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虞初新志』의 판본과 조선에서의 수용에 관한 보론 (A Supplementary Study on the Textual Variants of Yu Chu Xin Zhi and Its Reception in Chosŏn)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4.12
49P 미리보기
『虞初新志』의 판본과 조선에서의 수용에 관한 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2호 / 289 ~ 337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虞初新志』는 淸代 초기 산문과 단편소설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책이기도 하지만 18세기 중후반∼19세기 조선의 漢文散文 및 藝術 관련 분야에 큰 영향을 준 매우 중요한 서적이다. 본고는 필자의 이전 2009년, 2016년 발표문을 修訂, 增補한 것이다. 『우초신지』 연구는 鄧長風의 1997년 논문을 시작으로 프랑스 피에르 앙리 뒤랑의 연구, 최근 중국 이소룡 등의 논문이 제출되었다.
    본고는 국내외에 있는 『우초신지』의 주요 판본을 중심으로 異本의 특징을 논하고, 조선 후기 文學藝術史에서 이 책이 차지하는 의의, 조선 후기 문인들의 閱讀과 受容 등을 소개하였다. 우선 판본 관련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康熙年間에 刊行된 『우초신지』 初集 8卷本과 完結本 20卷本은 아직 미발견이다. (2) 張潮 사후 그 조카 張繹에 의해 1760년 揚州에서 袖珍本으로 重刊되었다. (3) 張潮의 同鄕인 新安(徽州 歙縣) 後輩인 羅興堂은 1764년 張繹 袖珍本 『우초신지』의 重刊 작업을 마쳤는데(1764년 淸遠閣에서 수진본으로 간행), 1769년 가을 錢謙益 문집에 대한 毁板令 직후 나흥당은 揚州敎授 金兆燕(1718∼1789 이후)에게 자문받아 『우초신지』수록 錢謙益의 두 작품(「徐霞客傳」, 「書鄭仰田事」)을 「姜貞毅先生傳」(魏禧)과 「孫文正黃石齋兩逸事」(方苞)를 교체하여 재간행하였다. 이러한 내력이 적힌 金兆燕 「識」(1769년 冬至)와 羅興堂의 序(1764년)가 붙은 淸遠閣版 『重訂虞初新志』가 나왔다. (4) 1769년 이후 羅興堂의 『重訂虞初新志』는 重刊 袖珍本이 다시 나왔다(金兆燕의 「識」 및 羅興堂의 「序」는 削除). (5) 1769년 이후∼1783년 이전에 一般板型本(16×25cm) 『우초신지』가 간행된다. 이 본은 가장 널리 현존하는 본이다. 다만 이 본과 앞서 (4)번 본의 간행 선후 관계는 현재로선 확정할 수 없다. 錢謙益이 관련된 모든 작품은 삭제되었고 張潮의 原撰本엔 없던 몇몇 작품이 추가 편입되었다. (6) 1851년 小嫏嬛山館藏板 袖珍本은 이전 본들에 비해 작품의 出入이 더 심한 편인데 그 중 새로 들어간 孫嘉凎(1683∼1753)의 「南遊記」(1721年作)는 張潮의 原撰本엔 없던 작품임이 분명하다. (7) 民國初 石印本으로 간행된 『우초신지』는 1851년 小嫏嬛山館藏板 袖珍本을 板型만 바꿔 간행한 것이다. (8) 1823년 일본에서 翻刻된 『우초신지』는 ‘乾隆年間 一般板型本’을 底本으로 하고 거기에 張繹 重刊袖珍本을 참조하여 補遺 4편(「판교잡기」는 제외)을 붙여 놓았는데 翻刻 序文을 쓴 荒井公廉은 ‘乾隆年間 一般板型本’을 ‘康熙年間 初刊本’으로 오해하여 수진본보다 선행하는 판본으로 보는 실수를 하였다. (9) 한국에는 『우초신지』의 刊本도 여러 종 남아 있지만 필사본도 매우 많다. 조선 후기에 이 책이 얼마나 높은 인기가 있었는지를 증명해주고 있다. 서울과 近畿 및 湖西의 문인까지, 士大夫부터 中人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閱讀의 흔적이 나타난다.
    조선 문인들의 『우초신지』受容 樣相을 몇 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稗官小說로서의 흥미요소에 정통 산문 문체 작품의 다채로운 양상들에 대한 愛好로 수용한 경우이다. 宋來熙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2) 立傳 대상의 다변화. 특히 市井人(평민‧하층민) 으로의 立傳 대상 확장: 朴趾源, 李鈺, 金鑢 등. (3) 奇人‧藝人에 대한 立傳 盛行: 朴趾源, 李鈺, 金鑢 등. (4) 傳奇小說史의 면에서 愛情 傳奇 및 義俠 傳奇에 영향: 李鈺, 金鑢, 金祖淳, 李安中 등. 이와 관련하여 奎章閣에 『外史續英華』(筆寫本 1冊)라는 책이 주목된다. (5) 남녀애정 소재 詩文의 출현을 촉발시킴: 『우초신지』에 수록된 余懷의 「板橋雜記」, 張明弼의 「冒姬董小宛傳」 (附 冒襄의 「影梅菴憶語」) 등이 대표작으로, 金鑢 「思牖樂府」, 韓在洛의 『綠波雜記』에서 이들 작품의 영향력을 감지할 수 있다. (6) 對明義理에 투철하여 明 遺民 자료의 수집 일환으로 수용한 경우이다. 李德懋 (『磊磊落落書』), 成海應(『皇明遺民傳』)이 대표적이다. 『우초신지』의 편찬자나 청과 조선의 애독자들에게는 崇明排淸 의식이 그 기저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7) 風俗 및 微物, 身邊雜記에 대한 기록: 李鈺 『鳳城筆』, 『『白雲筆』 등. (8) 명‧청 교체기 역사 사실에 대한 지식 확장 및 중국의 기록 속에 조선 관련 記事 추출: 朴趾源(『三韓叢書』), 李德懋(『盎葉記』, 『耳目口心書』) 등.

    영어초록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