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중국 이소룡 등의 논문이 제출되었다.본고는 국내외에 있는 『우초신지』의 주요 판본을 중심으로 異本의 특징을 논하고, 조선 후기 文學藝術史에서 이 책이 차지하는 의의, 조선 후기 ... 문인들의 閱讀과 受容 등을 소개하였다. 우선 판본 관련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康熙年間에 刊行된 『우초신지』 初集 8卷本과 完結本 20卷本은 아직 미발견이다. (2 ... 보다 선행하는 판본으로 보는 실수를 하였다. (9) 한국에는 『우초신지』의 刊本도 여러 종 남아 있지만 필사본도 매우 많다. 조선 후기에 이 책이 얼마나 높은 인기가 있었는지를 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