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선(至善)과 중(中)의 관계에 대한 우계와 율곡의 논변과 동실이지(同實異指)의 철학적 입장 (The Debate of Ugye and Yulgok on the Relation of Jiseon(至善) and Jung(中) and their Philosophical Viewpoint of Dongsil-Iji(同實異指))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지선(至善)과 중(中)의 관계에 대한 우계와 율곡의 논변과 동실이지(同實異指)의 철학적 입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66호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김동희

    초록

    본고는 지선(至善)과 중(中)의 관계에 대한 우계와 율곡의 논변을 그들의 동실이지(同實異指)의 철학적 입장에서 연구한 논문이다. 그 연구과정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퇴율(退栗)과 고율(高栗)의지선(至善)과 중(中)의 논변을 살펴본 후, 그 관계를 체계적으로 전개한 우율(牛栗)의 논변을 고찰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계는 지선(至善)과 중(中)을도덕 실천 과정으로, 율곡은 이를 사변적 측면으로 파악했다. 이에 대해 본고는선행연구의 편향성을 지적하면서 우율은 모두 지선(至善)과 중(中)을 사변적이면서 도덕 실천 과정으로 이해했음을 그들의 동실이지(同實異指)의 철학적 입장에서 논증한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우계는 大學 의 인본주의 철학에 中庸 의 천명적 우주관을 통섭하는 동실이지(同實異指)의 철학적 입장에서중체-지선용(中體-至善用)을 각각 인간과 사물에 적용한다. 이것이 우계의 이지(異指)의 철학적 입장이다. 그러나 우계가 체용일원(體用一元)을 명시한 中 庸 의 천명적 우주관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동실(同實)의 철학적 입장을 유지할수 있었다. 율곡의 경우에는 中庸 의 천명적 우주관에 大學 의 인본주의적 철학을 통섭하는 동실이지(同實異指)의 철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그래서 율곡은 지선(至善)과 중(中)의 관계를 지선체=중체(至善體=中體)와 지선용=중용(至善用=中用)의 관계로 제시할 수 있었고, ‘지선지체(至善之體)=미발지중(未 發之中)=천명지성(天命之性)’과 ‘지선지용(至善之用)=자유지중(自由之中)= 솔성지도(率性之道)’으로 정식화시킬 수 있었다. 이것이 율곡의 동실(同實)의철학적 입장이다. 그러나 그는 大學 의 인본주의 철학을 통섭하였기 때문에, 시중지중(時中之中)의 도덕 실천을 강조하여 ‘지어지선(止於至善)=시중지중(時中之中)=수도지교(修道之敎)’라는 정식화도 가능했다. 이것이 율곡의 이지(異指)의 철학적 입장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the debate of Ugye Seonghon(牛溪 成渾, 1535-1598) and Yulgok Ii(栗谷 李珥, 1536-1584) over jiseon(至善) and jung(中) and the philosophical viewpoint of dongsil-iji(同實異指) grounded on the academic attitude to Great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Mean. The hypothesis set up in it is that UYul(牛栗) could found the relation of jiseon(至善) and jung(中) in accordance with the view point dongsil-iji(同實異指), and grasp it with the fulfilling process of moral virtue, as well. In order to demonstrate it efficiently, this paper would give full consideration to the debate on ToeYul(退栗), GoYul(高栗), and UYul(牛栗) over jiseon(至善) and jung(中) in turn, after reassessing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our subject matter. In the reassessment of the studies, it makes issue with their slanted analysis that Ugye understanded jiseon(至善) and jung(中) only by the fulfilling process of moral virtue without a speculative aspect, and Yulgok did it the other way around. On the contrary, the hypothesis assumed above would be demonstrated clearly from their philosophical viewpoint of dongsil-iji(同實異指).
    The main point is as in the following in a nutshell. Since Ugye holds on to the philosophical viewpoint of dongsil-iji(同實異指) that the cheonmyeong(天命)-cosmology of The Doctrin of Mean is integrated with humanistic philosophy of Great Learning; he could set forth the idea of jungche-jiseonyoung(中體-至善用), and apply to humanity and the rest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at is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iji(異指) in the case of Ugye; but, since he embraces the cheonmyeong(天命)-cosmology of The Doctrin of Mean articulating cheyoungilwon(體用一元), it is possible to preserve his philosophical thought of dongsil(同實) . In the case of Yulgok, due to holding the philosophical viewpoint of donsil-iji(同實異指) that the humanistic philosophy of Great Learning is integrated with the cheonmyeong(天命)-cosmology of The Doctrin of Mean, he could puts forth the idea of jiseonche-jungche(至善體-中體) and jiseonyoung-jungyoung(至善 用-中用), and formulize the relation of jiseon (至善)and jung(中) in terms of ‘che of jiseon(至善之體)=jung of mibal(未發之中)=seong of cheonmyeong(天命之性)’ and ‘young of jiseon(至善之用)=jung of jayu(自由之中)=do of solseong(率性之道)’. That is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dongsil(同實) in the case of Yulgok; but, since he embraces the humanistic philosophy of Great Learning, it is possible that he makes the formulation of ‘ji-eojisoeon(止於至善)=jung of sijung(時中之中)=gyo of sudo(修 道之敎)’, putting empasis on the fulfilling process of moral virtue. That is his philosophical thought of iji(異指).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