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법적 문제 (Rechtsfragen der deutschen sozialen Pflegeversicher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4.02
26P 미리보기
독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법적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5권 / 1호 / 445 ~ 470페이지
    · 저자명 : 김명용

    초록

    독일 요양보험법은 현물급부원칙을 채택하고(물론 예외적인 비용상환급부도 인정되고 있으며, 피보험자의 선택에 따라 현물과 비용상환도 가능하다), 특히 보험자와 시설경영주체와의 위임계약이 피보험자와 요양사업자 사이의 계약을 직접 구속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개별계약에서의 내용형성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비용상환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피보험자와 요양사업자의 사적 자치를 원칙으로 한다(다만, 급부에 관련되는 상환조건이 엄격하기 때문에 계약당사자의 의사해석을 매개로 요양보험급부의 공법적 규율을 그대로 계약내용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내용형성의 자유가 사실상 제약되고 있다). 이 점은 부가적 요양급부에 관계되는 요양을 필요로 하는 요양자본인과 시설경영주체와의 사적 자치에 대한 규제방법에 커다란 차이를 초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독일의 경우 부가적인 요양급부의 부분을 요양시설법의 규율에 위임할 뿐만 아니라 요양보험의 공법적 규율에 강행법규적 성격을 가지게 하였으므로 직접 그의 허용성 및 범위에 관계되는 요양부분에 대해서도 형식적으로는 사적 자치에 위임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제공된 요양급부가 요양보험의 상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서도 요양을 필요로 하는 요양자와 경영주체와의 사적 자치에 근거한 계약합의의 존재가 규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시설․사업자와 요양을 필요로 하는 요양자의 개별합의의 범위를 제한하는 구조도 준비되고 있지만, 많은 부분은 공법상 행정규제인 지정기준의 성격에 따르기 때문에 그의 사법적 효과는 미지수이다.
    독일에서는 당초부터 호텔비용은 완전 자비부담이며, 현물의 보험급부와 자비의 요양급부가 혼합한다. 그러나 호텔비용에 관해서는 사회복지 수급자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시설단체와의 협약으로 결정되었던 것으로부터 요양보험의 피보험자에 대해서도 교섭대리권이 요양보험공단에 흡수되었다. 그러므로 요양서비스의 대가에 관해서는 피보험자가 결정하는 여지는 좁다. 한편 일본 개호보험법은 2005년 개정에 의하여 호텔비용이 자비로 전환되었지만, 이 부분은 피보험자와 시설경영자와의 사적 자치에 위임되고 있다. 후생노동성 고시에 의하여 가이드라인도 구체적인 금액을 제시하지 않고, 계약체결과정의 절차규정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피보험자의 사실상 불리한 점을 보충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덧붙여 독일에서는 요양시설법을 통하여 입소자의 공동결정이 제도화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유사한 제한이 없다.
    최근에 독일에서는 보수 면에서 어느 정도 세부적으로 결정되는 한편, 제공되는 서비스내용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법상황은 2001년 개정에 의하여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적어도 제공될 수 있는 요양서비스의 내용, 특히 그의 질 문제가 요양보수 및 집단적 계약의 내용과 직접 연동되게 되었다는 점, 그를 위하여 서비스표준을 연방 차원에서 설정하기 위한 규조가 정비됨으로써 현재는 요양서비스의 정형화가 발전하고 있다.

    영어초록

    Nach rund zwanzigjähriger Debatte wurde Art. 1 des Gesetzes zur sozialen Absicherung des Risikos der Pflegebedürftigkeit und damit das Elfte Buch des Sozial-Gesetzbuchs –soziale Pflegeversicherung- (SGB XI) im Jahre 1994 verabschiedet. Es gab trotz des gesellschafttlichen und politischen Konsenses über die Notwendigkeit einer besseren Absicherung bei Pflegebedürftigkeit, insbesondere hinsichtlich der ordnungspolitischen Prinzipien wie auch der konkreten Ausgestaltung, bis zum Ende der Diskussion um das Pflegeversicherungsgesetz fundamentale Meinungsverschiedenheiten. Darüber hinaus fiel die Verabschiedung des Pflegeversicherungsgesetzes in eine Zeit der verschärft geführten Diskussion um die Sozialleistungsquote und ihre Bedeutung für den Wirtshaftsstandort Deutschland.
    Die Etablierung eines neuen Sozialversicherungszweiges war zu diesem Zeitpunkt nicht selbstverständlich, da die Sozialstaatsfundamente brüchig wurden und fiskalische Probleme im Zuge der deutschen Einheit den Handlungsspielraum für den ,,Ausbau des Sozialstaates" grundsätzlich in Frage stellten. Trotzdem wurde die Pflegeversicherung installier, sie ist zum Faktum geworden und bestimmt maßgeblich die Infrastruktur von Diensten und Einrichtungen für pflegebedürftige Menschen. Die Pflegeversicherung fällt in eine Phase der Modernisierung der Gesellschaft. Veränderte, zu einer geringeren Anzahl von Mitgliedern tendierende Haushaltsstrukturen, eine ausgeprägte Mobilität, modifizierte Erwartungen und Bereitschaften zu Hilfehandeln und allgemein eine Pluralisierung von Lebensstilen und Werthaltungen sind Folgen der Modernisierung. Sie haben unmittelbare Auswirkungen auf die sozial Sicherung bei Pflegebedürftigkeit, die heute noch im Wesentlichen auf traditionellen und vormodernen Mustern und Rollenverteilungen beruht. Die Einrichtung der Pflegeversicherung fiel weiterhin in eine Zeit demographischen Wandel, der die Gesellschaft vor Herausforderungen hinsichtlich der Transferleistungen für ältere Menschen und der Sicherstellung von Solidarität gegenüber pflegebedürftigen Menschen stellt, die es so vorher nicht gegeben hat. Insofern verbietet sich auch jeder vereinfachende Rückgriff auf traditionelle Bilder pflegerischer Versorgung und Solidaritäten innerhalb und außerhalb von Famili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