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상심삼매(無相心三昧)의 성취와 수행론적 가치 (Achievement of animitta cetosamādhi and value as medit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1.06
38P 미리보기
무상심삼매(無相心三昧)의 성취와 수행론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6호 / 29 ~ 66페이지
    · 저자명 : 임형준

    초록

    본 연구는 초기경전에 나타난 무상심삼매의 의미와 성취에 관하여 분석하고 대승과 선 수행으로의 전개를 살펴본 후 이 수행의 수행론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무상심삼매는 붓다가 무위에 이르는 길로 제시한 것 중에 하나이지만 그간에 실천과 학문적 영역에서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수행이다. 무상심삼매는 ‘인상을 여읜 마음의 삼매’로써 색·성·향·미·촉에 의한 형상적 인상과 사무색계와 같은 일부 심상적 인상을 여의어서 성취되는 삼매라 할 수 있다. 보통의 불교명상은 인상이라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거나 관찰하는 수행인데 무상심삼매는 명상의 대상이 인상이 없는 열반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승기신론』의 사마타 수행은 진여에 의거하여 어떠한 대상이나 상념을 따라가지 않아 성취되기에 열반을 대상으로 삼고 어떠한 인상도 여의어가는 무상심삼매와 거의 일치한다. 선 수행에서는 도신이 『기신론』의 일행삼매를 이어받았고 이후 선종의 주요 좌선법으로 자리 잡게 된다.
    무상심삼매의 수행론적 가치는 법념처로써의 가치와 선 수행으로써의 가치로 나누었다. 무상심삼매의 법념처 수행은 열반을 대상으로 하기에 현상의 생멸을 관하는 일반적인 법념처 수행과는 차이가 있다. 불교에 대한 충분한 교리적 교육과 현대적인 해석이 뒷받침된다면 열반을 대상으로 한 법념처 수행을 명상프로그램이나 심리치유프로 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선 수행으로써 무상심삼매 계통의 좌선은 간화선 이전까지 조사선 수행법의 주류였음을 상기해 보았다. 무상심삼매가 비록 초기불교의 선정에 해당할 지라도 조사선의 좌선법과 일치되는 점들을 논증하였다. 불성, 자성청정심을 바탕으로 하는 조사선은 열반을 대상으로 한 법념처 수행과 맥을 같이 한다. 무상심삼매의 수행론적 가치를 가장 극대화 시킨 것은 중국의 조사들이며 오늘날 다시 실천될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work analyzes the meaning and achievement of ‘animitta cetosamādhi’ shown in early scriptures and examines the meditative value of this meditation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 into Mahayana and Seon(禪) meditation.
    Animitta cetosamādhi is one of the things that has been suggested as a path to asaṅkhata, but it has not paid special attention to practice and academic areas. Animitta cetosamādhi is a "samādhi in the mind that has lost its nimitta," which is achieved by losing some mental impressions such as object, sound, scent, savour, beauty, tangibles and non material world. Ordinary Buddhist meditation focuses on or observes one object, which is an nimitta,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object of animitta cetosamādhi is nibbāna without nimitta.
    The meditation of samatha i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大乘起信論)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animitta cetosamādhi, which is targeted at nibbāna and loses any nimitta because it is achieved by not following any object or concept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In Seon meditation, the Dosin(道信) took over ilhaeng samādhi(一行三昧) of the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and later became the main method of the Seonjong(禪宗) line.
    The meditative value of the animitta cetosamādhi was divided into the value of the mindfulness of dhamma and the value of Seon meditation. If sufficient doctrinal education and modern interpretation of Buddhism are supported, animitta cetosamādhi can be used in meditation or psychological healing programs. It was recalled that the sedentary meditation of animitta cetosamādhi system was the mainstream of the Josaseon(祖師禪) meditation method until before the Ganhwaseon(看話禪). It is China's masters that have most maximized the meditative value of animitta cetosamādhi that need to be practiced again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