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A Study on the Figurative Methods and Meanings of “Mind” in Baek Seok’s Poet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3.12
34P 미리보기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38호 / 147 ~ 180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백석의 시 전편을 대상으로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먼저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출현 빈도와 환경을 분단 이전 시와 분단이후 시로 나누어 살펴보고, 백석 시 전편을 대상으로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작용을 밝혀 보고자 했다. 특히 백석 시에서 마음이 신체화되고공간화되는 방식을 레이코프의 은유 구조 이론을 활용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백석 시에서 ‘마음’을 수식하는 형용사들이 특별하게 쓰인다는 데 착안하여 그 형용사들의 용법을 통해 ‘마음’의 의미가 백석 시에서 어떻게구축되고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논문에서는 백석 시에 쓰인‘마음’이라는 시어가 ‘가슴’과 구별되어 사용되었으며 백석 시 전편에 걸쳐 고빈도로 사용되었고 긍정적인 특정한 가치를 드러내는 의미로 쓰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분단 이전의 백석 시에서 ‘마음’이라는 추상적인 시어가 구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마음’에 밝기와 깊이와 무게를 불어넣음으로써 백석의 시가 ‘마음’을 신체화하고 있다고 보았다. 레이코프의 은유 구조 이론을 활용하여 백석 시에 쓰인 ‘마음’이 무언가를 담아내는 용기(容器)로 은유되거나 지층을 가진 공간으로 은유되고있음을 밝혔다. 이렇게 신체화되고 공간화된 ‘마음’은 백석 시에서 감정의구체성을 획득하는 데 이르게 된다. 분단 이후의 백석 시에서는 ‘마음’의관용적 용법이 두드러지면서 북한 문학의 유형화된 주제를 드러내게 된다.
    특히 ‘붉은 마음’이라는 시어의 조합을 통해 사회주의의 열망을 드러냈다.
    또한 백석의 시에는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는 형용사들이 비중 높게 쓰였는데 그 중에서도 ‘서럽다’와 ‘슬프다’는 주로 대상에 대한 연민을 드러낼때 사용되었고, ‘외롭다’, ‘쓸쓸하다’, ‘가난하다’, ‘희다’ 등은 화자의 자기성찰적 태도를 드러낼 때 쓰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분단 이후의 백석시에서는 ‘마음’을 수식하는 형용사들에도 변화가 생기면서 결국 자기 성찰적 태도도 사라지게 되었다.
    이 논문은 백석 시에 쓰인 ‘마음’이라는 시어와 ‘마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들의 용법과 의미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백석 시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동양 문화권에서 ‘마음’을 이해해 온 방식, 특히 유교의 심학에서‘心’을 이해한 과정과의 관련 속에서 백석의 ‘마음’을 규명할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양철학적 마음 이해의 이론적 체계를 현대의 인문학적맥락 속에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최근의 통합인문학적 연구 동향은 이논문의 문제의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gurative methods and meanings of "mind" in Baek Seok's poetry. For that purpose, the study first looked into the frequency and environments of "mind" in his poems on the basis of the division of korea and examined the ways of mind embodiment and spatialization in his poems through the metaphorical structure theory of Lakoff. Taking notice of the special uses of adjectives embellishing "mind"in his poems,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how the meanings of "mind"were established in his poems through the usages of those adjectiv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oetic word "mind" was used separately from "heart" and chosen to show certain positive values in his poems. The study also focused on the process in which the abstract poetic word "mind" obtained concreteness in his works. The poet granted brightness, depth, and weight to "mind" in his poems, thus achieving the embodiment of "mind." Taking advantage of Lakoff's metaphorical structure theory, the investigator also found that he used "mind" as a metaphor for a container holding something or a space with a layer. The embodiment and spatialization of "mind' resulted in emotional concreteness in his poems. In Baek Seok’s poetry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he idiomatic usage of “mind” stood out and brought out typed theme of nor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poetic diction as ‘red mind’, Baek Seok’s poetry brought out the aspiration of socialism.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adjectives depicting the states of "mind" in his works; "sad" and "sorrowful" were usually used to reveal compassion for the object, and "lonely," "solitary," "poor" and "white" were used to show the speaker's self-examination attitude.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usages and meanings of "mind" and the adjectives describing the states of "mind," the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poet's "mind" in its relations with the ways that "mind" had been understood in the Oriental culture and especially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ind" in the mind studies of Confucianism.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study was influenced by a recent research trend of integrated humanism to settle down the theoretical system of mind understanding in Oriental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modern hu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