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송 관련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과제 (The important Content and Problem in the Transportation­related Amendment of the Commercial Law)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9
27P 미리보기
운송 관련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6권 / 3호 / 3 ~ 29페이지
    · 저자명 : 권기훈

    초록

    복합운송은 하나의 계약으로 육상운송・해상운송・항공운송 중 두 가지 이상의 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규정의 위치도 육상운송・해상운송・항공운송의 규정 뒤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운송을 맡은 육상운송인에게 책임제한을 인정할 것인가에 관하여도 살펴보았다. 육상운송인의 책임을 제한한다고 하여 운임이 낮아진다는 보장도 없이 책임만 완화시킬 우려가 있어서 수긍하기 어렵다.
    운송물에 대한 검사・조사 의무를 누가 어느 정도로 부담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손해원인・손해발생구간에 대한 입증책임 부담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 각 운송구간의 종료 또는 개시 시에 운송인으로 하여금 운송물에 대한 조사 및 통지의무를 부과하고, 이를 게을리 한 경우에는 중한 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손해발생 시 운송물 손해에 관한 입증책임 규정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손해발생구간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운송인이 조사 및 통지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개별 운송구간의 책임 중 가장 엄격한 책임을 지도록 한다. 반면에 운송인이 조사 및 통지의무를 다한 경우에는 운송거리 기준에 의한 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복합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강행규정은 오히려 구체적인 운송 조건에 따라 책임에 관한 합리적인 약정을 막게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대상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등한 경제적 힘을 갖고 있는 당사자 사이의 복합운송계약에 있어서는 책임감경 금지에 대한 예외규정을 두는 것도 검토해야 할 과제이다.

    영어초록

    Combined transport refers to the movement of goods us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 in a single contract, the clause on combined transport should come after the clauses on overland transport, sea transport and air transport.
    There is also a need to set a standard on the reasonable amount of package limitation of liability for each transport sections as combined transport operator’s liability differs in different transport sections. Whether or not to recognize liability limitation for land transport operator is an important issue. Recognition of land transport operator’s liability limitation could overly alleviate carrier’s liability. It does not guarantee lower freight charge, either.
    The issue of who is responsible for inspection and examination of the cargo should also be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cause of the damage and the section where the damage took place. In addressing the issue, holding carriers responsible for examining cargo at the end or the beginning of each transport section and notifying the results, and making them take due responsibility for negligence could be considered. Also the clause on burden of proof in case of damage must be written more clearly. Further discussions on how to define the liability of combined transport operators in case of concealed damage should be made as well. It is theoretically feasible to put the burden of proof of damage on the carrier and hold the carrier liable for the maximum liability section in case of concealed damage. However, this could lead to a rise in freight charges, which calls for practical review on cost adjustment among interested parties. In case the sec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cannot be verified and the carrier did not fulfill the duty of examination and notification, the carrier must be held liable for the section with the maximum liability. If the carrier did fulfill the duty of examination and notification, liability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ransport distance.
    Compulsory provisions on the liability of combined transport operators can sometimes hinder formation of reasonable contracts that can be signed under specific transport terms and conditions. Therefore, there needs to be further discussions on the objects of such provisions. Careful review is also needed on setting escape clauses on the ban on liability mitigation in combined transport contracts among parties of equal economic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