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氣四七論辯과 人物性同異論》1. 성리학 체계 내에서의 退栗學의 차이점(1) 성리학 체계에 입각한 退溪學먼저 퇴계 사상을 살펴보면 그의 학문적 관심은 근본적으로 세계관과 인간관 ... 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학문적 의의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2) 退溪學의 선별적 反定立으로서의 栗谷學그의 저술인「天道策」에 따르면 모든 자연현상은 그 일어남에 氣 아닌 ... '이라고 지칭된다. 율곡의 '氣一途設'은 일단 퇴계의 호발론의 명제 가운데 그 일면인 氣發만을 채택함으로써 성립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退·栗의 사상을 모순 대립의 학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