁)을 이룰 수 있으니 암송하라고 주문하기까지 하였다. 이와 같은 주희의 모순적인 언설은 유학자의 공부에서 역사서 공부도 중요하나, 경학(經學)이 사학(史學)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선경후사(先經後史)의 공부론적 입장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주희에게 경전 공부는 ‘성인이 제시한 의리(義理)가 직접적으로 담겨져 있는 텍스트를 통해 학습자가 가치판단 기준을 마련하는 활동’이고, 역사서 공부는 ‘학습자가 인류의 역사 속에 나타났던 사건들에 가치판단의 기준을 적용하고 해석하는 활동’이었다. 곧 경전은 ‘기본서’이고 역사서는 ‘응용서’이었다. 이에 따라 ‘기본이 되는 경전 공부’가 ‘응용으로서의 역사서 공부’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선경후사(先經後史)의 원칙을 주희는 내세웠다. 만약 경전 공부가 역사서 공부보다 나중으로 미루어진다면, 학습자는 올바른 가치판단 기준 없이 역사적 사실들의 형세이해(形勢利害)․사정득실(事情得失)만을 고찰할 뿐이어서 잘못하면 공리(功利)로 빠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고 주희는 파악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여조겸과 진량을 비롯한 절동(浙東)의 ‘역사서 중심주의자’들이었다. 물론 주희는 유학자에게 경전 공부는 역사서 공부 모두 어느 하나도 버릴 수 없는 중요한 공부임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할지라도, 경전 공부와 역사서 공부는 체용(體用)․본말(本末)․선후(先後)의 위계를 이루고 있음을 그는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u Hsi’s opinion on the study of history books. Chu’s perspective on the study of history books seems to be contradictory at first glance. Chu didn’t regard the study of history books as important and he asserted that it was not a compulsory subject in confucian self-cultivation. Chu also warned that people can ruin themselves through excessive study of history books such as Lu Zuqian and Chen Liang. Chu insisted that the study of history books should not be at the center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However, Chu argued that confucian scholar have to read the history books. Furthemore he recommended that confucian scholar should recite history books. And he believed that people could achieve ‘the Humanity[仁]’ through studying history books. In fact, these claims aren’t a contradiction. Chu actually was saying that the study of the Classics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study of the history books. he thought that the Classics are ‘basic books’ and history books are ‘application books’. The study of the Classics is an activity to establish the moral judgment criteria in learners’ mind, And, the study of the history books is an activity that learners apply those criteria to the historical ev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