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소송법의 개정방향 (Direction toward Reform of Criminal Procedure 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1.05
74P 미리보기
형사소송법의 개정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2권 / 109 ~ 182페이지
    · 저자명 : 신양균

    초록

    1954년 제정된 형사소송법은 그 동안 여러 차례 걸친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미 100년 넘게 유지되어 온 규문주의적 틀 속에 새로운 제도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는 데 그쳤다. 2007년 개정이 대폭개정을 통해 형사소송법의 틀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여전히 많은 변화의 요구 가운데 있다. 형사법학회가 2010년 한해 동안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서 수사, 공판, 증거법, 법률체계 등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대적 요청과 형사절차를 통한 법치국가 원리의 실현에 부응하는 방향에서 개정시안을 제시한 바 있는데, 이 글은 그 내용을 개관, 검토한 것이다.

    영어초록

    Criminal Procedure Act has a character as a concrete procedural rule not only to realize abstract criminal law, but also to realize a procedural rights, which the Constitutional Law tries to realize as fundamental human rights of freedom. More recently the act is being called upon to play a role as the bill of rights for the protection of the victim.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rial participating with the citizen.
    Because our system of crimininal procedure keeps its elemental shape more than 50 years in spite of such a request for various roles. we need fundamental introspect into a new shape of criminal procedure. Only with maintaining a code meeting requirements about traditional principle of criminal procedure, based on accusation system, criminal procedure act is not able to fulful its role faithfully.
    The Korean Criminal Law Association has founded ad hoc commission for reform of Criminal Procedure Act in 2010 and the commission held internal workshops several times and opened an academic conference. After such a mature consideration the commission drew a proposal draft for new criminal procedure.
    At the stage of investigation is generally required institutionalization of inquire before booking, legal arrangement for the search for an identified cirminal,improvement of autopsy system, stipulation of legal ground for prohibition of departure from the country and enlargement of the right to councel during the examination of a suspect. In connection with compulsory measures againt person, should be considered ex post issuing warrant of arrest after emergency arrest,conceptional restriction of quasi-flagrant offender, introduction of bail for a pre trial suspect, inclusion of the suspended period duing to adjudication in calculating the detention period, abolition of prosecutor`s right of immediate appeal against court's decision to susepnd the execution of detention or revocate the detention etc.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compulsory measure against a thing, should be reviewed stipulation of legal ground for search for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more strict restriction of emergent search, seizure and inspection without ex ante warrant.
    At the stage of trial should be improved the system of appeal against non-indictment disposition of prosecutor to the court, relating to the enlgargement of its scope, subject of implement of trial as complainant and also scope, stage and effective measure against refusal of discovery in discovery system should be reexamined. Additionally right of victim to be present in trial proceedings, to access to record of trial and introduction of participating in the trial as subject of victim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t the stage of appeal against judgement or special proceeding, restriction of first appeal of prosecutor against public-participation trial, improvement of new trial is being considered.
    Finally in the field of evidence, the scope of exclusionary rule of illegal obtained evidence should be delimited clearly and admissibility of examination record and video recording as evidence need to be limited strictly. Also the system of code of criminal procedure should be reorgan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